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안 달라" 정부 제안에 다시 입닫은 의사들…출구없는 갈등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통일안 달라" 정부 제안에 다시 입닫은 의사들…출구없는 갈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2회 작성일 24-04-02 17:43

본문

뉴스 기사
의협 2천명 백지화 요구 이어 전의교협, 입장 발표 없이 "전공의 안아달라"
주요 병원 교수들, 근무 자율 조정…개원가 진료 축소는 미미
중증응급질환 일부 진료불가 권역응급센터 4곳 늘어…서울대도 비상경영

quot;통일안 달라quot; 정부 제안에 다시 입닫은 의사들…출구없는 갈등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성서호 김잔디 오진송 권지현 기자 = 정부가 전날 담화에 이어 2일 의사들에게 통일된 안을 제안하면 대화를 하겠다고 강조했지만, 의사단체들은 침묵으로 정부의 요청을 일축했다.

정부와 의사들 사이 대화 움직임이 보이지 않아 의료공백 사태가 진정될 기미를 보이지 않는 가운데, 의료 현장의 혼란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

일부 중증응급질환에 대해 진료가 불가하다고 공지한 권역응급센터는 지난 한 달 새 4곳이 늘었고, 병원의 경영 상황이 악화하며 서울대병원마저 비상경영을 선포했다.


PYH2024032910040001300_P2.jpg

◇ 정부 "구체적인 제안 달라" 요구…의대 교수들도 입장 안 내놔

정부는 전날 담화 발표에 이어 이날도 의료계를 향해 대화하자고 제안했지만, 의사단체들은 전날 담화 내용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낸 데 이어 이날은 입을 닫고 언급 자체를 피했다.

정부는 대통령 담화를 통해 2천명이라는 숫자에 매몰되지 않겠다며 협상 여지를 뒀고, 이날도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면 의료 정책을 논의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전병왕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의사 여러분들께서는 의료개혁의 이행 방안과 이를 위한 투자 우선순위 등 구체적인 의료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정부에 제시해주시기를 바란다"며 "집단행동을 접고, 과학적 근거와 논리를 바탕으로 의료계 내 통일된 더 합리적인 방안을 제안한다면 정부는 열린 마음으로 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2천명이라는 증원 숫자가 절대적인 것은 아니고, 정부가 열려 있어서 논의가 가능하다는 뜻"이라며 "대신 증원 규모를 주장하려고 하면 과학적인 근거를 갖춘 의료계의 통일된 안을 정부에 제안하면 얼마든지 논의를 할 수 있다는 게 정부 입장"이라고 덧붙였다.

대한의사협회의협의 의료계 대표성을 두고는 "의협 비대위를 통해 전공의도, 다른 이해 당사자들도 참여해서 의료계를 대변할 수 있다면 대화할 수 있다"며 "정부가 억지로 대화 창구를 구성하면 무리가 따를 수 있기 때문에 의료계에서 대변할 수 있는 그런 안을 만들어온다면 언제든지 대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의협은 전날 김성근 비대위 언론홍보위원장이 "2천명이라는 의대 증원 숫자에 대한 후퇴 없이는 협상할 수 없다"며 먼저 정부가 2천명을 철회하라고 요구한 뒤, 이날은 브리핑을 따로 하지 않고 별다른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은 전날 저녁 온라인 회의를 열고 대통령 담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지만, 대응하지 않기로 결론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전의교협은 이날 브리핑에서도 따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대신 조윤정 비대위 홍보위원장이 대통령과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박단 위원장이 만날 것을 제안하며 정부에 "전공의를 안아달라"고 말했다.


PYH2024040217670001300_P2.jpg

◇ 꼼짝 않는 전공의들, 인턴 10%만 등록…의대교수들 진료·수술 조정 중

올해 인턴 과정을 시작해야 했던 예비 전공의들은 이날까지 임용 등록을 하지 않으면 상반기에 수련받지 못하는 상황이지만, 전공의들 사이에서 별다른 복귀 기류는 형성되지 않고 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전날까지 올해 인턴 과정을 시작하려던 2천687명 중 약 10%만 임용 등록을 완료했다. 나머지는 인턴 임용을 거부한 채 등록조차 하지 않고 있다.

올해 인턴으로 합격한 예비 전공의들은 이날까지 수련환경평가위원회수평위에 임용 등록을 마쳐야 한다. 임용 등록이 되지 못하면 올해 상반기에 인턴으로 수련하는 건 불가능하고, 오는 9월이나 내년 3월에 수련을 시작해야 한다.

복지부는 유연한 처분을 하더라도 이날까지 임용 등록을 하지 않고 차후에 복귀하는 인턴의 상반기 수련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의대 교수들의 주 52시간 단축 근무 이틀째인 이날 주요 병원은 각각의 교수 인력과 진료과 상황에 맞춰 진료 시간과 수술 등을 조절 중이다. 이미 수술을 절반으로 줄인 데 이어 세부 조정에 나섰다.

일각에서는 교수들의 근무가 줄면서 중환자 진료도 하지 못하는 게 아니냐고 우려하지만, 교수들은 필요한 중증환자 진료는 유지되고 있다고 전했다.

서울대병원 소속 교수 A씨는 "교수나 진료과마다 완전히 상황이 달라서 진료나 수술은 개별로 조정하는 중"이라면서도 "진료 시간을 조정한다고 해서 중환자를 없애는 건 아니다. 이송할 수 없는 중증·응급 환자는 다 받고 있다"고 전했다.

의협은 개원의들도 준법 진료를 벌일 것이라고 밝혔지만, 아직은 참여 정도가 미미한 수준이다.


PYH2024040105630001301_P2.jpg

◇ 서울대병원도 비상경영…집단행동 장기화에 응급실 상황 악화

전공의 이탈이 1달 반 가량 이어지면서 대형병원의 경영난은 극심해지고 있고, 그 여파는 간호사 등 간호사 등 다른 의료인의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서울대병원은 이날 비상경영 체제로 운영을 전환하고 올해 배정 예산을 원점에서 재검토하겠다고 2일 밝혔다. 이 병원은 지난달 말 기존 500억원 규모였던 마이너스 통장의 한도를 2배로 늘려 1천억원 규모로 만드는 등 의료공백 사태의 장기화에 대비해왔다.

본원은 전체 60여개 병동 중 10개가량을 폐쇄했으며, 병동 간호사들을 중심으로 무급휴가 신청을 받고 있다. 병원 노동자들은 "병원이 노동자와 함께 대책을 세우지 않고 무급휴가 등으로 고통과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집단행동이 장기화하면서 응급실 상황마저 악화하고 있다.

복지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국가응급진료정보망에 중증응급질환 중 일부 진료 제한이라고 뜨는 권역응급의료센터가 3월 첫 주 10곳에서 마지막 주 14곳으로 다소 증가했다"고 밝혔다. 전국의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곳이다.

국가응급진료정보망은 중앙응급의료센터가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심근경색·뇌출혈·산부인과응급 등 27개 중증응급질환의 진료 가능 여부를 보여주는데, 이 중 하나라도 불가능 메시지가 뜨는 권역응급의료센터가 늘어났다는 얘기다.

복지부는 "집단행동 장기화로 의료 역량이 다소 감소하는 상황이 일부 감지되고 있다"며 "중앙응급의료센터가 병원 간 전원을 담당해 다른 권역에서 진료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조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PYH2024032403270001300_P2.jpg

bkkim@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이재욱·카리나, 공개 연애 5주 만에 결별
당기시오 출입문 밀어 70대 넘어져 사망…유죄 확정
울산찾은 文 전 대통령 "이렇게 못하는 정부"…이틀연속 직격
퇴근 여성 납치·성폭행 중학생에 항소심도 징역 최대 15년 구형
파묘 베트남서 최고 흥행 韓영화…"조상숭배·미신 등 익숙"
현주엽 논란 휘문고 감사 결정…"먹방 하느라 업무 소홀"
"피해자들에 모멸감"…신발로 직원 폭행 조합장 징역 10개월
음주차량 추격해 감사장 받았던 택시기사, 만취 승객에 폭행당해
대구경북신공항 화물터미널 집회서 자해…"생명엔 지장없어"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01
어제
1,352
최대
2,563
전체
433,38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