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물은 웃돈 거래…기후동행카드 잘나간다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실물은 웃돈 거래…기후동행카드 잘나간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7회 작성일 24-02-04 21:27

본문

뉴스 기사
발행 일주일 만에 31만장 돌파…3천원짜리 실물카드 품귀
“하반기 지하철 요금 오르면 절약 효과 커져” 기대감 상승


서울시의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의 평일 사용이 시작된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시청역에서 한 시민이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시의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의 평일 사용이 시작된 지난달 29일 서울 중구 시청역에서 한 시민이 카드를 사용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서울시의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가 도입 일주일 만에 누적 판매 30만장을 넘겼다. 평일 하루 이용객이 20만명대로 급증하며 적용 범위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수도권 교통비 할인을 두고 정부·지자체 경쟁이 본격화한 가운데 선점 효과를 이어갈지 주목된다.

4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2일 기준 기후동행카드 누적 판매량은 31만5000장을 기록했다. 특히 모바일12만4000장보다 실물카드19만1000장 수요가 많았다.

실물카드는 예비용 10만장을 포함해 초기 20만장이 준비됐으나 예상보다 물량 소진이 빨라 품귀현상까지 빚고 있다. 중고거래 플랫폼에서는 정가3000원의 3배가 넘는 1만원에 거래되기도 한다. 서울시는 15만장 규모로 긴급 생산에 나서 오는 7일부터 순차적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공공정책에 대한 이 같은 이례적인 호응은 전국 첫 무제한 교통카드로 소비자들의 비용 절감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신정동 주거지와 광화문 직장을 오가는 김모씨는 출퇴근길 병원과 약속 장소 등을 들러 하루 평균 4~5회 지하철·버스를 이용, 월 12만원 안팎의 교통비를 지출해왔다. 김씨는 “따릉이 이용권이 없는 6만2000원권 기후동행카드를 사면 교통비가 반값이 된다”며 “하반기 지하철 기본요금이 150원 더 오르면 절약 폭은 더 커지는 셈”이라고 말했다.

도입 초기 이용 범위가 서울 시내로 제한적인데도 이용률은 증가세다. 첫 평일이었던 지난달 29일 14만2000명, 지난 1일 19만8597명에 이어 2일 20만8763명으로 20만명대에 진입했다.

지하철의 경우 강남역·구로디지털단지역·신림역·잠실역·선릉역 등 일자리 밀집 지역이 기후동행카드 승하차객 수 상위권을 차지해 출퇴근용 비중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시내버스는 143·160·130·152번 등 장거리 구간 노선에서 이용률이 높았다.

서울시는 서민 생활비 부담을 줄인 기후동행카드가 향후 대중교통 이용률을 높여 탄소배출을 감축하는 효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서울 시내 이동수단 분담률을 보면 2019년 65.6%까지 늘었던 대중교통 비중은 52%까지 떨어졌다. 대신 같은 기간 승용차는 24%에서 38%까지 늘었다. 서울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의 17%는 수송 분야에서 발생한다. 승용차 배출량은 지하철의 137배, 버스의 8배에 달한다.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로 연간 1만3000명의 승용차 이용객이 대중교통으로 전환되면 탄소배출 3만2000t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독일은 지난해 월 49유로, 약 7만원에 고속열차 등을 제외한 전국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는 정기권을 도입해 100만명이 이동수단을 승용차에서 대중교통으로 바꾸는 효과를 냈다.

윤종장 서울시 도시교통실장은 “이동 방식의 변화는 소비·생활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대중교통 활성화에 따른 탄소배출 감축 규모와 함께 이동량과 범위 증가에 따른 경제활동 촉진 등의 효과도 확인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김보미 기자 bomi83@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촌스럽다” MZ세대 외면받는 하이힐, 왜?
· 늙으면 왜, 사레가 잘 들릴까요?
· “우리아들 생일인데···” 최동석, 박지윤과 이혼 뒤 착잡한 심정
· ‘빨간 딱지’ 덕지덕지…화곡동은 지금 멀쩡한 집들도 경매 넘어간다
· 이수정, ‘김건희 명품백 의혹’ “성폭력 그루밍”에 비유
· 김계환 사령관, 박정훈 대령 겨냥 “영웅 심리로 해병대 흔들어”
· 한동훈, 의원 정수 이어 세비도 ‘축소’ 주장…다만 “개인 생각”이라고
· 부실 감찰에 검사장 승진까지···검찰 ‘피고인 손준성’ 봐주기 논란
· 윤 대통령 “의료개혁 골든타임…일부 반대로 후퇴”
· 김경율, 오늘은 노무현재단 때리기···한동훈 “이래서 모셔”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진보? 보수? 당신의 정치성향을 테스트해 보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26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16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