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5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늘봄학교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2024.2.5/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서울=뉴스1 이유진 남해인 기자 = 원하는 초등학교 1학년생은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학교에서 돌봄 서비스나 교육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는 늘봄학교 시범 시행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지만 아직 참여 학교 선정이 마무리되지 않았다.
특히 늘봄 서비스 수요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서울에서 참여를 신청한 학교가 얼마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교육계에 따르면 서울 604개 초등학교 중 3월부터 늘봄학교를 시행하겠다고 신청한 곳은 30개교를 조금 넘긴 전체 5~6%로 확인됐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신청 학교가 30개 이상이지만 아직 40개가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교육부는 2학기 전국 6100여개 초등학교 전면 도입에 앞서 1학기 2700여곳에서 우선 시행하겠다는 계획이지만 아직 시행 학교 모집도 마치지 못했다.
다른 시도와 비교했을 때 서울의 참여율은 현저히 낮다. 부산은 304개교 전체, 경북·경남 지역 각 150개교 내외가 참여를 신청했다. 전남 425개 학교도 모두 참여했다.
늘봄학교는 초등학교에서 기존 방과후와 돌봄교실을 통합한 종합 교육프로그램으로, 아침 수업 시간 전인 오전 7시부터 오후 8시까지 원하는 학생에게 다양한 방과 후·돌봄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제도다.
하교 시간이 빨라 부모가 퇴근할 때까지 학원 뺑뺑이를 돌려야 하는 돌봄·사교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저출생 대책이기도 하다.
그러나 정작 한국 국민 5명 중 1명이 살며 인구와 학교, 학원 등이 과밀해 늘봄학교의 필요성이 가장 큰 서울에서의 신청 학교가 턱없이 적은 상황이다.
특히 서울은 지난해 서이초 사태 이후 새 프로그램 도입에 대한 현장의 거부감이 크고, 타 지역에 비해 교육청 차원에서도 시행을 강제하기엔 무리가 있다는 분위가 형성돼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서울에 여러 특수성이 있는 만큼 학교 현장에 이렇게 하라고 하기 보단 최대한 학교 의견을 존중하려 한다"고 전했다.
교육부 내부에서도 서울 현장 반발이 크다는 배경과 함께 참여율이 타지역에 비해 저조다하다는 점을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부산시교육청은 당초 120개 학교에 늘봄 전담 기간제 교사 채용 조건을 내걸며 참여 신청을 받다가 해당 조건이 제외된 공문을 전체 학교에 다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이미 과밀한 서울엔 더 이상 늘봄학교 운영 공간인 늘봄교실을 따로 만들 공간 확보가 어렵다는 주장도 이어지고 있다.
윤미숙 초등교사노조 대변인은 "서울은 늘봄교실을 따로 만들 공간이 없다"면서 당장 1학기엔 모듈러 교사조립식 건물에서 수업하는 곳도 있어 참여율이 저조할 것이라고 했다.
또 우리동네키움센터 등 지자체 돌봄 접근성이 좋은 점 역시 참여율 저조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의 40대 초등교사 손모씨는 "서울은 일반 교실도 과밀 상태라 교실이 부족하다"며 "늘봄학교를 운영할 별도의 공간 확보 문제가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교육청은 1학기보다 2학기 늘봄학교 전면 시행의 성공적 안착에 중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
rea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