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의심 사고 늘어나는데…"국토부 조치는 제자리걸음"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급발진 의심 사고 늘어나는데…"국토부 조치는 제자리걸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8회 작성일 23-10-10 16:18

본문

뉴스 기사
허영 의원 "원론적인 검토 중 입장뿐…심각한 직무 유기"
2010년 이후 급발진 의심 사고 787건…전기차 비중 늘어

급발진 의심 사고 늘어나는데…quot;국토부 조치는 제자리걸음quot;강릉 급발진 의심 사고 선처 탄원서
[연합뉴스 자료사진]

춘천=연합뉴스 박영서 기자 = 반복되는 급발진 의심 사고에도 정부가 방지책 마련에 미온적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춘천·철원·화천·양구갑은 10일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대한 자료 요구 회답을 확인한 결과 국토부가 제동 압력 센서값 기록 제도화, 페달 블랙박스 장착 추진 등 조치에 대해 여전히 검토 또는 협의 중이라는 입장만 밝히고, 이를 증빙할 문서는 일절 제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허 의원은 지난해 12월 강릉에서 급발진 의심 사고로 12살 손자가 숨지고, 운전자인 할머니가 형사입건된 사례 이후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호언장담했던 후속 조치가 실제로는 아무것도 이행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국토부가 내놓은 제동 압력 센서값 기록 제도화, 페달 블랙박스 장착 추진 모두 제동 페달에 분명히 압력을 가했음에도 차량이 급가속했음을 입증할 증거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실현된다면 급발진 의심 사고에서 의심이라는 꼬리표를 떼고 급발진 사고라는 확신으로 바뀔 수 있다.

차량 결함 원인 입증 책임을 소비자에서 제조사로 전환하는 제조물 책임법 개정안 논의도 탄력을 받을 수 있다.


PYH2023032009370006200_P2.jpg경찰서 나서는 급발진 의심 사고 할머니
[연합뉴스 자료사진]

허 의원은 "해당 논의의 진행 경과를 알기 위해 국토부에 설명자료와 공문 등 증거를 공식 요구했으나 돌아온 답변은 사고기록장치EDR 기록항목의 국제기준 수준 확대 검토 중이라는 원론적인 단문뿐이었다"고 밝혔다.

이어 "어디에도 제동 압력 센서값 언급은 물론 업계와의 협의 내용도 없었다"며 "페달 블랙박스 역시 설치를 권고하거나 업계와 협의 중이라는 짧은 설명뿐이었다"고 꼬집었다.

허 의원은 이 같은 답변을 두고 "국가의 책무를 다하는 데에 충실했느냐는 질문에 면피를 위한 국토부의 공허하고도 일방적인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또 강릉 사고 훨씬 전부터 국제적으로 차량 안전 강화를 위해 EDR 기록 항목 보강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을 들어 국토부의 안이함을 지적했다.

허 의원이 한국교통안전공단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3년부터 최근까지 급발진 의심 사고 787건이 발생했다.

올해는 9월까지 21건을 기록해 지난해 15건을 이미 앞질렀다.

차량 연료별로 보면 최근 3년 동안 전기차 비중이 2021년 8건, 2022년 6건, 2023년 6건으로 이전보다 2배가량 늘었다.

허 의원은 "최소한의 노력이 있었음을 가늠할 그 어떤 내용도 없다는 건 심각한 직무 유기"라며 "EDR 기록항목 개선을 비롯한 급발진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조치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사안인 만큼 국토부가 말이 아닌 행동에 즉각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PCM20220921000057054_P2.jpg허영 더불어민주당 의원
[허영 의원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onanys@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국감현장] 유인촌이 부른 서른즈음에?…문체위서 딥페이크 시연
동대문구서 실종된 남성, 노원구 야산서 숨진 채 발견
동물단체, 화천 마지막 웅담 채취용 사육장서 반달가슴곰 구조
지옥이 된 축제…하마스 트럭 본 엄마 "제발 딸 시신이라도"
모텔서 딸 낳고 2층 창밖으로 던져 살해…40대 엄마 체포
수억대 태양광 사업한 한전 직원, 260만원 스위트룸 前가스공 사장
[삶] "갓난 강아지 애타게 우는데…어미에서 떼어내 사흘 굶겨 죽여"
반성문 13번 제출한 정유정…재판부 "반성인지 아닌지 헷갈려"
246만명 투약분 필로폰 밀반입 다국적조직 검거…총책 추적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71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44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