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리포트] 최저임금도 못 받는 청년 프리랜서들…"생계 유지 어려워요"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D리포트] 최저임금도 못 받는 청년 프리랜서들…"생계 유지 어려워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2회 작성일 24-01-03 21:53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2년째 프리랜서 시각디자이너로 일하고 있는 A 씨.

직종 특성상 정규직이 잘 없어 프리랜서로 일하고 있는데, 올해로 이 생활도 청산했습니다.

생계유지가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프리랜서 시각디자이너 A 씨 : 프리랜서가 돈벌이가 아무래도 불규칙적이고 안정 적인 수입원이 없으니까 불안하고 긴장도 계속 많이 되고 임금 체불 문제도 있다 보니까 정규직을 찾기 시작했어요. 올해 들어서.]

A 씨처럼 불안정하고 소득이 적은 청년 프리랜서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청년 노동조합, 대구청년유니온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문서작성, 웹 개발, 디자인, 영상 편집 등에서 일하는 프리랜서 128명의 노동 실태를 조사했더니 응답자 가운데 60% 이상이 월 200만 원 미만을 벌고 있었고, 이 가운데 40%가량은 월 100만 원도 되지 않았습니다.

최저 임금 9천860원 기준으로 주 40시간 일할 경우 받는 월급 206만 740원보다도 적습니다.

또 절반 이상이 일방적인 보수 삭감이나 보수를 제때 받지 못한 경험이 있다고 했습니다.

프리랜서로 일하며 가장 어려웠던 점은 일감 구하기가 어렵다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낮은 보수, 업체의 잦은 변경 순이었습니다.

[프리랜서 시각디자이너 A 씨 : 일자리 자체가 수도권에 몰려 있어요. 그래서 일감도 서울에서 떨어져서 하청의 하청으로 대구까지 내려오는 거예요. 그렇다 보니까 결국 서울에 있는 일감을 받아서 하는 거거든요. 대구에는 그냥 일자리가 없어요.]

현행법에 노동자가 아니라는 이유로 노동자 권리보장에서 배제되는 프리랜서, 공적 안전망 밖에 있는 이들을 위한 근로 환경 개선이 시급합니다.

취재 : 안상혁 TBC / 영상취재 : 김영상 TBC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인/기/기/사

◆ "이재명 상처만 보고 판단하면 안돼"…전문가 놀란 이유

◆ "방송 항상 틀고 다니더니"…이재명 피습 피의자 평판

◆ "둘이 궁합이 잘 맞아, 알지?"…기자 앞 눈물 흘린 피해자

◆ 기절하도록 때렸던 전 남친…출소 후 "근처로 이사 계획"

◆ "내 2억 날렸네" 불만 폭주…국내 1등 게임 기업, 결국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78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89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