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방향 바뀌면 제일 위험"…남풍에 봉화·울진 넘어설 수도 [Y녹취록]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 진행 : 윤재희 앵커
■ 출연 :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재난·환경연구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gt; 오늘 비가 오지만 양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5mm 정도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 정도면 도움이 될까요?
◆이병두gt; 물 한 방울이라도 소중한 시기니까요. 도움은 될 겁니다. 다만 양이 적어서 기상청이 분석해 보면 한 3mm 이하에 올 것 같다, 산불 지역 같은 경우에는. 가장자리에 놓이게 되면서. 그렇게 되면서 비의 양이 애초부터 적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관화나 비화로 발생되지 않지만 여전히 불은 지속될 수 있다.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앵커gt; 낙엽의 수분 함량에는 크게 변화가 없을 가능성도 있겠군요.
◆이병두gt; 낙엽의 수분 함량은 비의 영향도 있지만 대기중에 습도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비가 오기 때문에 대기중 습도가 높지 않습니까? 그러면 낙엽들도 어느 정도는 물기를 머금는 상태가 되니까 확산 속도는 현저히 느려질 겁니다. 하지만 비가 3mm 정도 이하면 낙엽층을 다 적시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윗부분만 적시게 되는 거죠. 특히 산림에서는 나무의 윗부분 잎과 가지가 있는데 3mm정도 오면 잎과 가지에서 거의 다 차단됩니다. 그러니까 우산효과가 되는 거죠. 우산효과가 되고 지표면에는 거의 도달하는 양이 적어서 아마 직접 불을 끄는 데는 활용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앵커gt; 곳곳에 바람의 방향이 열려 있는 상태인데 남풍이 계속 올라오면 불길이 봉화 그리고 울진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런 관측까지 나오더라고요. 어디까지로 보고 계시나요?
◆이병두gt; 산불에 있어서 제일 위험한 게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하고 불씨가 날아다니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 왜 위험하냐 그러면 불머리가 바뀌기 때문이죠. 그러니까 불머리가 가장 강하게 타잖아요. 그런데 불머리가 동쪽으로 갔었다는 거죠. 바람의 방향이 남쪽에서 불어오면 불머리가 북쪽이 될 것이고 반대로 북풍이 불어오게 되면 불머리가 남쪽이 될 거기 때문에 이 바람 방향 변화에 대해서 주의깊게 보셔야 되고 대피도 이에 맞게 이뤄져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앵커gt; 만약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서 이미 탄 지역으로 다시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다시 불이 재발화될 수도 있습니까?
◆이병두gt; 재발화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탄 지역 같은 경우에는 연료량이 안 탄 지역보다는 적기 때문에 재발화가 되더라도 속도가 빠르거나 강도가 강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앵커님께서 지적했듯이 제일 좋은 대안은 이미 탄 쪽으로 바람이 불어주면 오히려 화염의 강도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대담 발췌: 김서영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gt;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 출연 : 이병두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재난·환경연구부장
*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인용 시 [YTN 뉴스특보]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
◇앵커gt; 오늘 비가 오지만 양이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5mm 정도로 예상되고 있는데 이 정도면 도움이 될까요?
◆이병두gt; 물 한 방울이라도 소중한 시기니까요. 도움은 될 겁니다. 다만 양이 적어서 기상청이 분석해 보면 한 3mm 이하에 올 것 같다, 산불 지역 같은 경우에는. 가장자리에 놓이게 되면서. 그렇게 되면서 비의 양이 애초부터 적어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수관화나 비화로 발생되지 않지만 여전히 불은 지속될 수 있다. 긴장의 끈을 놓쳐서는 안 될 것 같습니다.
◇앵커gt; 낙엽의 수분 함량에는 크게 변화가 없을 가능성도 있겠군요.
◆이병두gt; 낙엽의 수분 함량은 비의 영향도 있지만 대기중에 습도의 영향도 많이 받습니다. 비가 오기 때문에 대기중 습도가 높지 않습니까? 그러면 낙엽들도 어느 정도는 물기를 머금는 상태가 되니까 확산 속도는 현저히 느려질 겁니다. 하지만 비가 3mm 정도 이하면 낙엽층을 다 적시지 못합니다. 그러니까 윗부분만 적시게 되는 거죠. 특히 산림에서는 나무의 윗부분 잎과 가지가 있는데 3mm정도 오면 잎과 가지에서 거의 다 차단됩니다. 그러니까 우산효과가 되는 거죠. 우산효과가 되고 지표면에는 거의 도달하는 양이 적어서 아마 직접 불을 끄는 데는 활용되지 못할 것 같습니다.
◇앵커gt; 곳곳에 바람의 방향이 열려 있는 상태인데 남풍이 계속 올라오면 불길이 봉화 그리고 울진을 넘어설 수 있다, 이런 관측까지 나오더라고요. 어디까지로 보고 계시나요?
◆이병두gt; 산불에 있어서 제일 위험한 게 바람의 방향이 바뀌는 경우하고 불씨가 날아다니는 경우입니다. 그런데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 왜 위험하냐 그러면 불머리가 바뀌기 때문이죠. 그러니까 불머리가 가장 강하게 타잖아요. 그런데 불머리가 동쪽으로 갔었다는 거죠. 바람의 방향이 남쪽에서 불어오면 불머리가 북쪽이 될 것이고 반대로 북풍이 불어오게 되면 불머리가 남쪽이 될 거기 때문에 이 바람 방향 변화에 대해서 주의깊게 보셔야 되고 대피도 이에 맞게 이뤄져야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앵커gt; 만약에 바람의 방향이 바뀌어서 이미 탄 지역으로 다시 바람이 부는 경우에도 다시 불이 재발화될 수도 있습니까?
◆이병두gt; 재발화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탄 지역 같은 경우에는 연료량이 안 탄 지역보다는 적기 때문에 재발화가 되더라도 속도가 빠르거나 강도가 강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앵커님께서 지적했듯이 제일 좋은 대안은 이미 탄 쪽으로 바람이 불어주면 오히려 화염의 강도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대담 발췌: 김서영 디지털뉴스팀 에디터
※ 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
[카카오톡] YTN 검색해 채널 추가
[전화] 02-398-8585
[메일] social@ytn.co.kr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대한민국 24시간 뉴스 채널 [YTN LIVE] 보기 〉
YTN서울타워 50주년 숏폼 공모전! gt;
대화로 배우는 이 세상 모든 지식 [이게 웬 날리지?] 〉
관련링크
- 이전글중대본 "산불로 26명 사망…중상 8명·경상 22명 발생" 25.03.27
- 다음글다섯 살 아들 잃고 소송 5년째···"병원이 설명 안 해주니 이유라도 알고... 25.03.2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