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대 노모-30대 아들 다 부양하는 5060…낀세대는 쉴 수 없다 [N년 유예...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90대 노모-30대 아들 다 부양하는 5060…낀세대는 쉴 수 없다 [N년 유예...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1회 작성일 24-01-25 05:01

본문

뉴스 기사


보험설계사 박미령가명·55씨는 독립하지 않은 대학생 두 아들의 용돈과 어머니 부양비로 매달 170만원씩 쓰고 있다. 매 학기 아들 한 명 당 420만원 상당의 학비도 대야한다. 김종호 기자

보험설계사 박미령가명·55씨는 독립하지 않은 대학생 두 아들의 용돈과 어머니 부양비로 매달 170만원씩 쓰고 있다. 매 학기 아들 한 명 당 420만원 상당의 학비도 대야한다. 김종호 기자


경기도 오산에 사는 박미령가명·55씨는 17년 차 보험설계사다. 대학교 2·4학년 두 아들의 학비를 대면서 고령의 어머니99도 부양하려면 일을 그만둘 수 없다. 아들 1명당 한 학기 등록금은 420만원, 용돈은 매달 50만원씩 든다. 지난해부터 거동이 불편해진 어머니99를 위해 매달 70만원씩 썼다. 친언니가 일을 그만두고 어머니를 돌보기로 하면서 남은 형제자매가 갹출해 생활비와 간병비를 댔기 때문이다. 소규모 공장을 운영하는 남편과 열심히 맞벌이하지만 노후 대비를 위해 저축을 하기엔 빠듯한 형편이다. 박씨는 “남편 공장을 지으면서 대출도 잔뜩 일으킨 상황”이라며 “남편이 몸을 주로 쓰는 엔지니어여서 언제까지 일할 수 있을지 몰라 현재 수준으로 계속 버는 게 가능할지 걱정스럽다”고 말했다.

실제로 우리나라 청년 중 절반 이상이 이른바 ‘캥거루족부모에 의존해 생활하는 자녀들’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2년 3월 국무조정실이 만19~34세 청년이 속한 전국 약 1만50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부모와 함께 사는 청년의 비율이 57.5%에 달했다. 이들 중 “아직 독립할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답한 비율도 67.7%나 됐다. 독립을 결심하지 못하는 이유로는 ‘경제적 여건을 갖추지 못해서’56.6%가 가장 많았다. 의정부에 사는 이모64씨는 “딸 둘이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한 뒤에도 집에서 출퇴근했다"며 "아직 미혼인 둘째 딸이 결혼할 때 뭐라도 보태야 한다는 생각에 늘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보험개발원, 2023 은퇴시장 설문조사. 김영옥 기자

보험개발원, 2023 은퇴시장 설문조사. 김영옥 기자

‘유예 세대Delayed Generation’의 독립이 늦어지면서 부모인 50·60세대의 고충은 커지고 있다. 이들은 이미 은퇴를 했거나 앞두고 있지만, 자녀의 만혼·비혼, 늦깎이 취업 등으로 양육의 부담을 연장해서 지고 있다. 또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부모를 부양해야 하는 기간은 늘었다.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첫 번째 세대라는 뜻으로 ‘마처마지막처음 세대’로도 불린다. 백종우 경희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낀 세대’인 이들은 은퇴를 준비하는 동시에 부모 부양과 자녀 양육의 부담을 동시에 짊어져야해 다양한 스트레스에 노출된다”고 말했다.

김영희 디자이너

김영희 디자이너


스스로와 부모의 노후를 동시에 책임져야 하는 부담도 갈수록 무겁다. 지난해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의 ‘베이비부머 세대 노후준비’ 조사에 따르면, 이른바 ‘2차 베이비부머50~60세’ 직장인 80%가 가족을 부양하고 있고, 이중 상당수는 부모를 부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실시한 ‘부모 부양자에 대한 견해’에 따르면, “가족이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응답은 2006년 63.4%에서 2022년 19.7%로 급감한 반면, 같은 기간 “가족·정부·사회가 함께해야 한다”는 응답은 26.4%에서 62.1%로 두 배 이상 늘었다. 개인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라는 뜻이다.

김영옥 기자

김영옥 기자


비교적 생산성이 높은 2차 베이비부머와 노령기에 접어든 1차 베이비부머61~69세에게 각각 적절한 수준의 일자리를 공급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조준모 성균관대 경제학과 교수는 "고학력 비율이 높고 비교적 건강한 인적 자원인 2차 베이비부머 세대에겐 단순 업무가 아닌 질 좋은 일자리로 재취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노인빈곤율이 높은 우리나라에선 국가가 제공하는 공공일자리가 중요하다"며 "일자리 수만 늘리기보다는 고령과 건강 상태가 반영되고 사회에 참여한다는 자긍심을 심어줄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자리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선미·신혜연·김서원·이아미 기자 calling@joongang.co.kr

[J-Hot]

형 죽자 짜증내던 동생, 통장 보자 "잔액은요?"

룸카페서 10대 딸·20대男 성관계…가족이 잡았다

朴 "날 떨어뜨리려 나왔다는 이정희…어이없었다"

"男 여러 명이 내 몸을…" 누드 연기자 분노의 소송

GD "호구낚네" 때렸다…상탈까 떠는 공포 시상식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혜연.김선미.김서원 shin.hyeyeon@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65
어제
1,673
최대
2,563
전체
439,47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