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점검해도 소용없다…30년 전 건물은 누전 사고 무방비 >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사회기사 | natenews rank

[단독] 점검해도 소용없다…30년 전 건물은 누전 사고 무방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4-01-02 21:16 조회 34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지난달 3명이 감전돼 숨진 세종시의 목욕탕은 불과 6개월 전 전기 안전검사에서 문제가 없다는 결과를 받았는데도 사고가 났습니다. 안전 검사가 요식 행위처럼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최연수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입구에 출입 통제선이 쳐져 있습니다.

누전차단기엔 먼지가 쌓여 있습니다.

지난달 감전사고가 났던 세종시의 목욕탕입니다.

불과 6개월 전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검사를 통과했지만 결국 3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공사에서 10년 가까이 안전점검을 해온 직원은 이유가 있다고 털어놨습니다.

[A씨/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 : 예를 들어 40년 전이라 쳐요. 그때는 누전 차단기조차 없던 곳도 있어요. 그러면 그때점검기준는 적합인데, 지금 봤을 때는 기절할 노릇이죠.]

실제로 점검기준표를 보면 1993년이 돼서야 누전차단기가 설치됐는지, 제대로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했습니다.

그 전에 지은 건물은 아예 대상이 아닌 겁니다.

이번에 사고가 난 건물은 1984년에 지어졌습니다.

점검을 해도 사고가 날 수밖에 없었던 겁니다.

문제는 또 있습니다.

안전공사 측은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하루 점검을 60건 정도로 맞추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많을 땐 130건도 해야 합니다.

[A씨/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 : 배분은 60개, 70개인데 점검하면 100개가 넘는 거예요. 1일 업무일지가 있거든요.]

현장에서 더해지는 각종 업무지원들 때문입니다.

하루 60건도 버거운데 더 더해지니 제대로 점검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현실적인 제약도 있습니다.

[A씨/한국전기안전공사 직원 : 누전되는 정도를 확인하려면 전기를 내려야 되는데, 남의 사업장 가서 전기를 내려달라, 점검하겠다 하는 게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죠.]

안전공사 측은 규정은 소급적용할 수 없다며 정부와 협의해보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김윤나]

최연수 기자 choi.yeonsu1@jtbc.co.kr [영상편집: 김영선]

[핫클릭]

이재명 급습한 파란 왕관 피의자…지난달에도 접근

괴한에 커터칼·망치 맞은 정치인들…과거 사례 보니

"1억원 벌어준 나, 애국자?" 불법주정차 신고 인증글

대출금리가 연 1%대?…저출생에 효과 있을까

[인터뷰] 초고속 6급 승진 충주시 홍보맨, 심경은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