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표도 아닌데 137만원…K팝은 어쩌다 등골 브레이커가 됐나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암표도 아닌데 137만원…K팝은 어쩌다 등골 브레이커가 됐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8회 작성일 23-05-12 04:31

본문

뉴스 기사
영·미서도 다이내믹 프라이싱 논란인데... 하이브 "북미서 확대" 파장
정가서 세 배 껑충 ①정가표 파이 줄이고 ②고가 대비 혜택 전무 ③ 환불 불가 원칙 피해 비판 잇따라
국내 적용 우려의 목소리... "국내 도입 계획 없어"
06d4aee2-d106-4525-b22a-79a7e51fb6f0.jpg


28c8f05f-1900-4d20-81a3-dfbec9510641.jpg

1,036달러90센트약 137만 원.

한국에 사는 직장인 A씨가 지난달 미국 뉴욕주 벨몬트 파크 공연장에서 열린 그룹 방탄소년단 멤버 슈가의 공연 푯값으로 지출한 돈이다. A씨가 산 티켓은 암표도 VIP석도 아니다. 그의 좌석은 무대를 정면으로 바라봤을 때 우측 1층 18번째 줄. 좋아하는 가수 얼굴을 정면으로 볼 수도 없는 자리였다. K팝 공연의 푯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K팝 아이돌 공연 일부 티켓 가격은 미국 등에서 100만 원을 훌쩍 넘어섰다. K팝 공연이 관객들의 등골 브레이커가 된 것이다.

94da85a2-92c8-49e9-8541-3dea114061fe.jpg


67f55b24-16c1-4745-8a1c-e94958d8280f.jpg


"낮지 않고 높기만" 탄력제의 함정

K팝 공연의 티켓 가격 폭등은 실시간 수요에 따라 가격이 달라지는 다이내믹 프라이싱Dynamic Pricing·가격변동제를 국내 기획사들이 미국 공연 등에 적용하면서 촉발됐다. 가격변동제는 미국의 티켓 판매 플랫폼인 티켓마스터의 서비스다. 하이브는 미국에서 4, 5월 진행하고 있는 슈가의 공연, 이달부터 미국에서 열린 그룹 투모로우바이투게더 공연에 이 가격제를 도입했다. 가격변동제는 공급보다 수요가 많으면 정가보다 높게, 반대면 낮게 책정하는 원리. 하지만 인기가수 공연은 늘 치열한 티케팅 전쟁이 벌어지는 실정을 감안할 때 최대한 높은 가격을 받아내는 방식으로만 쓰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슈가 미국 공연 티켓을 가격변동제로 예매한 한국 관객 두 명을 취재해 보니 A씨는 1,036달러90센트1장, 1층를, B씨는 2,067달러80센트2장, 1층를 지불했다. 1층 좌석 티켓 한 장의 정가가 300달러대였던 것을 고려하면 3배나 되는 가격이다. 300달러대였던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미국 로스앤젤레스 공연 1층 객석도 가격변동제가 적용되자 가격은 796달러수수료 제외로 둔갑했다. 이 티켓들엔 모두 최상위 등급이란 뜻의 플래티넘이란 이름표가 붙었다. 이 시스템은 암표 거래를 막고 티켓 수익을 가수와 공연 업체에 돌려줘 결국 공연 산업을 성장시킨다는 게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하이브와 JYP, YG엔터테인먼트 등 국내 대형 K팝 기획사들이 북미와 영국 공연에서 가격변동제를 시행했거나 적용하고 있다.

b6cce161-d9c6-4ed4-83d2-c6f3b2b9c132.jpg


b129b0c8-2fcc-4ca3-9c82-820043f6d3b1.jpg


"암표 소멸? 오히려 정가 표 파이 줄여"

K팝 팬들은 가격변동제에 대해 세 가지 이유로 크게 반발하고 있다. △가격변동제 티켓이 정가로 살 수 있는 표의 파이를 줄이고 △고가에 걸맞은 특별한 혜택이 전무하며 △환불 불가 원칙이라 소비자 피해가 크다는 것이다. 가격변동제로 티켓을 산 A씨는 한국일보와 통화에서 "티케팅을 할 때 빨리빨리 클릭해야 해 플래티넘 티켓이라는 고지를 미처 못 보고 예매를 진행했다"며 "결제된 가격을 보니 130만 원이 넘어 너무 놀라 예매를 취소하려고 2주 동안 예매처티켓마스터에 취소 문의를 하고 상담사들과 통화했는데 환불 불가란 입장만 반복해 할 수 없이 결제했다"고 말했다. 그는 "아직도 너무 화가 난다"고 억울해했다. 역시 가격변동제 티켓인 줄 모르고 예매한 B씨는 "리허설 때 방탄소년단 멤버들 모습을 보고 싶어 사운드체크까지 볼 수 있는 VIP 티켓을 사 평소에 공연을 본다"며 "플래티넘 티켓은 그 두 배 이상의 고가인데 정말 특별한 혜택이 있나 알아보니 하나도 없어 누군가를 미친 듯이 좋아하는 마음과 표를 구하고 싶은 간절함이 이렇게 이용만 당하는구나라는 생각에 배신감이 들었다"고 말했다.

940c9535-5b91-4f4f-858d-b35b8571ee1c.jpg


"관객들 생활고" 해외 가수는 취소하는데

영미권 공연 시장에서도 가격변동제는 뜨거운 감자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 등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유명 가수 브루스 스프링스틴의 미국 투어 때 가격변동제로 티켓 가격이 5,000달러까지 치솟았다. 가격변동제는 전체 좌석의 10%대로 적용된다. 이후 가격변동제 논란이 잇따르자 일부 가수 측은 "가격변동제는 티켓예매처티켓마스터의 알고리즘으로 적용되고 공연기획사의 소관"이라고 해명했지만, 티켓마스터 측은 "공연기획사와 아티스트 대표기획사가 모든 티켓에 대해 가격변동제 책정 전략과 가격 범위 매개변수를 설정한다"고 반박해 논란이 커졌다. 이 가격제의 부작용이 속속 드러나자 영국 가수 톰 그래넌은 "경제위기로 인한 생활고가 한창이라 가격변동제 옵션을 취소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f5973d5f-2dad-4803-ac39-9bbc863086fb.jpg

사정이 이런데도 하이브는 최근 진행한 올해 1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가격변동제를 다른 가수도 미국에서 공연할 경우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하이브가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가격변동제 확대 적용의 뜻을 내비치자 K팝 팬덤에선 국내 시장에도 도입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우리는 가수의 공연을 정가에 살 권리가 있다"며 노 다이내믹 프라이스란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이 잇따라 오르고 있다. 일부 K팝 팬덤은 10일 서울 용산구 하이브 사옥 앞에서 다이내믹 프라이스를 철회하라는 요구를 스크린에 띄워 트럭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김성환 음악평론가는 "미국 공연에서 K팝 아이돌이 매주 수목금토일 공연하면 수요일 평균 관객수요와 주말 관객 수요를 비교해 주말 공연을 더 비싸게 받는다면 수긍이 될 것"이라면서도 "하지만 지역을 돌아가며 단발성으로 열리는 K팝 공연에서 단지 수요를 빌미로 가격변동제를 활용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꼬집었다. 김도헌 음악평론가는 "지난해 테일러 스위프트 공연 때 가격변동제 등으로 인한 가격 폭등으로 미국 의회에서 청문회까지 열렸다"며 "영미권에서도 논란이고 K팝이 그 주류시장의 문법과 다른 대안 문화로 영향력을 키워온 것을 고려할 때 이 시스템 도입을 더 신중하게 고민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하이브 관계자는 "가격변동제의 북미 지역 외 추가 도입은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양승준 기자 comeon@hankookilbo.com



관련기사
- 서자 차별보다 질겼던 남녀 차별 장남 제사 주재 15년 만에 깨졌다
- 금연 부탁에 커피잔 던진 남성들, 알고 보니 자영업자…재물손괴 입건
- 가면 10만 원, 안 가면 5만 원? 한국화 된 축하의 세계 축의금
- 맞지 않은 옷 생방송 욕설 후 그룹 탈퇴한 아이돌
- 마중 나온 엄마 앞에서... 수원 우회전 사고에 횡단보도 위치 바꿔야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45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95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