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약국서 신분증·스마트폰 없으면 돈 다 낸다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병원·약국서 신분증·스마트폰 없으면 돈 다 낸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4회 작성일 24-05-17 15:25

본문

뉴스 기사
16일 광주 한 대학병원 모습. 연합뉴스

20일부터 병·의원이나 약국에서 건강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신분증이나 전자서명 등이 꼭 필요하다. 진료때 본인 확인을 못할 경우엔 일단 진료비를 모두 낸 뒤 2주 안에 본인 확인을 거쳐 돌려받을 수 있다.



보건복지부는 건강보험 본인확인 의무화 제도가 20일부터 전국 요양기관에서 시작된다고 17일 밝혔다. 지금 건강보험 적용을 받으려면 별도 본인확인 절차 없이 주민등록번호 등만 답하면 된다. 하지만 국민건강보험법 개정으로 20일부턴 전국 요양기관 어디에서나 본인확인이 필요하다. 신분증은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건강보험증 등 사진과 주민등록번호 등이 들어간 행정·공공기관 발행 증명서다. 공동인증서·간편인증 등 전자서명인증서나 통신사·신용카드사·은행사 본인확인 서비스, 모바일 건강보험증·운전면허증 등 전자신분증도 된다.




신분증이 없다면 휴대전화로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이나 큐알코드로 본인확인을 할 수 있다. 휴대전화마저 없다면 우선 건강보험 부담금 포함 진료비 전액을 내 치료를 받아야 한다. 차액은 14일 안에 요양기관에서 본인확인을 거쳐 돌려받을 수 있다.



다만, 19살 미만이나 재진 환자 등은 지금처럼 주민등록번호 등만 제시하면 된다. 미성년자뿐만 아니라 6개월 이내 같은 요양기관에서 본인 여부를 확인한 재진 환자, 중증장애인과 임산부 같은 거동 불편자, 처방전에 따를 약 조제, 진료 의뢰·회송, 응급 상황도 예외다.



신분증을 빌려주는 등 건강보험 자격을 부정 사용하면, 빌려준 사람과 빌린 사람 모두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 벌금에 처할 수 있다. 부정 사용 금액은 환수된다. 본인확인을 안 한 요양기관도 100만원 이하 과태료를 내야 한다. 이중규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무임승차를 방지해 건강보험제도 공정성을 높이려는 것”이라며 “신분증을 챙기거나 모바일 건강보험증 앱을 이용해 달라”고 말했다.



임재희 기자 limj@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과학예산 날렸던 윤 대통령, ‘Ramp;D 예타’ 돌연 폐지 지시

문재인 회고록 “김정은, 연평도 방문해 주민 위로하고 싶어 했다”

우원식 국회의장 후보 뽑혔다고 탈당 행렬…민주당 후폭풍

‘강남역 살인사건’ 8년 만에 또…“더는 누구도 잃을 수 없다”

‘대통령실 개입’ 확인 나선 군사법원…이종섭 통화내역·문자 본다

‘오월정신 헌법 전문 수록’ 22대 국회 해낼까…5·18 여야 한목소리

국민이 위임한 권력을 약탈하는 정권 [논썰]

북, 동해로 단거리탄도미사일…김여정 “서울 허튼 궁리” 직후

병원·약국서 신분증·스마트폰 없으면 ‘돈’ 다 낸다

손웅정 “우리 팀은 유소년 리그 매번 진다…중요한 건 기초”

한겨레>


▶▶한겨레 서포터즈 벗 3주년 굿즈이벤트 [보러가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59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09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