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 출신 의대생 "의사는 면허증에 고소득…공대는 회사 부품 신세"
페이지 정보
본문
“공대 석·박사 따려면 10년 고생
취직하더라도 보상 수준 낮아”
취직하더라도 보상 수준 낮아”
2022년부터 올해 1학기까지 자퇴한 서울대 신입생 611명 가운데 가장 많은 187명이 공대생이었다. 상당수가 의대 등 의·약학 계열 대학에 가기 위해 그만둔 것으로 추정된다. 왜 공대생들은 공대를 떠나 의대로 가려 할까. 과거 공학도였던 의대생과 전공의 5인에게 물어보니 “지금 우리나라 공대엔 미래가 없었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이 가장 큰 이유로 꼽은 것은 ‘불확실성’이었다. 학교와 병원에서 하라는 공부와 수련만 잘하면 ‘의사 면허증’이 나오는 의대와 달리, 공대는 취업도, 교수 임용도, 고소득도 보장받을 수 없다는 것이다. 고려대 공대를 졸업하고 2017년 의대에 간 전공의 김모29씨는 공대 대학원에 가 바이오 분야의 연구원이 되고자 했지만, 졸업 후 의학전문대학원에 편입했다. 김씨는 “미래 노벨상을 수상하는 졸업생이 나오기를 꿈꾸면서 고려대에서 만들어 놓은 공간인 ‘노벨 광장’을 보며 ‘저기에 내 이름을 올리겠다’는 꿈을 가졌었지만 한계가 많았다”며 “교수 임용도 안 되고, 대기업을 다니다가 무력감을 느껴 퇴사한 공대 친구들 보면서 의대에 온 결정을 너무 잘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고려대를 다니다 1학년 때 수능을 다시 봐 지방대 의대에 합격한 김모22씨는 “공대를 다닐 때 영어 인증시험이나 컴퓨터 자격증 시험 응시를 해야 하는데, 전혀 의미가 없다고 생각했다”며 “지금 휴학 의대생 신분으로 한 해를 허송세월하고 있지만, 안정적인 삶과 노년까지 미래가 보장된 의대에 온 것을 조금도 후회 안 한다”고 말했다.
‘낮은 처우’도 문제다. 공대도 대기업 연구원이 되거나 교수가 되려면 석·박사를 따야 하는데, 그만큼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서울 지역 공대에 들어갔다가 다시 의대로 옮긴 박모23씨는 “1학년 첫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교수님이 ‘전공을 살릴 거면 대학원을 가야 하고, 유학 갈 필요도 있다’고 하시더라”면서 “유학에는 돈도 많이 들고, 대학원에서 100만~200만원 받으면서 10년씩 공부를 해야 한다면, 차라리 의대 가는 게 맞는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전공의 1년 차인 최모29씨는 “하다못해 소개팅 자리도 유망한 공대 연구원보다 수입 없는 의대생한테 훨씬 더 많이 들어온다”고 했다.
서울대 공대 3학년 때 자퇴 후 의대에 간 이모27씨는 “항공 쪽에 관심이 있었지만, 학부생 시절 합격한 회사는 삼성전자의 무전사업부였다”며 “전공도 못 살리고 전문성 없는 분야에서 ‘회사 부품’이 될 것 같다는 조바심이 들었다”고 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강다은 기자 kkang@chosun.com
그래픽=백형선
‘낮은 처우’도 문제다. 공대도 대기업 연구원이 되거나 교수가 되려면 석·박사를 따야 하는데, 그만큼 보상을 받지 못한다는 것이다. 서울 지역 공대에 들어갔다가 다시 의대로 옮긴 박모23씨는 “1학년 첫 오리엔테이션 시간에 교수님이 ‘전공을 살릴 거면 대학원을 가야 하고, 유학 갈 필요도 있다’고 하시더라”면서 “유학에는 돈도 많이 들고, 대학원에서 100만~200만원 받으면서 10년씩 공부를 해야 한다면, 차라리 의대 가는 게 맞는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전공의 1년 차인 최모29씨는 “하다못해 소개팅 자리도 유망한 공대 연구원보다 수입 없는 의대생한테 훨씬 더 많이 들어온다”고 했다.
서울대 공대 3학년 때 자퇴 후 의대에 간 이모27씨는 “항공 쪽에 관심이 있었지만, 학부생 시절 합격한 회사는 삼성전자의 무전사업부였다”며 “전공도 못 살리고 전문성 없는 분야에서 ‘회사 부품’이 될 것 같다는 조바심이 들었다”고 했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강다은 기자 kkang@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상처 준 건 아빠"…슈돌 영상물에 최민환 비판 잇따라 24.10.28
- 다음글"여자가 따라주는 술 맛있어" 해고 되자 "아재 개그라니까" 24.10.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