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지정하곤 그만?…훼손되고 방치된 근현대 유적들 [지워진 역사, 잊...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문화재 지정하곤 그만?…훼손되고 방치된 근현대 유적들 [지워진 역사, 잊...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2회 작성일 23-10-19 10:57

본문

뉴스 기사
전국 근현대사 문화재지도


문화재 지정하곤 그만?…훼손되고 방치된 근현대 유적들 [지워진 역사, 잊힌 유적-국내편]
6·25전쟁 당시 피란민 거주지 부산 동구 매축지마을의 한 폐가. 부산=박혜원 기자
20231018000915_0.jpg
서울 중구에 있는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1928년 12월 30일에 준공된 국내 최초의 근대적 오피스건물로, 경성전기주식회사 사옥으로 사용됐다. [문화재청 제공]

〈지워진 역사, 잊힌 유적-국내편〉 [1] 근현대사 유적지도

[헤럴드경제=김빛나 기자]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6번 출구 앞. 고층 빌딩 사이에 갈색 벽돌이 특징인 저층 건물이 있다. 이 건물은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우리나라 ‘1호 근대문화재’다. 1920년대 지어진 건물로, 경성전기주식회사 사옥으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서울 한복판에 근대의 흔적이 남아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 곳곳에 국가등록문화재근대문화재가 숨어 있다. 문화재청에 따르면 지난 7월 기준 근대문화재는 996개근대건축물 포함로, 추가로 지정되면 올해 1000개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근현대사 유적을 문화재로 지정하기 시작한 역사는 길지 않다. 2002년에 1호 국가등록문화재가 지정됐다. 20여년이 흐른 지금, 문화재들은 어떤 모습으로 우리 곁에 있을까.

헤럴드경제는 지난 8월부터 9월까지 두 달간 서울·경기도 등 수도권을 비롯해 충청남도, 경상남도, 부산, 전라남도 목포 등 전국에 있는 국가등록문화재를 시대별로 살펴봤다.

그 결과, 근대문화재는 쉽게 훼손되고 방치되며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떤 문화재는 폐가가 됐다. 어떤 문화재는 벽면이 부서지는 등 본래의 모습을 잃어가고 있었다. 어떤 문화재는 수풀 사이에 방치되고 있었다.

문화재 1000개 전국에 지정돼도…관리 소홀
20231018000916_0.jpg
전남 목포 번화로에 있는 적산가옥. 한동안 사용되지 않아 벽면이 훼손됐다. 목포=김빛나 기자
20231018000917_0.jpg
충남 아산시 음봉초등학교 후문에 있는 윤치호 기념비. 독립협회와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을 조직하며 독립활동을 한 윤치호는 일본제국의회 귀족원 의원 등의 친일 전력으로 그 이름이 친일인명사전에 올랐다. 그의 기념비는 현재 별도 안내판 없이 수풀 속에 덩그러니 방치돼 있다. 아산=김영철 기자

문화재 관리가 미흡한 이유는 여러 가지다. 수도권에서는 도시 개발 명목하에 사라지는 문화재가, 지방에서는 지역 쇠퇴와 함께 관리 없이 방치되는 사례가 많았다. 또한 일부 문화재의 경우 개인이 소유하고 있어 철거 및 수리를 하더라도 제재를 받지 않은 경우도 상당했다.

근대문화재는 해마다 꾸준히 새 문화재가 지정될 정도로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20일 헤럴드경제가 문화재청의 연도별·시도별 문화유산 자료를 토대로 근현대사 문화재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근대문화재 수가 170개 늘었다. 올해 7월 기준 근대문화재근대건축물 포함 수는 996건,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993건, 2021년에는 937건이었다. 첫 문화재 지정이 20년 전임을 고려했을 때 해마다 평균 50개의 문화재가 지정되는 것이다.

김기수 동아대 건축학과 교수는 “근대역사 유적은 이념적 관점이 상존하는 경우도 많아 문화재로서의 의미와 가치, 역할은 전통문화재와 결이 다르다”며 “특히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유적 등 네거티브 문화재어두운 역사를 다룬 문화재로, 기존 문화재가 가지는 의미와 가치를 달리한다”고 말했다.

‘그대로 남기느냐, 활용하느냐’ 논의 없어
20231018000918_0.jpg

근대문화재는 전국에 고루 분포돼 있다. 문화재청에 등록된 국가등록문화재 중 건축물 유적 625개가 있는 지역을 분석해보니 근대문화재가 가장 많은 지역은 문화재 100개를 보유한 전라남도였다. 2번째로 많은 지역은 전라북도로, 76개 문화재가 있었다. 다른 지역과 비교했을 때 전라도지역은 근대문화재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서울지역도 근대문화재가 76개 있었고, 경남지역이 61개로 뒤를 이었다.

20231018000919_0.jpg
[헤럴드DB]

시대별로는 일제강점기가 많았다. 건축물 유적 625개 중에서 일제강점기 유적은 392개로 절반이 넘었고,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 지어진 건물이 177개로 뒤를 이었다. 근현대사의 아픔을 지닌 유적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해도 무방한 수치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근대문화재를 어떻게 보존하고 관리할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고 지적한다. 한국와 유사하게 아픔의 역사를 지닌 독일의 경우 문화재법을 제정한 보존을 필수적으로 하는 대신, 문화재 가치와 상황에 따라 문화재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김 교수는 “해외의 경우 근대문화재 보존 대상과 방법이 다양하지만 우리나라는 단순히 ‘원형 보존’을 말하며 그 틀 안에서 해법을 찾는다”며 이렇게 제안했다.

“근대문화재는 원형 보존만이 능사가 아니다. 이들의 역사적 가치를 미래 세대에게 어떻게 전달할지를 고민해야 한다. 이에 따라 보존, 유지, 활용 등 방법을 고민해야 할 것이다.”

.
[지워진 역사, 잊힌 유적]
헤럴드경제 ‘지워진 역사, 잊힌 유적’은 역사적 논쟁 속에 사라지는 한국 근현대사 유적을 조명하는 기획 시리즈입니다. 본 기획은 정부 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기획 : 김빛나 기자
팀 구성원 : 김빛나·김영철·박지영·박혜원 기자
지원 :

20231004000778_0.jpg

〈지워진 역사, 잊힌 유적 전체 시리즈〉

〈독일편〉

[1] 뉘른베르크편

-인류역사의 수치를 공개하다

[2] 베를린편

-역사 전쟁없는 도시

〈국내편〉

[1] 근현대사 유적지도

[2] 당신이 모르는 6·25

[3] 잊힌 친일문화 잔재

[4] 누구의 것도 아닌, 적산

[5] 남영동과 32개의 대공분실



binna@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최준희, 엄마 故최진실 절친 엄정화와 다정한 투샷
▶ 서동주 "67㎏에서 51㎏로 감량…비결은 간헐적 1일 1식"
▶ 권오중 "희귀병子 집단 학폭 당해 유리 파편 목에 박혀" 눈물
▶ “1마리 얼마 남길래”…마라탕집 사장님은 어떻게 붕어빵을 팔게 됐을까 [고물가·고금리 버티기] [푸드360]
▶ “돈 잘버는 아이유 저리 가라네” 상위 1% 유명 연예인 만큼 벌었다
▶ 배우 박한별 최근 근황..."돈이 생 본 적이 없다"한숨
▶ 김상중 “나무위키, 사생활 명예훼손” 주장…민원 결과는
▶ 배우 김희선, 반려견과 함께 행복한 시간 만끽
▶ 이형택 큰딸 "父, 동생과 차별…부자 되면 돈 갚고 연 끊고 살고 싶어"
▶ “물리면 고통” 한국에 등장한 공포의 ‘이 벌레’…‘이것’하면 확인할 수 있다는데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89
어제
724
최대
2,563
전체
441,83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