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위안부 합의 이행 요구…또다른 쟁점 되나
페이지 정보

본문
![]() 지난 16일 도쿄 정상회담에서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에게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의 ‘착실한 이행’을 요구했다는 일본 언론 보도가 나오면서, 이 문제가 한-일 관계의 새로운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에 출연한 10억엔당시 약 103억원 중 잔여 기금 활용 방안 등을 두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줄곧 ‘2015년 한-일 합의의 유효성을 인정하고 존중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는 윤석열 정부도 마찬가지다. 다만 당시 합의에 따라 일본이 화해·치유재단에 출연했던 10억엔의 잔여 금액을 어떻게 처리할지 문제가 남아 있다. 앞서, 일본 정부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따라 10억엔을 화해·치유재단에 출연했다. 이 중 피해자들에 47억원이 지급됐고, 재단에는 잔금 56억원이 남아 있다. 또한, 정부는 재단 해산을 결정한 이후인 2018년 화해·치유재단에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을 대체할 목적으로 예비비 103억원을 편성해 여성가족부가 운용하는 양성평등기금에 출연했다. 결국, 56억원의 재단 잔여 기금과 103억원의 양성평등기금 활용 문제가 남은 셈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지난 18일 <와이티엔> YTN과 한 인터뷰에서 ‘일본이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구해 온다면 어떻게 대응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앞으로 양국이 추가로 할 조치는 남아 있지 않다. 화해·치유재단의 잔액을 적절하게 우리가 미래지향적으로 사용하면 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남은 기금 56억원을 반드시 ‘위로금’ 명목으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머지 피해자들은 위로금을 수령하지 않고 있어 해결책은 마땅히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7년 외교부 직속의 티에프TF팀 조사 결과, 일본 정부가 박근혜 정부에 △소녀상 이전 △‘성노예’ 용어 사용 금지 △관련 시민단체 설득 등을 요구했고, 박근혜 정부는 이를 수용했던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일본 정부가 위안부 합의 이행을 요구할 경우 이 또한 문제 삼을 가능성이 크다. 신형철 기자 newiron@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일본 마음 얻는 데 성공” 김태효, 제3자 변제 ‘퍼주기’ 인정한 셈 ■ 천주교 신부들 ‘윤석열 퇴진’ 미사…“민심 폭발 직전” ■ 이준석 “주69시간엔 자본가의 생각 반영”…‘장외 정치’ 시동 ■ ‘조선 멸시론자’ 오카쿠라 발언…왜 윤 대통령 연설에 들어갔나 ■ 우리는 모두 신자유주의자다 ■ 일본에 현물 안겨주고 어음과 청구서만 잔뜩 받아온 윤 대통령 ■ 검찰, 이재명 이번주 기소할 듯…‘대장동·위례, 성남FC’ 의혹 관련 ■ ‘0.73%p 대통령’ 윤석열의 거짓말…“통합” 버리고 편가르기 ■ 배 타려 후진하다 바다로 추락…할머니·할아버지·손녀 숨져 ■ [단독] 버거킹 본사, 224원 내고 ‘2400원 할인’ 생색…점주에 갑질 한겨레> ▶▶움트는 봄,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네이버 구독! 최신 뉴스를 쏙쏙~ ▶▶마음 따뜻한 소식을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와이티엔> |
관련링크
- 이전글尹, 오부치 딸에게 "갈등 있어도 자주 만나야, 전 총리 혜안에 감사" 23.03.19
- 다음글대통령실, 기시다 독도·위안부 입장 전달에 "논의 없었다…오염수 논의 공... 23.03.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