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착카메라] 흉물로 변한 텅 빈 치안센터…방치될수록 "우범지대 걱정"
페이지 정보

본문
인력 부족 문제로 문 닫자…마을은 치안 공백 걱정
사람 손길 닿지 않은 채…망가지고 버려진 치안센터
사람 손길 닿지 않은 채…망가지고 버려진 치안센터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지역 주민들 안전을 위해 일하던 경찰 치안센터들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탓인데, 이 때문에 곳곳에 치안 공백 우려가 나오고 텅 빈 센터 건물이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기도 합니다.
밀착카메라 정희윤 기자입니다.
[기자]
마을 중심에 있는 이 치안센터는 지난해 인력부족 문제로 문을 닫았습니다.
지금은 이렇게 경찰 통제선으로 출입이 제한된 상탭니다.
딱 1명이던 근무자가 지난해 정년퇴임한 뒤 새로 배치할 인원이 없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박명수/충남 당진시 정미면장 : 상징적으로 관내에 경찰관이 소재하니까 그래도 좀 안심되는 부분도 있었는데…]
[정미면 주민 : 심적으로 든든하지 이렇게 여기가 있었으니까. 문 닫았다니 너무 섭섭하네.]
옆 마을에 있던 치안센터도 지난해 문을 닫았습니다.
관할 지구대가 있지만 멀리 떨어져 있어, 주민들은 안심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신익순/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조금리 이장 : 외국인들 계절 근로자들이 몇 년 전부터 들어오기 시작하고. 석문으로 지구대가 거기에 있는데 예를 들어 좋지 않은 사건이 있다고 볼 때는 거리상으로 봐도 좀 불합리하고…]
실제 이 마을에서 지구대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운전해 봤습니다.
대교를 건너 국도를 타고 한참을 가는 꽤 먼 거리.
교통체증이 없었는데도 20분이 걸렸습니다.
이 지구대 하나가 4개 면, 주민 2만명을 담당하기 때문에 촘촘한 치안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옵니다.
당진경찰서는 이에 대해 "주민 불안에 대해선 잘 알고 있어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치안센터 건물 자체가 마을 흉물로 변해가는 것도 문젭니다.
[신익순/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조금리 이장 : 그동안에는 저녁에 이게 전기도 불도 켜고 했었는데 요즘은 거의 방치 상태인 것 같아요.]
[김운배/대호지면 주민 : 지금 이게 공터로 놔두면은 뭐 흉물거리밖에 더 돼요?]
현장에서 만난 한 경찰관은 "수시로 와서 보긴 하지만, 관리할 예산도 인력도 부족한 상태"라고 속사정을 설명했습니다.
대도시의 경우, 농촌에 비해 치안공백 우려는 적지만, 방치 문제가 심각한 수준입니다.
사거리 신호등 바로 앞에 있는 이 건물은 경찰 치안센터였습니다.
약 2년 전 문을 닫은 뒤 이대로 방치가 되고 있는 건데요.
이 경찰 마크가 남은 자국만이 이곳이 경찰 치안센터였음을 알려줍니다.
방치된 흔적은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이 문 주변으로는 이렇게 마른 넝쿨이 자리하고 있고요.
또 이 화단을 보시면 담배꽁초 같은 쓰레기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건물 옆쪽은 사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곳인데 이렇게 포대가 두 개 남아있거든요.
그런데 이 한 포대에는 이렇게 깨진 유리 조각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또 이쪽을 보시면 버려진 소파가 덩그러니 놓여져 있습니다.
[이경란/인근 식당 사장 : 노숙자들이 많다 보니까 거기 앞에서 쉬는 사람도 있고 여름에는 자는 사람도 있고. 소변도 보고 그냥 막 그런 식으로…]
지하철 3개 호선이 지나는 서울 신설동역 인근.
번화한 거리 한 가운데에 있는 이곳 역시 수년 전 문을 닫은 채 방치돼 있습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다 보니 화단은 쓰레기장으로 변했습니다.
[인근 부동산 : 제일 문제가 여기에 이제 담배꽁초를 여기다가 버렸다 이거예요. 불이 꺼지지 않는 거 들어가 있으면 큰일이죠.]
문 닫은 치안센터는 대부분 한국자산관리공사나 지자체 소유로 넘어갑니다.
어르신 일터나 주민 자치공간으로 잘 활용되는 곳도 있지만, 아직 활용방안을 찾지 못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망가지고 버려진 곳을 계속 방치하다 보면 점차 우범지대가 된다는 깨진 유리창 법칙.
한때 든든한 동네 지킴이였던 이 치안센터들이 이젠 불안감을 부추기는 깨진 유리창이 되고 있습니다.
관계 당국의 빠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작가 강은혜 / VJ 김수빈 / 영상편집 지윤정 / 취재지원 장민창]
정희윤 기자 chung.heeyun@jtbc.co.kr
[핫클릭]
▶ "계엄 선포? 놀랍지 않아"...세계 석학이 내놓은 해법이
▶ 윤 체포되자…"김성훈, 명령 거부자들 다 죽여버리겠다고"
▶ 옛 부하 "김용현 고소하겠다"…미담 조작 사건 재점화
▶ 고소득 미래 위한 빌드업? 영유아 사교육 광풍 어쩌다..
▶ "테슬라 안 사면 바보" 주식 매수 추천한 美 장관 논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지역 주민들 안전을 위해 일하던 경찰 치안센터들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습니다.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탓인데, 이 때문에 곳곳에 치안 공백 우려가 나오고 텅 빈 센터 건물이 오히려 안전을 위협하기도 합니다.
밀착카메라 정희윤 기자입니다.
[기자]
마을 중심에 있는 이 치안센터는 지난해 인력부족 문제로 문을 닫았습니다.
지금은 이렇게 경찰 통제선으로 출입이 제한된 상탭니다.
딱 1명이던 근무자가 지난해 정년퇴임한 뒤 새로 배치할 인원이 없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박명수/충남 당진시 정미면장 : 상징적으로 관내에 경찰관이 소재하니까 그래도 좀 안심되는 부분도 있었는데…]
[정미면 주민 : 심적으로 든든하지 이렇게 여기가 있었으니까. 문 닫았다니 너무 섭섭하네.]
옆 마을에 있던 치안센터도 지난해 문을 닫았습니다.
관할 지구대가 있지만 멀리 떨어져 있어, 주민들은 안심할 수가 없다고 합니다.
[신익순/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조금리 이장 : 외국인들 계절 근로자들이 몇 년 전부터 들어오기 시작하고. 석문으로 지구대가 거기에 있는데 예를 들어 좋지 않은 사건이 있다고 볼 때는 거리상으로 봐도 좀 불합리하고…]
실제 이 마을에서 지구대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운전해 봤습니다.
대교를 건너 국도를 타고 한참을 가는 꽤 먼 거리.
교통체증이 없었는데도 20분이 걸렸습니다.
이 지구대 하나가 4개 면, 주민 2만명을 담당하기 때문에 촘촘한 치안 관리가 어려울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옵니다.
당진경찰서는 이에 대해 "주민 불안에 대해선 잘 알고 있어 죄송한 마음"이라고 밝혔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치안센터 건물 자체가 마을 흉물로 변해가는 것도 문젭니다.
[신익순/충남 당진시 대호지면 조금리 이장 : 그동안에는 저녁에 이게 전기도 불도 켜고 했었는데 요즘은 거의 방치 상태인 것 같아요.]
[김운배/대호지면 주민 : 지금 이게 공터로 놔두면은 뭐 흉물거리밖에 더 돼요?]
현장에서 만난 한 경찰관은 "수시로 와서 보긴 하지만, 관리할 예산도 인력도 부족한 상태"라고 속사정을 설명했습니다.
대도시의 경우, 농촌에 비해 치안공백 우려는 적지만, 방치 문제가 심각한 수준입니다.
사거리 신호등 바로 앞에 있는 이 건물은 경찰 치안센터였습니다.
약 2년 전 문을 닫은 뒤 이대로 방치가 되고 있는 건데요.
이 경찰 마크가 남은 자국만이 이곳이 경찰 치안센터였음을 알려줍니다.
방치된 흔적은 곳곳에 남아 있습니다.
이 문 주변으로는 이렇게 마른 넝쿨이 자리하고 있고요.
또 이 화단을 보시면 담배꽁초 같은 쓰레기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건물 옆쪽은 사람들이 지나다닐 수 있는 곳인데 이렇게 포대가 두 개 남아있거든요.
그런데 이 한 포대에는 이렇게 깨진 유리 조각들이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또 이쪽을 보시면 버려진 소파가 덩그러니 놓여져 있습니다.
[이경란/인근 식당 사장 : 노숙자들이 많다 보니까 거기 앞에서 쉬는 사람도 있고 여름에는 자는 사람도 있고. 소변도 보고 그냥 막 그런 식으로…]
지하철 3개 호선이 지나는 서울 신설동역 인근.
번화한 거리 한 가운데에 있는 이곳 역시 수년 전 문을 닫은 채 방치돼 있습니다.
사람의 손길이 닿지 않다 보니 화단은 쓰레기장으로 변했습니다.
[인근 부동산 : 제일 문제가 여기에 이제 담배꽁초를 여기다가 버렸다 이거예요. 불이 꺼지지 않는 거 들어가 있으면 큰일이죠.]
문 닫은 치안센터는 대부분 한국자산관리공사나 지자체 소유로 넘어갑니다.
어르신 일터나 주민 자치공간으로 잘 활용되는 곳도 있지만, 아직 활용방안을 찾지 못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망가지고 버려진 곳을 계속 방치하다 보면 점차 우범지대가 된다는 깨진 유리창 법칙.
한때 든든한 동네 지킴이였던 이 치안센터들이 이젠 불안감을 부추기는 깨진 유리창이 되고 있습니다.
관계 당국의 빠른 조치가 필요합니다.
[작가 강은혜 / VJ 김수빈 / 영상편집 지윤정 / 취재지원 장민창]
정희윤 기자 chung.heeyun@jtbc.co.kr
[핫클릭]
▶ "계엄 선포? 놀랍지 않아"...세계 석학이 내놓은 해법이
▶ 윤 체포되자…"김성훈, 명령 거부자들 다 죽여버리겠다고"
▶ 옛 부하 "김용현 고소하겠다"…미담 조작 사건 재점화
▶ 고소득 미래 위한 빌드업? 영유아 사교육 광풍 어쩌다..
▶ "테슬라 안 사면 바보" 주식 매수 추천한 美 장관 논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관련링크
- 이전글민가로 바짝 붙은 산청 산불 25.03.21
- 다음글김성훈 경호차장, 구속영장 기각 25.03.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