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수 한 쌍, 1년 460마리까지 낳는다…독도 습격한 이놈들
페이지 정보
본문
2021년 독도에 설치된 무인센서카메라에 포착된 집쥐. 사진 대구지방환경청
시궁쥐라고도 불리는 집쥐는 철새인 바다제비와 괭이갈매기의 알을 먹어치우는 잡식성이어서 독도 생태계가 교란될 수 있다. 또 배설물로 인한 질병의 발생과 독도경비대 전자장비·시설물 훼손도 우려된다. 설치류의 습성상 땅굴을 파기 때문에 토심이 얕은 독도지형은 낙석이나 토사 붕괴 등 사고도 일어날 수 있다.
━
선박 통해 유입된 것으로 추정
제1호 특정도서이자 천연보호구역인 독도에 집쥐가 유입됐다는 사실은 2010년 공식적으로 확인됐다. 당시 독도 생태계 모니터링 때 서도의 몰골 근처 자갈밭에서 사체가 발견됐다. 동도에서는 2015년부터 집쥐가 확인되고 있다. 사람과 짐을 싣고 독도로 들어온 선박을 함께 타고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대구지방환경청 관계자는 “언제부터 집쥐가 독도에 서식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며 “다만 독도에 여러 공사가 진행되면서 선박을 타고 들어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독도 집쥐 모습. 중앙포토
2차 조사에서는 총 8개 지점에서 집쥐의 흔적이 발견됐고, 굴은 2곳이 확인됐다. 3차 때는 서도는 조사하지 못한 가운데 동도에서만 6개 지점에서 배설물이, 2곳에서 굴이 관찰됐다.
독도 내 집쥐가 가장 많이 산다고 추정되는 곳은 서도 주민 숙소다. 지난해 5~10월 독도에 설치한 5대 무인센서카메라 영상 2만9410장을 분석한 결과 집쥐는 총 716회 포착됐다.
━
1년 최대 460마리 낳는 번식력
환경부 대구지방환경청은 내년 5월까지 연구용역을 통해 독도 내 집쥐 서식 현황을 파악하고 퇴치·관리 방안과 추가 유입 방지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집쥐 소탕 용역을 맡은 조영석 대구대 생물교육과 교수는 지난달 독도 동도에 무인카메라 30대와 덫 30여 개, 서도에 무인카메라 1개와 덫 1개를 설치해 집쥐를 감시·포획 중이다.
바다에서 바라본 독도 전경. 김정석 기자
집쥐의 시력은 약하지만, 후각·미각·청각·촉각은 매우 발달해 있고, 번식력이 강해 완전한 소탕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하지만 먹이가 줄어드는 겨울철에 최대한 덫을 설치해 집쥐를 관리 가능한 수준까지 소탕하겠다는 것이 환경당국의 전략이다.
관련법에 따라 천연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독도의 생태계를 보호하기 위해 국가유산청도 선박 승·하선자와 화물 방역소독, 입도 시 검역실시 등의 방안을 관계부처와 함께 추진하고 있다.
울릉=김정석 기자 kim.jungseok@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계엄 놀란 월가 전문가 "K증시 추락, 해법 딱 하나"
▶ 尹이 김치찌개 끓여준 주진우…한동훈 옆에 왜 있었나
▶ 고혈압약 평생 먹는다? 해독 전문가 분노한 상식
▶ "대소변 막 봐, 지린내"…美 마약거리 간 홍진경 경악
▶ "숨 턱턱 막힌다…매일 고문" 故김수미 일기 충격
▶ "유영재, 젖꼭지 비틀어" 선우은숙 언니 충격 폭로
▶ 아이유 "응원봉 흔들 팬 위해"…尹탄핵집회서 한 일
▶ 尹담화 본 유치장 속 경찰청장…"말 없이 헛웃음"
▶ "역사 반복되지 않길"…커피 1000잔 결제한 女 정체
▶ "尹 배신자" 김상욱 1인 시위…與의원들 반응 깜짝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정석 kim.jungseok@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엄마는 아침이슬에 눈물" 계엄군 딸, 탄핵 커피 1000잔 선결제 24.12.14
- 다음글주차모드 깜빡…70대 남성 하차하다 주차장 기둥 틈에 끼여 사망 24.12.1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