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69시간 역풍 맞은 노동부 "11월초 개편안 설문 공개" >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사회기사 | natenews rank

주 69시간 역풍 맞은 노동부 "11월초 개편안 설문 공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3-10-10 13:00 조회 40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장시간 노동 논란에 지난 3월 윤 대통령 재검토 지시

민주노총 청년 활동가들이 지난 4월15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고용노동청에서 열린 ‘근로시간 기록·관리 우수 사업장 노사 간담회’에서 이정식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주 69시간제 폐기를 촉구하며 기습시위를 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고용노동부가 장시간 집중 노동 논란으로 역풍을 맞았다가 보완에 나선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의 토대가 될 설문조사 결과를 다음 달 초에 발표한다고 밝혔다.

이성희 고용노동부 차관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출입기자단을 만나 근로시간 개편안 관련 설문조사 발표 시기에 대해 “11월 초에는 설문 조사 결과를 공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노동부는 지난 3월 연장근로시간 산정 단위를 현행 1주에서 월·분기 1년으로 유연화하는 근로시간 제도 개편안을 발표하고 입법예고 했다가 주 최장 69시간6일 근무 기준까지 장시간 노동이 가능해졌다는 비판에 직면했다. 결국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3월 22일 생중계 국무회의에서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는 무리”라며 노동부에 재검토를 지시했고, 노동부는 지난 6~9월 국민 6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FGI 조사, 노사 면접조사 등 대국민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 차관은 “설문 결과를 가지고 조사 수행기관과 전문가들이 같이 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며 “그 분석이 끝나면 국민과 노사의 의견을 반영한 분석결과 보고서를 10월까지 제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보고서가 제출되면 그것을 토대로 11월 초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차관은 설문조사 내용에 대해선 “크게 세 가지”라며 “현재 근로시간 제도에 대해 국민과 노사가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현재 근로시간 제도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앞으로 어떻게 개편했으면 좋겠는지”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설문 결과를 가지고 보완 방향을 제시하는 데까지는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방안 마련은 추가 검토와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당초 노동부는 9월 정기국회에 재입법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그 바탕이 될 설문조사 발표마저 11월로 미뤄지며 올해 안에 재입법안이 국회에 제출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김해정 기자 se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초유의 이스라엘인 130명 인질 사태…무력충돌 위기 최고조

긴축 재정? 윤 대통령 순방엔 예외…578억 역대 최대 편성

이스라엘, 물·전기 다 끊는다…‘최대 감옥’ 가자지구 생사 기로

[단독] 청와대 돌려준다더니…대통령실 맘대로 쓰게 규정 바꿔

사우디, 팔레스타인 편에 섰다…빈살만 “분쟁 종결 위해 노력”

민주 “김행, 회사에 9억 손해 끼치며 이득”…배임 혐의 고발

‘이태원 참사’ 주무 이상민 “책임자 그만둬선 재난 예방 못 해”

가짜뉴스 근절 내세웠지만…‘JMS 민원 창구’ 된 방심위 심의센터

“이스라엘, 미국에 ‘가자지구 진격’ 뜻 전달”…사망 1500명 넘어

중국, 아예 한글로 ‘불닭볶음면’…“K푸드 대놓고 모방”

한겨레>


▶▶소방관의 오늘을 지켜주세요 [한겨레 캠페인]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한겨레 네이버에서 구독 클릭!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