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복궁 낙서, 19일만에 다 지웠다…"비용 청구 검토중"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경복궁 낙서, 19일만에 다 지웠다…"비용 청구 검토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2회 작성일 24-01-04 06:17

본문

뉴스 기사
복구된 경복궁 담 4일 공개

서울 종로구 경복궁 고궁박물관 방향 담벼락에서 문화재청 관계자들이 스프레이 낙서로 훼손된 현장 복구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낙서 테러로 훼손됐던 서울 경복궁 담장이 복구를 마치고 시민 앞에 다시 모습을 드러낸다.

문화재청은 4일 오전 경복궁 영추문과 국립고궁박물관 쪽문 주변에 설치했던 가림막을 걷고 낙서 제거 작업을 마친 담장을 공개한다. 지난해 12월 16일 낙서로 훼손된 담장 주변을 가림막으로 가린 지 19일 만이다.

그간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재보존과학센터와 국립고궁박물관 소속 보존 처리 전문가 수십 명은 붉은색과 푸른색 스프레이 래커로 오염된 흔적을 지우는 데 주력해 왔다. 최근 세척과 색 맞춤 등 후반 작업을 마쳤으며 전문가 자문도 거쳤다.

경복궁 영추문 스프레이 낙서 복구 작업. 연합뉴스

문화재청은 이날 국립고궁박물관 강당에서 브리핑을 열어 그간의 작업 경과를 설명하고 비슷한 사태 재발을 막기 위한 종합 대책을 발표한다.

앞서 문화재청은 경복궁을 비롯한 4대 궁궐과 종묘 등 주요 문화유산의 외부를 살펴볼 수 있는 CCTV를 증설하고 순찰 인력을 늘릴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궁궐과 종묘, 조선왕릉에는 낙서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의 안내판도 설치하고 있다.

경복궁 영추문 스프레이 낙서 복구 작업. 연합뉴스

당국은 특히 낙서 제거 비용을 청구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 중이다. 문화재보호법은 지정문화재에 글씨를 쓰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의 행위를 금하고 있으며 이를 어기면 원상 복구를 명령하거나 관련 비용을 청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경복궁관리소 측은 비슷한 사건이 있는지, 구상권을 청구할 때 절차가 어떠한지, 훼손한 당사자가 미성년자일 때는 어떤 대응이 필요한지 등을 법무법인과 함께 검토 중이다.

경복궁 담장을 스프레이로 낙서해 훼손하고 도주했던 10대 남녀 피의자. 연합뉴스

경복궁 담장에는 지난해 12월 16일 새벽 붉은색과 푸른색 스프레이 래커로 쓴 ‘영화 공짜’ 등의 문구가 발견됐다. 경찰은 CCTV 등을 분석해 임모18군과 여자친구 김모17양이 낙서를 한 것으로 확인하고 체포했다.

이들은 ‘불법 영상 공유 사이트 낙서를 쓰면 돈을 주겠다’는 제안을 받고 범행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이들 청소년이 낙서하도록 부추긴 교사범을 추적 중이다.

최초 낙서 사건 다음 날인 지난달 17일 스프레이 래커로 역시 경복궁 담장에 가수의 이름과 앨범 제목 등을 쓴 혐의를 받는 설모29씨는 구속돼 최근 검찰로 송치됐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90
어제
965
최대
2,563
전체
420,63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