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김씨 가문도 한식 성묘때 향 안피워…산불 안전수칙 기억을"
페이지 정보

본문
묘 주변 작은 불씨도 큰 화재 위험
쓰레기 태우는 대신 갖고 하산을
예초기 불티 대비 소형 소화기 준비

‘성묘 대목’인 4일 청명淸明과 5일 한식寒食을 앞두고 다시 산불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경북 의성에서 시작돼 영양, 영덕, 안동까지 번진 산불의 시작은 한 성묘객의 실화였다. 이 같은 재난을 막기 위해 소방 전문가들은 성묘 자리에서 쓰레기를 태우는 등의 행동은 하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례문화 전문가들은 화재 위험이 큰 ‘향 피우기’ 등을 안 해도 고인에 대한 예의를 갖추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조언했다.
● 봄철 묘 주변 작은 불씨도 위험, 아예 말아야
봄철엔 건조한 기상 상태로 식물이 말라 있고 강한 바람까지 불어 화재 위험이 가장 크다. 우리나라는 유독 이 시기에 전통적으로 성묘를 지내 왔다. 날씨가 좋아 겨울 동안 미뤄 왔던 묘 관리를 하는 청명은 4일이다. 산소에 음식을 가져가 제사를 지내는 대표적 성묘일인 한식은 5일이다. 산림청에 따르면 최근 10년간2015년∼지난해 연평균 산불 발생 546건 중 절반이 넘는 303건이 3∼5월에 발생했다. 원인은 입산자 실화가 171건31%, 쓰레기 소각 68건13% 순이었다. 이 중 상당수가 성묘 도중에 발생한다.
전문가들은 총 31명이 숨진 올해 남부 산불을 계기로 앞으로는 산에서 성묘 시 향이나 초를 피우는 절차를 없애야 한다고 제안했다. 향 피우기는 향의 연기가 하늘에 닿아 조상의 혼령을 부른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초는 ‘저승과 이승의 매개체’를 상징한다. 둘 다 불을 피우기 때문에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잦다. 지난달 24일 경남 통영시 한 야산에서도 부모님 묘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려 초를 피우던 60대 성묘객이 세워놓은 초가 넘어져 산림 500m²가량이 불탔다.
이미 우리나라 유서 깊은 가문들은 산불 위험을 고려해 불을 쓰는 절차를 생략하고 있다. 광산김씨대종회는 산에서 성묘 시 향 피우기를 생략하고 있고, 안동김씨대종회도 ‘축문’조상에게 정성을 표현하는 글을 태우는 절차를 수년 전부터 중단했다. 축문을 태우는 일은 ‘신성한 내용을 함부로 다루지 않고 깨끗이 처리한다’는 의미인데, 불붙은 종이를 허공에 날려 보내기 때문에 산불로 이어질 위험이 크다. 박일도 한국장례협회장은 “차례 절차를 간소화하더라도 고인에 대한 마음을 전하는 데엔 문제가 없다”고 했다.
● 성묘 갈 때 라이터는 빼고 소화기 챙겨야

현행법은 산에서 라이터 등 화기를 소지하는 것을 금지한다. 산림보호법상 산에 화기, 인화물질, 발화물질을 가져가는 것만으로도 3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하지만 처벌 수위가 낮고 단속도 없어 실제로는 유명무실하다. 게다가 마을 야산 등은 별다른 관리 인력도 없어 무방비로 화재 위험에 노출돼 있다. 실효성 있는 단속을 시행하고 처벌 수위도 법 개정을 통해 높여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는 이유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산에서 라이터를 소지하면 처벌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대부분 국민들이 모르고 있다”며 “정해진 형량에 비해 실제 형량이 낮게 나오는 것도 방심을 부르는 요인”이라고 했다.
전문가들은 성묘 후 쓰레기를 태우는 행동은 금물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의성 산불도 성묘객이 라이터로 묘지를 정리하다 불을 냈다. 이용재 경민대 소방안전관리과 교수는 “성묘 후 남은 음식물 등 생활 쓰레기를 그 자리에서 태우는 경우가 많다”며 “쓰레기는 그대로 봉투에 담아 하산해야 한다”고 했다. 이정선 을지대 장례지도학과 교수도 “성묘객들이 기초 질서를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며 “담배꽁초를 버리는 등 화재 여지를 만들지 않아야 한다”고 했다.
예초기를 사용해 묘지 주변 벌초를 하다가 불이 붙는 경우도 있다. 이런 상황에 대비해 소형 소화기를 챙겨가는 것도 산불을 막는 방법이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300∼500g 휴대용 소화기, 충분한 물 등을 준비해 가면 좋다”며 “예초기로 인해 불티가 나더라도 확대되기 전에 끄면 된다”고 했다. 이 교수는 바람이 많이 부는 시간대에는 벌초, 성묘를 피하라고도 제안했다.
최원영 기자 o0@donga.com
이수연 기자 lotus@donga.com
관련링크
- 이전글77년이 지났건만 25.04.03
- 다음글대구 소재 대학병원 간호사, 신생아 안고 "낙상 마렵다"…학대 사진 발칵 25.04.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