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량진 대게 썩은 거 아냐…日서도 논란, 흑변일 뿐" 어류 전문가 주장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노량진 대게 썩은 거 아냐…日서도 논란, 흑변일 뿐" 어류 전문가 주장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7회 작성일 24-01-03 10:47

본문

뉴스 기사


입질의 추억 갈무리




서울=뉴스1 소봄이 기자 = 고등학생에게 검게 변한 이른바 썩은 대게를 팔아 논란이 된 노량진 수산시장 상인이 영업을 잠정 중단하고 상인징계위 조사를 받고 있다. 이 가운데 해당 대게 사진을 본 수산물 전문가가 "썩은 대게가 아닐 것 같다"고 주장했다.

어류 칼럼니스트 김지민씨는 2일 유튜브 채널 입질의 추억을 통해 지난해 연말 논란이 됐던 노량진 썩은 대게 사건에 대해 다뤘다. 김씨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썩은 게가 아닐 것 같다"고 운을 뗐다.

김씨는 문제의 대게 사진을 보여주면서 "대게 다리 전체가 까맣다기보다는 갈라진 틈 부분, 바깥 공기와 맞닿는 부분과 관절 부분이 까맣다. 공통점은 산소가 드나들고 맞닿는 부분이다. 한 마디로 산화의 흔적"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를 흑변 현상이라고 한다"며 "대게를 많이 먹는 일본에서도 한창 문제 됐다가 오해가 풀린 사건"이라고 했다.

대게나 킹크랩은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이라는 물질을 갖고 있다. 티로신이 체액과 피에 들어있는 티로시네이스라는 화합 물질과 산소를 만나 산화가 일어나면 멜라닌 색소 침착 현상이 나타난다는 게 김씨의 설명이다.


입질의 추억 갈무리




김씨는 "이 때문에 유독 산소와 맞닿는 부분이나 갈라진 틈새가 먼저 까매지고, 이후 전체적으로 번진다"고 부연했다.

다만 대게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상인들도 흑변 현상을 모를 수 있다고 한다. 김씨는 "평생 대게를 팔아도 모를 수 있다. 대게를 수조에 넣고 95% 이상은 산 채로 판매한다. 손님이 찾으면 수조에서 꺼내 바로 찜통에 찌기 때문에 흑변 현상을 볼 일이 거의 없다"고 말했다.

김씨는 "실온이 높으면 2~3시간 만에 까맣게 된다. 특히 절단 대게는 찌지 않은 상태로 두면 흑변 현상이 빠르게 일어난다"며 "학생이 1시간 이상 정도 걸려 대중교통을 이용했다고 한다. 추정이긴 하지만 대중교통에 난방을 많이 틀어놔서 흑변 현상을 촉진했을 수도 있다. 혹은 시장에서 이미 흑변 현상이 있었는데 못 보고 샀을 수도 있다"고 했다.

또 생선 비린내가 났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대게는 자연스러운 비린내를 품고 있다. 맨눈으로 봤을 때 시커멓기 때문에 냄새가 왠지 썩어서 나는 냄새가 아닐까 하고 오해를 할 수도 있다"고 의견을 전했다. 그러면서 "상했으면 암모니아 냄새가 난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김씨는 ""흑변 현상은 신선도에 문제가 없다. 외관상으로 안 좋아 보일 뿐이지, 맛을 변질시키지도 않는다. 적어도 시커멓게 된 건 썩은 게 아니고 흑변 현상"이라고 강조했다.

sby@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31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21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