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원씩 보내며 "집 앞이다" "전화 받아라"…악질 스토킹 대처 어떻게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1원씩 보내며 "집 앞이다" "전화 받아라"…악질 스토킹 대처 어떻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4회 작성일 24-02-01 08:50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계좌에 1원씩 보내는 사람이 누구인가 봤더니 집 앞이다, 불 지른다는 위협이었습니다. 전화를 차단하자 스토킹 가해자가 벌인 방법입니다. 이런 악질 스토킹 어떻게 대처할 수는 없을까, 지자체가 나서기로 했습니다.

강버들 기자입니다.

[기자]

전화를 차단해도 스토킹 가해자는 포기하지 않았습니다.

1원씩 보내며 송금자명에 전화 받아라 집 앞이다, 불 지른다를 썼습니다.

20대 피해 여성, 남자 친구의 폭언·폭행을 못 견뎌 헤어지자고 했습니다.

연락을 안 받으니 금융 서비스 앱까지 이용해 스토킹을 계속한 겁니다.

중고 거래 앱에서 직거래를 요구하는 이 사람도 스토킹 가해자입니다.

접근금지 명령도 소용없었습니다.

이렇게 피해자들의 일상은 망가집니다.

[스토킹 피해자 : 도어락 번호를 바꿨는데도 누르고서…도어락이 망가진 적이 있고요. 집에 있을 때 불도 못 켰어요. 불 켜면 보이잖아요, 창문이…]

이 20대 피해자도 집에서 못 견뎌 다른 지역 친구네로 몸을 피했습니다.

하지만 언제까지 이렇게 버틸 수는 없습니다.

늘 무섭고 불안한 마음, 지자체에서 이주비를 지원받아 집을 옮기고서야 나아지고 있습니다.

[스토킹 피해자 : 예전에는 외향적이어서 밖에 나가는 걸 좋아했는데… 심리 상담 받아서 다시 사회생활 할 수 있는 힘을 키우고 싶습니다.]

개인이 피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경찰도 보살피지 못하는 공백을 지자체가 맡기 시작했습니다.

지난해 9월부터 이 여성 등 스토킹 피해자 136명을 도운 서울시는 올해 지원을 더 확대합니다.

최장 30일 머물 수 있는 긴급주거시설은 2곳에서 3곳으로 늘렸습니다.

[이성은/서울시 양성평등담당관 : 비상벨을 누르면 경찰과 긴급 신고가 되고요. 안심장비들이 갖춰져 있어서…]

민간 경호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기존보다 3배 늘려 60명에게 제공합니다.

그동안 접근 금지 명령을 받아도 사전에 가해자 접근을 막을 방법은 없었습니다.

이런 지원을 받고 싶다면, 경찰에 신고한 뒤 조사 과정에서 희망을 밝히면 됩니다.

강버들 기자 kang.beodle@jtbc.co.kr [영상취재: 유연경 / 영상편집: 박수민]

[핫클릭]

난데없이 돌멩이 휙 코뼈 골절 날벼락…무슨 일?

내진 철근 모두 빼먹었는데…징계가 고작 OO

눈 녹으니 등장한 도로 위 지뢰…설마 나한테도?

"무서워서 못 살겠다"…위험천만 아파트, 왜?

1번 키커 손흥민…승부차기, 떨렸던 뒷이야기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41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2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