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16회 작성일 24-05-31 12:13

본문

뉴스 기사
물속은 텅 비고, 해안은 멍들어... 바다의 날,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들

[진재중 기자]

곳곳이 할퀴고, 찢기고, 메말라 아픈 상처를 입고 있다. 언제 붕괴될지, 어떻게 사라질지도 모른다. 바다는 그저 내줄 뿐, 아무런 불평불만이 없다. 바다의 날5월31일에 바다 이야기다.

바다의 날은 바다의 중요성과 보존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해양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지정된 기념일이다. 각국에서 바다의 날을 기념하는 날짜와 방법은 다를 수 있지만, 공통적으로 해양 환경 보호와 해양 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촉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아파트 놀이터 삼킨 파도…강원 바다에서 벌어지는 일
동해 앞바다
ⓒ 진재중


1. 아픈 상처 남기는 연안침식


동해안, 곳곳이 상처를 입고 있다. 강원도 고성에서 삼척까지 연안침식은 지역을 바꿔가며 반복된다. 올들어 가장 많은 시련을 겪은 안인 염전해변.

안인 염전해변은 동해안에서 유일하게 해안사구를 품고있는 해안이다. 해안사구로 보존가치가 높아 환경부는 2008년 12월 하시동·안인해안사구를 생태 보전지구로 지정했다.

그러나 안인화력발전소 건설 이후로 연안침식이 발생, 해안가 군사도로 및 군부대 초소는 바다에 잠겨 흔적조차 없다. 해안경계를 위해 주둔했던 군부대마저 철수하고 사라졌다.

마지막 보루인 해안사구마저 침식에 노출돼 있다. 침식 때마다 땜질식 처방으로 모래주머니를 쌓고 모래를 보충했지만 임시방편에 불과했고 지금은 흉물스럽게 돌을 쌓아 돌제 효과를 기다리고 있다. 그러나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 군시설물 콘크리트와 폐타이어를 이용, 군 시설물로 사용했던 흔적들2022/1
ⓒ 진재중

▲ 안인해안사구 침식방지를 위해 돌제를 쌓고 모래를 보충했지만 언제 무너질지 모르는 구조물이다2024/5
ⓒ 진재중


이 지역은 모래해변이 좋아서 하시동과 안인 마을 주민들의 휴식 공간이었다. 하늘에서 내려다 본 백사장은 불과 4년만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사라졌다. 아래 사진에서 2020년 11월과 2024년 5월을 비교해 보면 공사전후의 해안선 변화를 알 수 있다.

이 마을 어촌계장 이원규씨는 "어릴 적 놀이터였는데 해상공사 이후로 바모래가 사라져 버렸습니다. 안인 해변의 추억이 모래와 함께 바닷속으로 잠겨 버렸어요"라며 안타까워 한다.
▲ 염전해변 해안사구와 함께 남항진 해변까지 연안침식이 없이 평형을 유지한 해수욕장2020/11
ⓒ 진재중

▲ 인공시설물로 얼룩진 해변 잠제, 돌제, 이안제 등 인공구조물이 흉물스럽게 설치되어 있다2024/5
ⓒ 진재중


삼척 맹방해변 역시 화력발전소 건설 공사 이후 연안침식이 발생, 흉물스러운 인공시설물들로 가득 메워져 있다.

침식을 방지하기 위해 잠제수중 방파제, 이안제, 도류제 등을 설치한 것이다. 해안침식지형에 따라 해안 구조물들도 다양한 형태를 띈다. 다른 침식지역에서는 볼 수 없는 구조물이다.
▲ 삼척블루파워 동해안 마지막 화력발전소
ⓒ 진재중

▲ 인공구조물 해안침식을 막기위해 설치된 시설들
ⓒ 진재중


맹방은 한때, 하얀모래와 긴 백사장이 있어 동해안의 명사십리로 알려져 많은 관광객과 지역민들이 찾았던 해변이었다. 바닷모래에 터를 잡고 살던 조개와 가자미 등 바다생물이 많아 마을주민들은 맨손으로 조개를 건지고 고기를 잡았던 풍요로운 어장이었다. 이 해변 역시 2020년과 현재를 비교해 보면 해안선의 변화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이 지역 주민 김무개씨78는 "여름에 바다에 나가 발가락으로 조개를 건져 올릴 정도 풍성한 해변이었습니다. 그러나 발전소 건설로 바다에 뻘이 형성되어 조개는 사라져 버렸고 구경조차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안타까워 했다.

해안공학 전문가인 ㄱ박사는 "터무니없는 시설로 연안침식을 막아보려하는데 근본적인 대책이 아닙니다. 결국에는 침식을 막지 못하고 또 다른 인공시설물로 맹방해변은 가득차게 될 것입니다. 백사장으로서의 기능은 이미 상실했다고 보면 됩니다" 라고 문제를 제기한다.
▲ 맹방해변 평형을 유지하며 백사장이 잘 보존된 해수욕장이었다2020/5/25
ⓒ 진재중

▲ 각종 해안시설물과 해안 화력발전소 건설로 각종 구조물들이 늘어서 있다2024/5
ⓒ 진재중

2. 바다생물의 보금자리, 해조류가 사라진다

해조류가 줄어들고 있다. 해조류에는 많은 바다생물들이 기대어 산다. 해조류가 사라지는 것은 곧 바다생물이 삶터를 잃는 것이고 이는 곧 어민들의 생계를 위협하는 것이다.

해조류는 다양한 생태계를 만들며 생물 다양성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 흔하던 톳, 모자반, 지누아리 등은 개체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고 동해안에서 다시마가 보이지 않은 것은 오래전 얘기다. 다시마 한종에서만 자생해 살아가는 생물은 전복, 성게, 우렁쉥이 등 20여 종에 이른다.

해양자원을 연구해온 김형근 강릉원주대학교 명예교수는 "해조류와 바다생물은 공생관계를 유지합니다. 산에 숲이 사라지면 각종 동물들이 자리를 떠나 듯 바다에도 해조류가 사라지면 바다생물도 자리를 떠나게 돼 있습니다"라고 해조류의 중요성을 말한다.
▲ 바다숲 육지의 산림과 같이 여러 바다생물을 보호하고 안식처가 되어주는 해양생명 자원의 보고
ⓒ 진재중

2000년까지 동해안 앞바다에 자생했던 토종 다시마
ⓒ 진재중

바다가 삶의 터전인 해녀들에게 해조류가 사라지는 것은 물질을 포기하는 일과 같다. 전에는 다시마, 미역을 건져올려 자식들 공부시키고 가족을 먹어 살렸는데 이제는 망사리가 반도 차지 않는단다.

평생을 물질해온 한 해녀 할머니82가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다시마는 보이지않고 미역도 많이 줄었어. 다시마가 많아야 다른 것들도 많은데 없어. 지금 가득 채워져야 할 바구니가 텅 비어 있지. 그 흔하던 전복도 없고 성게도 속이 텅 비어 있어, 나도 이제 그만해야 할 것 같아."
미역손질하는 해녀 할머니
ⓒ 진재중

해조류가 사라라진 곳에 길을 잃은 물곰
ⓒ 진재중


올해는 바다수온이 낮아 미역마저 전년에 비해 한달 이상 늦게 자랐다. 이상기후는 바닷속까지 위협을 준다. 어민들은 이리 저리 비상이다.

원도식 심곡어촌계장은 "바닷속이 예년같지 않습니다. 그 많던 다시마는 아예 보이지도 않고 지누아리, 톳도 사라졌어요. 올해는 미역마저 늦게 자라 어민들은 조마조마 하면서 살아가고 있습니다"라고 전했다.
▲ 미역수확 이상 바다기후로 올해는 예년에 비해 1달이상 늦게 시작했다.
ⓒ 진재중


바다 온도 상승과 함께 각종 바다 시설공사는 해조류가 사라지게 하는 요인이다. 공사로 인해 바닷물이 탁해지고 각종 오염물질이 유입되면서 포자생성을 막는다. 이것은 바닷속이 하얗게 변하는 바다 사막화로 이어진다. 바다 사막화는 해양 생태계와 경제, 환경에 걸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해조류 분야에 평생을 받쳤던 김아무개 박사는 "바다사막화를 막기 위해서는 꾸준한 투자를 해줘야 합니다. 헐벗은 산에 지속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해서 산림녹화를 했듯이 바다에도 바다숲을 조성할 수 있는 콘트롤타워가 있어야 합니다"라고 진단했다.
▲ 속초 외옹치 해변 해상공사로 부유물이 하얗게 떠다닌다2024/5/30
ⓒ 진재중

▲ 갯녹음 현상 연안 암반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그 자리에 석호조류가 암반을 뒤덮어 바다 전반을 황폐하게 만드는 현상
ⓒ 진재중


3. 바다경관을 해치는 인공구조물

바닷가 인근에는 건축물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선다. 큰 파도라도 몰아치면 곧 넘어질 것 같은 형상이다. 아래 사진은 강원도 고성군에 위치한 한 아파트다. 바다를 최대한 가까이에서 보기 위해 지어진 건물이 파도의 위엄에 노출돼 있다. 아파트 앞 정원과 어린이를 위한 놀이터는 침수된 적이 여러번 있었다.

해안측량 전문가인 이형석 교수는 "바닷가 인근에 아파트나 건축물은 해수면이 상승하면 언제 침수 될지도 모릅니다. 해안가에 건축행위를 하는 것은 최대한 지양해야 하고 바다에도 각종 인공시설을 할때는 신중을 기해야 합니다. 잘못 설치된 구조물은 또 다른 침식을 야기하고 바다 조망을 해칩니다"라고 문제점을 말한다.
강원도 고성군 해변가에 세워진 아파트
ⓒ 진재중


바다에는 방파제, 방사제, 돌제, 이안제 등 다양한 이름을 명명한 구조물이 바다경관을 해치고 바닷속마저 잠제수중반파제가 검게 드리우고 있다. 인공 구조물은 해안선의 자연스러운 침식 및 퇴적 과정을 방해하여 해안 지형 변화를 일으킨다. 구조물 주변에서 퇴적물의 이동이 차단되면, 일부 지역에서는 퇴적물이 쌓이고 다른 지역에서는 침식이 가속화 될 수 있다.

연안침식을 연구하는 장성렬 박사는 "잘못된 인공 구조물에 대한 의존성이 높아질 경우, 해당 구조물의 손상이나 기능 저하가 지역 경제에 큰 타격을 줄 뿐만 아니라 연안침식은 가속화 될 수밖에 없습니다. 해안가에 인공구조물을 설치하기전에 다양한 시물레이션을 거쳐 시행착오를 막아야 합니다"라고 말한다.
▲ 삼척 맹방해변 삼척화력발전소 건설로 동해안 명사십리라 일컬었던 해변은 사라지고 연안침식을 막기위한 흉물스런 구조물로 뒤덮혀 있다.
ⓒ 진재중

▲ 도로파손 및 사구침식 안인.하시동 해안사구 앞에 도로가 파손되고 사구가 무너지고 있다2024/4
ⓒ 진재중


해안에 인공시설물을 설치하는 것은 다양한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평가와 계획, 지속 가능한 설계 및 관리, 지역 사회와의 협력 그리고 환경 보호를 위한 규제 준수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인공 구조물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해양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아래 사진은 최근에 문제가 되어 철거 위기에 놓여있는 속초 대관람차다. 대관람차가 들어선 곳은 위락시설이 들어설 수 없는 자연녹지인데다 공유수면 위에 지어진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바다경관을 잘 보이게 하려고 높고 가까히 접근한 인간 욕심의 결과다.
▲ 속초해변 놀이기구 해변가에 속초아이 대관람차가 들어서 있다2024/5/30
ⓒ 진재중


바다에 인공 구조물이 영혼없이 떠 있는 곳도 있다. 고성군이 국비 등 100억 원을 들여 조성한 반암항 어촌뉴딜300사업이 당초 기대했던 효과는 커녕 준공 1년이 지났는데도 제대로 운영되지 못하고 방치되고 있다. 원형 모양의 낚시터는 사람의 흔적 조차 없다.
▲ 고성 반암항 낚시공원 100역을 투입한 해안시설물 1년째 방치중
ⓒ 진재중


바다는 우리 인류에게 내어 주기만할 뿐 바라는 게 없다.

바다의 날을 맞아 우리는 바다에게 무엇을 돌려 줄 것인가를 고민해야 한다. 바다의 소중함을 다시 한번 인식하고, 해양 환경 보호와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이는 우리 세대뿐만 아니라 미래 세대에게 남겨줘야 할 소중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 순긋해변 국민안심해안사업으로 침식지대를 꽃밭으로 조성한 곳
ⓒ 진재중


저작권자c 오마이뉴스시민기자,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마이뉴스 시리즈에서 연재하세요!
▶오마이뉴스 취재 후원하기
▶모바일로 즐기는 오마이뉴스
☞ 모바일 앱 [ 아이폰] [ 안드로이드]
☞ 공식 SNS [ 페이스북] [ 트위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323
어제
2,041
최대
3,806
전체
691,37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