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북 공학도 "인도적 대북 지원? 안보 위협 자초하는 격"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탈북 공학도 "인도적 대북 지원? 안보 위협 자초하는 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3회 작성일 24-01-31 18:35

본문

뉴스 기사
대학생 간부 맡으며 北체제 의심
은하 2호 성공 분위기 틈타 탈북
북핵·ICBM 연구소 근무 경험 기반
올바른 대북정책 제시하고 싶어Zoom In 국민의힘 총선 인재 박충권 연구원

“한국이 제공한 좋은 물자가 북한 무기 개발에 사용되는 걸 가까이서 지켜봤습니다. 인도적 대북 지원은 한국의 안보 위협을 자초하는 일입니다.”

탈북 공학도로 지난달 국민의힘 총선 인재로 영입된 박충권 현대제철 책임연구원38·사진은 31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한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북한에 지원한 물자가 군과 무기 개발 분야에 우선 쓰인 후에야 인민들에게 돌아간다”며 “북한이 무기를 개발하는 데 시간과 돈을 벌어주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김정은국방종합대학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한 뒤 북한 대량살상무기연구소에서 1년간 일했다. 핵무기,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의 개발 과정을 지근거리에서 접했다. 한국에 입국한 탈북민 중 이런 경력을 지닌 것은 박 연구원이 유일하다.

그는 “한국이 북한의 도발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만 북한이 핵무장에 전력을 다하고 있기에 정밀한 ‘심리전’을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박 연구원은 “도발의 목적은 체제 결속인데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방법은 남한이 문화 콘텐츠 등을 북한에 퍼뜨리는 심리전”이라며 “북한이 도발이 아니라 다른 방식의 출구전략을 찾도록 해 정상 국가로 향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을 열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스물네 살 때인 2009년 탈북했다. 대학생 시절 ‘학생 간부’를 맡았던 일이 계기가 됐다. “학생들을 통제·개도하는 일을 맡으면서 북한 체제가 사람들을 통제하는 시스템의 본질을 알게 됐다”고 했다. 김정일이 직접 썼다는 논문도 2개나 읽었지만 오류가 많았다. 졸업할 때쯤엔 체제의 본질을 깨달았다.

박 연구원은 “북한이라는 사회가 하나의 커다란 감옥이라는 생각이 들자 며칠 동안 잠이 안 왔다”며 “젊은 혈기에 김정일을 테러해볼 생각까지 했는데 그 안에서 혼자서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었다”고 했다.

바뀐 생각을 가족을 비롯해 누구에게도 말하지 않고 탈북을 준비했다. 2009년 4월 북한이 은하2호 시험발사에 성공한 날 탈북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축제 분위기를 틈타 바로 두만강을 건넜고, 중국 단둥을 거쳐 인천항으로 들어왔다. 한국에 온 뒤로는 서울대에서 재료공학 석·박사 과정을 마친 뒤 2018년부터 현대제철 연구개발본부에서 일했다.

박 연구원은 원래 남한에서 정치를 할 생각은 없었다고 했다. 다만 한국 사회로부터 받은 도움에 보답하고 싶다는 마음은 있었다.

그는 “국회에 들어갈 수 있다면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에 입각한 시스템을 실현하고 올바른 대북정책을 제시해 가는 정치인이 되고 싶다”고 했다. 박주연 기자 grumpy_cat@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77
어제
1,610
최대
2,563
전체
427,16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