[단독] 소주성 때문에 눈치 봤나…文정부, OECD 권고 늑장 적용 의혹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단독] 소주성 때문에 눈치 봤나…文정부, OECD 권고 늑장 적용 의혹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4회 작성일 23-09-25 04:31

본문

뉴스 기사
OECD 권고, 타 국가 2016년부터 적용
통계청 가계동향조사는 2021년 변경
분배 지표 악화할 수밖에 없는 권고
"소주성 홍보 위해 늑장 적용 의심"
[단독] 소주성 때문에 눈치 봤나…文정부, OECD 권고 늑장 적용 의혹

문재인 정부 시절 통계청이 국제기구가 권고한 소득분배 관련 통계 작성 지침을 뒤늦게 적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권고사항을 따르면 소득분배 지표가 악화할 수밖에 없어, 소득주도성장소주성 정책 홍보를 고려해 적용 시점을 미룬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통계청이 2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송언석 국민의힘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통계청은 소득 5분위 배율상위 20% 소득이 하위 20%의 몇 배인지 보여주는 지표 작성 시 웨이브7을 적용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를 가계동향조사에 2021년부터 적용했다. OECD가 통계 기준을 변경한 것은 2011년이고, 대부분 국가에서 2016년 이후 적용한 점을 고려하면 유독 늦은 셈이다. 반면 통계청의 다른 분배 관련 조사인 가계금융복지조사의 경우 2017년부터 웨이브7을 따랐다.

가계동향조사는 분기별로 가구당 소득·지출을 살펴볼 수 있는 통계 자료다. 이 중 소득 5분위 배율은 고소득 가구와 저소득 가구 간 처분가능소득 격차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양극화가 심화할수록 숫자가 커진다. OECD는 웨이브7에서 처분가능소득을 계산할 때 경조사비나 용돈 지출 등 사적이전지출을 제외할 것을 권고했다.

fda07b8f-3699-4e3f-b77a-000570271f4f.png

가계동향조사에 2017년부터 새 기준을 적용하지 않은 것은 통계 개편이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2021년 4월 20일 국가통계위원회 사회통계분과 회의록을 보면, 당시 분과위원장은 "가계동향조사 2017년 개편에 따라 웨이브7 적용이 늦어졌다"면서 "오해가 없도록 설명을 잘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가계동향조사는 2017년부터 소득과 지출을 분리해서 조사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소득과 지출을 다시 통합한 2019년에도 새 기준을 따르지 않았다는 점이다. 2019년 12월 4일 국통위 사회통계분과 서면 회의에서 한 분과위원은 통계청으로부터 가계동향조사 결과 공표방안 안건을 보고받은 뒤 "OECD 권고사항 적용 통계 공표 시기를 2021년 이후로 변경했는데, 사적이전지출 반영이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통계 기준 변경 시점이 한 차례 밀렸고, 그 이유는 지표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란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영향이란 분배 악화일 가능성이 적지 않다. OECD 권고에 따르면 5분위 배율의 절대적인 수치가 커질 수밖에 없어서다. 대체로 고소득 가구보다 저소득 가구에서 소득 대비 사적이전지출 비율이 높아 하위 20%의 처분가능소득 감소폭이 더 크기 때문이다. 실제 소주성 논란이 잠잠해진 2021년 통계청이 웨이브7을 소급 적용하자 2003년 1분기부터 2020년 4분기까지 모든 분기에서 5분위 배율이 0.02~0.56배포인트 커졌다. 그만큼 소득 불평등이 커졌다는 의미다.

73a3e1b4-8b99-4805-983c-7519dcd328ea.jpg

송언석 의원은 "소주성의 거짓 성과 홍보를 위해 국제기구의 통계작성 권고 기준까지 늑장 적용한 것 아닌지 의심되는 상황"이라며 "문재인 정부 당시 자행된 통계조작은 결코 용납되어선 안 되는 강력범죄 행위이므로, 감사원 감사와 엄정한 수사를 통해 범죄 행위를 명명백백하게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가계동향조사는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소주성 정책의 성적표 격으로, 분식 통계 등 각종 논란에 시달려 왔다. 감사원은 지난 15일 통계청이 2017년 가계동향조사에서 가중치를 추가하는 방식을 적용해 가계소득 감소를 증가로, 분배 악화를 개선으로 조작했다는 중간 감사결과를 내놨다.

손영하 기자 frozen@hankookilbo.com



관련기사
- 고급차에 주말엔 여행가던 그들이... 송파 일가족 사망 의문점
- 나가줘야겠다 통보 받은 과학도들 ...의대 갈 걸 후회
- 아빠 송중기 행복의 발걸음 안혜경 결혼 사회 맡은 인연
- 21년 만에 금·은 휩쓴 한국 펜싱…최인정 금·송세라 은
- 52세 최성국, 아들 품에 안았다…산모·아이 모두 건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55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53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