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에도 돌아오지 않는 한동훈…공개 행보에 신중한 3가지 이유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입춘에도 돌아오지 않는 한동훈…공개 행보에 신중한 3가지 이유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25-02-06 05:57

본문

[the300]당내 의원들의 거부감·강성 보수 결집세·부진한 대선 후보 지지율 등 한동훈이 풀어야 할 숙제들

본문이미지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14일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도중 나와 입장을 밝히고 있다. 2024.12.14/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유력 대선주자들이 각각 공개적으로 몸풀기에 나서고 있지만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정치 원로 등만 만날 뿐 여전히 잠행 중이다.

지난해 국민의힘의 총선 참패 책임을 지고 비상대책위원장직에서 물러난 뒤 전당대회 출마 전까지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혀왔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한 전 대표가 재등판에 이토록 신중을 기하는 이유는 뭘까.

첫 번째는 한 전 대표를 향한 당내 의원 다수의 거부감이다.


국민의힘 소속 108명 중 친한친한동훈계로 분류되는 의원들을 제외한 대부분 여당 의원들은 현재 한 전 대표의 등판을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한 국민의힘 의원은 5일 머니투데이 더300the300에 "한 전 대표는 다시 돌아온다 하더라도 이미 떠나버린 의원들의 마음을 돌리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다른 국민의힘 재선 의원도 머니투데이 더300에 "의원들이 문제를 제기한 건 윤 대통령 탄핵 여부에 대한 한 전 대표의 입장이 아니다. 비상계엄을 제가 한 건 아닙니다 제가 투표했습니까 등으로 알려진 한 전 대표의 소통 방식 때문"이라며 "의원들과 상의 한마디 없이 결정하고 통보해 온 한 전 대표를 어떻게 리더로 따를 수 있겠냐"고 말했다.

당헌·당규를 개정하지 않은 채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국민의힘은 당심·민심 5대5로 대선 후보 경선을 치른다. 민심이 압도적이지 않은 이상 당심을 차지하지 못하면 대선 후보로 선출되기 힘들다. 윤석열 대통령도 과거 2021년 국민의힘 대선 경선에서 민심은 37.94%로 당시 홍준표 의원48.21%에 뒤졌지만, 당원투표에서 21만34표로 홍 의원12만6519표을 압도해 최종 승리했다.

당원 투표는 조직표 동원 전략이 관건이다. 특히 국민의힘 책임당원의 약 40%를 차지하는 영남의 경우 더욱 그렇다. 결국 한 전 대표도 영남 지역 국민의힘 의원들의 마음을 얻지 않는 이상 어려운 승부를 펼칠 수밖에 없다.

본문이미지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국민의힘 의원들이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2024 원내대표 선출 선거 의원총회에서 한동훈 대표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성에 관해 발언에 항의하고 있다. 2024.12.12/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사진=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두 번째는 강성 보수 지지층의 결집세다. 윤 대통령을 지켜야 한다는 강성 보수 지지층의 결집이 최근 여론조사 등을 통해 확인되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1~2일 이틀간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100% ARS 조사,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3.1%P, 응답률 4.5% 윤 대통령 탄핵안이 기각돼야 한다는 의견은 46.9%로 나타났다. 정당 지지율에서도 국민의힘은 지난해 12월 5주차에 실시한 조사보다 8%P포인트 상승한 43.7%를 기록했다.

친한계로 분류되는 한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머니투데이 더300과 통화에서 "강성 지지층을 중심으로 윤 대통령 탄핵, 체포, 구속 등에 대한 분노가 높은 상황에서 탄핵에 찬성했던 한 전 대표가 나왔을 때 어떻게 받아들여질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서울구치소에 수감돼 탄핵 심판을 받고 있는 중 한 전 대표가 등판할 경우 배신자 프레임에 갇혀 역풍이 불 것을 우려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는 차기 대통령 선호도 여론조사에서 한 전 대표가 보수 진영을 대표할 압도적인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전 대표를 향한 반발심을 잠재울 정도의 지지율이 나오지 못하면서 마땅히 등판할 기회가 만들어지지 않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언급한 에이스리서치의 차기 대통령 후보 적합도 조사에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이 20.3%를 기록했다. 한 전 대표는 6.7% 오세훈 서울시장은 6.4%, 홍준표 대구시장은 6.3%였다. 한국갤럽이 지난 1월 21~23일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한 전 대표의 장래 정치 지도자 선호도는 5%를 기록했다. 김 장관의 선호도는 11%, 홍 시장은 4%, 오 시장은 3%였다.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P, 응답률 16.4%

이 밖에도 윤 대통령을 통해 거치면서 여당 당원들 사이에 검찰 등 외부 출신에 대한 경계심이 생긴 것도 한 대표가 풀어내야 할 숙제다. 여권 관계자는 "당과 동고동락을 함께한 사람이 아닌 외부인이 대선 후보로 올라가는 것에 대한 보수 지지층들의 부담감이 있다. 윤석열 학습 효과인 것"이라고 말했다.

본문이미지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로 출근하며 지지자들에게 손 인사를 하고 있다. 2024.12.16. kch0523@newsis.com /사진=조성봉

한 전 대표가 등판할 수 있는 시점은 빨라야 오는 13일 이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13일은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기일로 지금까지 지정한 마지막 날짜다. 친한계는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이 마무리 국면에 들어가야 한 전 대표가 직접 목소리를 낼 기회가 생길 것으로 보고 있다.

영남 지역을 지역구로 둔 한 친한계 의원은 이날 머니투데이 더300과 통화에서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 심판 선고가 나올 때까지 한 전 대표가 기다리는 건 너무 멀다"며 "현재까지 공감이 되는 건 대통령 탄핵 심판 변론 기일이 끝나야 한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방어권을 적극 행사하고 있는 상황은 일단 지나야 한 전 대표 목소리가 나올 수 있는 여지가 열린다"고 말했다.

공개 행보를 하지 않는 것일 뿐, 한 전 대표는 정치·사회 원로 및 교수 등과 만나며 최근 정국과 경제·복지 정책 등 현안을 활발하게 논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인 4일 한 전 대표는 지난 1월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유인태 전 국회 사무총장, 조갑제 조갑제닷컴 대표 등을 만났다. 한 전 대표는 이들과 회동에서 민생 현안과 12.3 비상계엄 사태 및 윤석열 대통령 탄핵 정국 등에 대한 의견을 청취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친한계 의원은 "한 전 대표는 본인이 부족한 부분들을 채워나가는 중"이라며 "보수 정치가 어떻게 가야 하는지, 민생과 통합 등을 위주로 공부 중"이라고 했다.

또 다른 친한계 의원은 "한 전 대표는 어떤 방법으로 국민들 앞에 나타나 인사할지 고민 중이다. 충격 없이 자연스러운 등판이 될 수 있도록 우리친한계도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아울러 "합리적 보수와 중도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사람이 있어야 한다. 한 전 대표가 돌아온다 해도 정치 활동 재개하시는 것이지 조기 대선에 출마하겠다는 명분을 걸고 나오는 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앞서 언급한 여론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하면 된다.

[관련기사]
"알바생도 이렇게 자르진 않을 것" MBC 김가영 동기 폭로글 재조명
수입 100배 껑충?…김대호 사직서엔 "돈 벌러 나간다"
故서희원 전남편 댓글에…"불륜남 주제에 착한 척" 분노
서희원 사망 10일 전 모습 공개…구준엽과 즐거운 미소
날씬해진 싸이…"왜 자꾸 살 빼냐?" 지적받자 사과
장동건·고소영 사는 그 집…"고급주택보다 1㎡ 작아" 세금폭탄 피한 비결
MBC 이현승 침묵에…"네 아내가 가장 악질" 남편 최현상 악플 불똥
故서희원 유산 1200억, 2/3는 전남편에게?…"구준엽 경쟁 불가능"
김갑수가 분석한 전한길…"돈 필요한건 아닌듯, 셀럽놀이 중"
같은 듯 다른 띠동갑 이준석·한동훈…중도층 잡을 보수 주자, 누구?
냉동고 한파 끝나자마자 봄?…족집게 기상학자 "4월 반소매 입을 것"
"생각보다 괜찮아"…엄지원, 독일서 혼탕 체험
올해 세계 반도체 시장 변수…미국 다음으로 한국, 왜?
고기 많이 안먹는데 콜레스테롤 수치 위험…커피가 범인이라니
트럼프, 중동에 말폭탄…"美, 가자 소유·개발"

박상곤 기자 gonee@mt.co.kr 정경훈 기자 straight@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836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9,24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