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여성 27.4% 우울증 경험…한국여성의 2배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결혼이주여성 27.4% 우울증 경험…한국여성의 2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6회 작성일 24-01-01 11:20

본문

뉴스 기사
게이티미지뱅크 코리아


한국 남성과 결혼하기 위해 우리나라로 이주한 외국인 여성의 우울증 경험률이 한국 여성보다 2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이 1일 공개한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2023’에 따르면, 2021년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27.4%로 한국 여성14.1%보다 약 2배 높았다.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2015년 36.7%에서 2018년 27.9% 등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10% 초·중반대인 한국 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편이다.



2015년 조사에서 결혼이주여성의 우울증상 경험률은 젊은 연령에서 가장 높고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점차 감소하다가 60살 이후 고령층에서 다시 높아지는 ‘유’U자형 패턴이 나타났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번 연령별 우울증상 경험률은 20대 28%, 30대 27.3%, 40대 27.4%, 50대 27.3%, 60대 26.6%였다.



소득이 적고, 한국어 구사 능력이 낮을수록 우울증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 월 가구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결혼이주여성의 37.9%가 우울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으며, 월 가구소득 200만~299만원은 29.3%, 300만∼399만원 26.4%, 400만∼499만원 24%, 500만원 이상 22.5%였다.



한국어 구사 능력이 낮은 결혼이주여성의 31.8%가 우울증상을 경험한 반면, 한국어 실력이 높은 결혼이주여성은 23.2%가 우울증상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출신 국가별로는 필리핀에서 온 여성의 우울증 경험률이 31.5%로 가장 높았고, 타이30.2%, 캄보디아30.1%, 중국27.9%, 베트남25.9%, 일본23.6%, 한국계 중국23.3% 순이었다. 한국 거주 기간에 따른 우울증상 차이는 거의 없었다.



우울증상 경험률이란, 최근 1년 동안 연속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다. 국립보건연구원은 여성의 생애주기를 고려한 건강행태, 만성질환, 성·재생건강 등을 파악하기 위해 2014년부터 ‘수치로 보는 여성건강’ 통계집을 발간하고 있다.



장수경 기자 flying710@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수족관 깨트리자 회 파티하는 마을이 있다

청룡의 해 0시0분 태어난 아홍이…“결혼 12년 만에 만나서 기뻐”

윤 대통령 신년사 “이권·이념 패거리 카르텔 반드시 타파”

[단독] 치킨값 3천원 올린 bhc…‘인상 전 쿠폰’ 손해는 점주가

손흥민의 새해 선물…리그 12호골로 ‘득점 2위’

총선 D-100…승패 가를 5가지 변수

공사비 갈등에 ‘공사 중단’ 위기…‘제2의 둔촌주공’ 나오나

100억→50억→10억→50억…주식부자 9천명을 위한 주식양도세 역주행

정권교체마다 흔들린 포스코…흑역사 되풀이되나

비누와 후추, 외국인이 사랑하는 한글 단어래요

한겨레>


▶▶한겨레의 벗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 ▶▶[기획] 누구나 한번은 1인가구가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54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87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