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빈곤율 또 OECD 1위…40% 넘는 나라는 한국 뿐
페이지 정보
본문
OECD 한눈에 보는 연금 2023 보고서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한국의 노인 빈곤율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를 벗어나지 못했다. 19일 OECD가 최근 공개한 보고서 ‘한눈에 보는 연금 2023Pension at a glance 2023’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한국의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소득 빈곤율은 40.4%로, OECD 회원국 평균14.2%보다 3배 가까이 높았다. 소득 빈곤율은 평균 소득이 빈곤 기준선인 ‘중위가구 가처분소득의 50% 미만’인 인구의 비율이다. OECD 가입국 중 노인의 소득 빈곤율이 40%대는 한국이 유일하다. 한국 다음으로 높은 에스토니아34.6%, 라트비아32.2%는 30%대를, 일본20.2%과 미국22.8%은 한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노인 빈곤율이 낮은 국가들은 아이슬란드3.1%, 노르웨이3.8%, 덴마크4.3%, 프랑스4.4% 등 주로 북유럽이나 서유럽 국가들이었다. 한국 노인의 빈곤율은 고령층으로 갈수록 더 악화했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 중 66∼75세의 노인 소득 빈곤율은 31.4%인데 비해, 76세 이상은 52.0%로 2명 중 1명 이상이 빈곤층에 속했다. 성별로 보면 66세 이상 한국 여성의 소득 빈곤율은 45.3%로 남성34.0%보다 11.3%포인트 높았다. OECD 평균은 남성 11.1%, 여성 16.5%였다. OECD는 “여성 노인은 소득 관련 연금 급여가 적고, 기대수명이 길어 남성 노인보다 빈곤율이 높다”며 “한국은 남성과 여성 노인의 빈곤율 차이가 11%포인트가 넘어 비교적 격차가 크다”고 분석했다. 노인들은 대부분의 OECD 회원국에서 전체 인구보다 가처분소득이 적었지만, 한국은 특히 그 상황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 회원국 66세 이상 인구의 평균 가처분소득은 전체 인구 평균 가처분소득의 88.0%였다. 66∼75세 93.2%, 76세 이상 80.9%로 나이가 들수록 가처분소득이 줄어들었다. 한국의 노인 인구 가처분소득은 전체의 68.0%로, 리투아니아67.4% 다음으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낮았다. 76세 이상은 58.6%로 OECD 최하위였다. 일본의 노인 인구 가처분소득은 85.2%, 미국은 93.2%였고, 76세 이상은 일본 78.0%, 미국 83.8%였다. 한국 노인은 계층 간 소득도 불평등한 편에 속했다. 66세 이상 노인 인구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76으로, OECD 평균0.306보다 컸다. 지니계수는 소득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뜻이다. 특히 한국 노인의 소득불평등은 전체 인구의 불평등보다 더 심각하다는 점에서 우려를 낳는다. 통상 기초연금 등 연금제도의 소득 재분배 특성으로 인해 연금 수급 대상인 노인층의 소득 불평등은 전체 인구보다 낮은 경향을 보인다. OECD 평균 노인 인구의 가처분소득 지니계수는 0.306으로, 전체 인구0.315보다 작다. 그러나 한국은 노인 인구의 지니계수0.376가 전체 인구0.331보다 컸다. 노인층의 소득 불평등이 전체 인구보다 심하다는 의미이다. 다만, 한국 노인의 고용률은 높았다. 작년 기준 한국의 65∼69세 고용률은 50.4%로, OECD 회원국 중 일본50.9%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해당 연령대의 OECD 평균 고용률은 24.7%였다. OECD는 “한국의 연금 제도는 아직 미성숙하며, 고령 노인이 받는 연금은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의 연금 소득대체율연금 가입기간 평균소득 대비 받게 될 연금액의 비율은 31.6%로, OECD 평균50.7%의 3분의 2에도 미치지 못했다. 이는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과 강제적 사적 연금을 합쳐서 따진 결과다. 강제적 사적 연금은 덴마크, 네덜란드, 스웨덴, 영국 등 8개국에서 ‘준강제적’으로 운영하는 사적연금을 말한다. 은퇴 후 가처분소득을 은퇴 전 근로활동 때 가처분소득과 비교한 ‘순연금대체율’도 35.8%에 불과해, OECD 평균61.4%의 절반을 약간 넘는 수준에 불과했다. 김원섭 고려대 사회학과 교수는 “한국의 노인은 보통 70세까지 계속 일을 하지만, 정부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공적연금 지출이 3.6%로 OECD의 절반 수준에 불과할 정도로 적어 노인 빈곤이 발생하고 있다”며 “공적연금 지출을 OECD 평균 수준으로 올려야 하고, 특히 당장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기초연금 지출을 늘려야 한다”고 지적했다. thlee@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영상] 여성팬 밀쳐 바닥에 내동댕이…“아이돌 경호, 폭력 수준” ▶ “가수 홍기도 고생했다는 ‘질환’” 실제 사진 충격…아무도 몰랐던 ‘사실’ ▶ 백종원 “엄청난 배신감”…예산시장서 신고당해 서운함 ‘폭발’ ▶ “유재석·임영웅·손흥민이 이낙연 신당 지지?”…‘논란’ 포스터, 알고 보니 ▶ 김석훈 “月지출 100만원 이내”…소득 1분위 평균이 123만원인데, 이게 가능? [투자360] ▶ 걸그룹 능가하는 ‘이효리 파워’?…5개월 만에 42억 벌었다 ▶ “성관계 몇명이랑 했어?” 사유리, 원로연예인 성희롱 폭로 ▶ ‘장사천재2’ 백종원이 지휘하는 천재즈의 ‘핀초 포테’ 대처 작전 ▶ ‘저세상 미모’ 조민, DNA검사 결과 보니 “인도 나올 줄 알았는데 뻔한 결과” ▶ “잘 때 무호흡 20번”…이필모 5살 子, 아데노이드 수술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
관련링크
- 이전글18층 아파트 옥상서 애정행각 젊은 남녀…"저러다 추락사 20대女 잊었... 23.12.19
- 다음글걸어 들어간 대학병원서 식물인간으로 나왔다…"5억 배상" 23.1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