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은영이 전 국민 가스라이팅"…직격탄 날린 소아과 의사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오은영이 전 국민 가스라이팅"…직격탄 날린 소아과 의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8회 작성일 23-10-25 09:49

본문

뉴스 기사
오은영의 금쪽이 육아법 반박 계속
"육아는 힘들다는 가스라이팅 당해"

quot;오은영이 전 국민 가스라이팅quot;…직격탄 날린 소아과 의사

오은영 박사. / 사진=한경DB


육아 전문가 오은영 박사의 교육관인 소위 금쪽이 육아법의 적절성을 두고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한 소아청소년과 의사가 오 박사의 교육관을 해법으로 제공하는 금쪽이 류 방송을 겨냥해 "전 국민이 육아는 힘들다는 가스라이팅심리적 지배 당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서울대학교 의대를 졸업한 소아청소년과 의사인 하정훈 하정훈소아청소년과의원 원장은 25일 공개된 중앙일보와 인터뷰에서 "이달 초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저고위에서 이 프로그램금쪽같은 내 새끼이 저출산 극복에 도움이 안 된다고 지적한 것도 같은 맥락"이라면서 이같이 지적했다.

하 원장은 "사실 기본만 갖추면 육아를 훨씬 더 쉽게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언급한 기본에 대해서는 "가정의 틀을 만드는 일이다. 양육자의 권위를 바로 세우고, 아이에게 규칙과 한계를 정해주는 것"이라며 "이것만 제대로 하면 아이를 키우는 게 그렇게 어려운 일이 아니다. 물론 육아가 쉽다는 건 아니지만 힘든 것보다 즐겁고 행복한 일이 훨씬 더 많은데, 뭔가 잘못돼도 한참 잘못됐다"고 비판했다.

양육자의 권위를 강조한 이유에 대해선 "아이를 키우는 건 더불어 살 수 있는 사회 일원으로 만드는 거다. 가정에서 양육자가 권위가 없으면 아이가 말을 안 듣는다. 이런 아이는 유치원·학교에 가서도 선생님 말씀을 잘 안 듣는다. 성인이 된 뒤 사회에 나가서도 부적응자가 될 가능성이 크다"며 "아이가 원하는 걸 다 들어주지 말고 지금부터라도 생활의 중심을 아이에서 양육자로 바꿔야 한다"고 설명했다.

오은영 박사. / 사진=한경DB


그는 오 박사의 솔루션 육아에 대해서는 "솔루션 육아 자체가 문제는 아니다. 정신발달 과정에 문제가 있는 아이에겐 필요하다"면서도 "그러나 일부 아이에게 효과가 있는 방법을 전체가 따라 하는 게 문제다. 솔루션 육아를 다루는 방송에 일반적인 아이에겐 이런 육아법을 적용하지 말라는 경고 문구를 넣어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하 원장과 비슷한 맥락으로 서천석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인 서천석 서울대 의학 박사도 지난 7월 지적한 바 있다. 그는 당시 "무슨 상담 몇 차례나 교육 몇 차례? 바보나 얼뜨기 아마추어 아니면 그런 것으로는 씨알도 안 먹히는 아이들이 있다는 것쯤은 다 안다"며 "금쪽이 류의 프로그램들이 지닌 문제점은 방송에서 제시하는 그런 솔루션으로는 결코 해결되지 않을 사안에 대해서 해결 가능하다는 환상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매우 심각해 보이는 아이의 문제도 몇 차례의 상담, 또는 한두 달의 노력으로 해결할 수 있는 듯 꾸민다. 만약 그것이 가능하다면 그렇게 해결 못하는 부모와 교사에게 책임이 갈 수밖에 없다"며 "실력이 부족하든, 노력이 부족하든 둘 중 하나다. 그런데 그리 간단한 게 아니라는 것쯤은 정신과 의사라면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오은영 박사 /사진=한경DB


이런 비판에 대해 오 박사는 지난 7월 공개된 텐아시아와 인터뷰에서 "금쪽이는 인간 개조 프로그램이 아니다. 육아의 길을 잃은 부모가 문제를 공개하고, 문제의 원인과 이유에 대해 같이 의논하고, 앞으로의 육아 방향에 관해 이야기하는 프로그램"이라며 "노력이라는 과정을 통해 아이가 이전에 비해 조금씩 변하는 게 있다면 그건 환상이 아니라 희망을 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지난 5일 결혼·출산에 대한 인식변화와 미디어의 역할을 주제로 간담회를 열고 소위 금쪽이 류 프로그램이 결혼과 출산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확산시켜 저출산 극복에 장애가 되고 있다는 지적을 제기한 바 있다. 발제자로 나선 유재은 국무조정실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위원은 미디어의 부정적 메시지는 줄이고 긍정적 메시지를 자주 노출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홍민성 한경닷컴 기자 mshong@hankyung.com

2024년 신년운세·재물운·오늘의운세 확인하기!
한국경제·모바일한경·WSJ 구독신청하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87
어제
724
최대
2,563
전체
441,82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