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폐렴 아이들에 무섭게 퍼지는데…정부는 "아직 괜찮다"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이 폐렴 아이들에 무섭게 퍼지는데…정부는 "아직 괜찮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7회 작성일 23-12-05 19:08

본문

뉴스 기사
마이코플라스마 감염증 3주만에 1.6배 급증
3~4년 주기 유행...2019년 마지막에 유행해
의료계, 정부 표본조사 과소 표집 누락 가능성
질병청, 의견 수렴해 참여기관 확대여부 검토


이 폐렴 아이들에 무섭게 퍼지는데…정부는


최근 중국을 강타하고 있는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의 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인접국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마이코플라스마 폐렴증 어린이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일선 병원의 의료진은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며 정부의 적극 대응을 주문하고 있지만 정부에서는 ‘예년보다 낮은 수준’이라며 적극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지 않다.

5일 질병청에 따르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 입원 환자가 11월 첫째주 173명에서 11월 넷째주 270명으로 1.6배 증가했다.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이다. 보통 국내에서 3∼4년 주기로 유행하며 5세에서 9세 사이에서 많이 나타난다. 증상은 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으로 감기와 비슷하나 약 3주가량 지속돼 일주일 정도 앓는 감기와 차이가 있다.

질병청은 “유아 및 학령기 연령층에서 집중 발생되며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는 건 맞지만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 11월 넷째주 기록한 544명에 비해 낮은 수치”라고 밝혔다. 이어 “마이코플라스마 폐렴균 감염증은 신종감염병이 아니라, 3~4년 주기로 국내 유행이 있어 왔던 질병”이라며 ”2019년 마지막으로 유행됐기 때문에 올해 유행할 가능성을 주의 깊게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의료 현장에서는 정부의 강력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대한아동병원협회는 “중국에서 확산하고 있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증에 대만 등 인접국은 비상인데 우리는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news-g.v1.20231205.a141b64a46c447f7bdf88e20b7dfc71c_P1.jpg


특히 의료계는 질병청이 실시하는 표본 조사가 전국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에 한정돼 있어 환자 수가 누락되는 등 과소 표집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대해 질병청은 “현재 표본감시기관에 참여 중인 200병상 이상 병원급 의료기관에는 대부분218개 중 210개 소아청소년과가 포함되어 있어 소아에서의 발생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면서도 “의료계 현장과 학계 의견수렴 등을 통해 참여기관 확대여부를 검토하고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일선 의료 현장은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증까지 유행되면서 가용 의료자원이 줄어들 것을 걱정하고 있다. 병원에서 만난 한 학부모는 “아이 감기 증상이 심해 연차 내고 와서 병원에서 1시간 넘게 기다리고 있다”며 “지금도 이 정도로 사람이 많은데 새로운 감염병까지 유행되면 병원 이용이 더 힘들 듯하다”고 말했다.

병원 관계자는 “학교, 유치원 등에서 독감 등이 유행하며 아이 뿐만 아니라 성인들도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코로나19 기간 면역력이 약해지면서 질병에 취약해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마이코플라즈마 폐렴균 감염증은 이미 치료법도 나왔고 주기적으로 유행하는 질병이다 보니 질병 자체에 대해서 지나친 공포까지 가질 필요는 없다”며 “다만 감기 증상이 지속될 때, 병원을 방문해 적절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news-p.v1.20231205.1f83b7d0e09e4857aa6f7dd9ec76661f_P1.jpg


한편 중국에서는 최근 호흡기 질환 확산으로 제로코로나 같은 통제 정책이 부활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4일미국 현지시간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따르면 중국 정단신문은 지난 1일 소셜미디어 게시물을 인용해 중국 쓰촨성과 광둥성 정부가 지난해 12월 폐지된 ‘건강코드’를 부활시켰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 젠캉바오健康寶 또는 젠캉마健康碼로 불리는 건강 코드는 코로나 국면에서 한국이 시행했던 ‘백신패스’와 유사한 개인정보 QR코드다.

지난해 12월 제로코로나 정책 폐지와 함께 사실상 운영이 중단됐는데, 1년 여만에 다시 등장한 것이다. 다만 중국 지방당국은 건강코드 앱이 폐지된 적이 없기 때문에 ‘녹색’으로 활성화된 상태일 수 있지만 개인 이동제한 기능은 폐지됐으며 부활한 적이 없다고 설명했다.

광저우시 보건 당국 관계자는 ”건강 코드 앱의 일부 기능은 일부 살아있을 수는 있지만 개인 이동 제한 기능은 이미 폐지됐고 부활한 적도 없다“며 ”주민들에게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재활용 가능성을 전면 부인했다.

최근 상하이 푸둥 국제공항에서 도착 승객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강제 검사를 다시 시작했다는 증언도 나왔다. 현지 직원 마모 씨는 RFA와 인터뷰하면서 “공항 당국은 도착 승객을 무작위로 검사한다고 말하고 있지만, 비행기 전체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주장했다. 푸둥 공항에서 일부 코로나19 검사가 시행중인 것은 맞지만, 전면 봉쇄 국면만큼 심각한 상황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나는 32세 알몸 청소부”…고무장갑만 착용, 시간당 8만원 버는 쿨한 직업

이혼 부부, ‘이 말’만 하면 대판 싸웠다…돌싱들, 결혼생활 악몽 순간은

지폐투입구에 ‘종이’ 넣는 초등생에…무인가게 사장님 덜덜 떨었다

“GTX만 믿었는데 2억 떨어지다니요”…아파트값 확 꺾인 두곳, 무슨 일?

“젊은 XX가 싹수 없이”…‘이게 10만원짜리 회 맞냐’ 따지자 사장이 한 말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15
어제
1,352
최대
2,563
전체
433,79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