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 땐 "잘 지낸다"더니…홀로서기 나선 청년들의 비극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시설에서 지내다 만 18세가 돼서 자립하는 청년들이 한해 2천500명 정도 되는데요. 이렇게 홀로서기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청년들이 최근 5년 새 20명이 넘습니다.
우리 사회가 이를 막을 수는 없었는지, 이현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20대 A 씨는 아동양육시설을 떠난 지 5년이 채 안 됐습니다.
광역시도별로 설치된 자립지원전담기관은 시설을 나와 홀로서기에 애쓰는 청년들을 첫 5년 동안 돕는데, A 씨는 지난해 5월, 지원기관과의 상담에서 "잘 지낸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4달 뒤 스스로 세상을 등졌습니다.
[자립지원전담기관 관계자 : 이 친구가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에 대해서 좀 막막했었어요.]
생활고 끝에 죽음을 맞은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는 위기 가구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그 시스템에서 A 씨는 병원 진료 기록 등을 토대로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은 정작 지원기관에는 공유되지 않았습니다.
[자립지원전담기관 관계자 : A 씨에게 이런 과거력이 있다를 살펴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보니까, 이 친구를 보호했던 시설도 아니고 성인이 돼서 만났기 때문에, 법적 아무런 권한이 없잖아요.]
A 씨 처지를 미리 알았다면, 수시 연락과 자택 방문, 그리고 치료 유도 등으로 안타까운 죽음을 막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복지시설을 나온 뒤 3년 만에 세상을 등진 B씨도 제때 지원받지 못했습니다.
지자체가 지원기관에 전달한 연락처가 잘못돼 상담 자체가 1년이나 늦게 이뤄진 것입니다.
A 씨나 B 씨처럼 자립 후 5년 안에 스스로 생을 마감한 청년은 최근 5년 사이 22명이나 됩니다.
그중 10명만 위기 신호가 포착됐는데, 기초생활보장 대상에서 탈락하거나, 주거나 고용에 위기를 겪는 것 같은 경제난이 대표적 위기 신호였습니다.
[강선우 의원/국회 보건복지위 : 정보를 공유를 하는 그런 시스템을 구축을 하는 게 중요할 거라고 생각을 하고요. 위기 징후들을 다각화해서 시스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위기 신호 파악을 고도화하고, 무엇보다 정부와 지원기관이 제때 공유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박현철,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이준호
이현정 기자 aa@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시설에서 지내다 만 18세가 돼서 자립하는 청년들이 한해 2천500명 정도 되는데요. 이렇게 홀로서기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청년들이 최근 5년 새 20명이 넘습니다.
우리 사회가 이를 막을 수는 없었는지, 이현정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20대 A 씨는 아동양육시설을 떠난 지 5년이 채 안 됐습니다.
광역시도별로 설치된 자립지원전담기관은 시설을 나와 홀로서기에 애쓰는 청년들을 첫 5년 동안 돕는데, A 씨는 지난해 5월, 지원기관과의 상담에서 "잘 지낸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4달 뒤 스스로 세상을 등졌습니다.
[자립지원전담기관 관계자 : 이 친구가 왜 이런 선택을 했는지에 대해서 좀 막막했었어요.]
생활고 끝에 죽음을 맞은 송파 세 모녀 사건 이후 정부는 위기 가구를 파악하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그 시스템에서 A 씨는 병원 진료 기록 등을 토대로 자살 고위험군으로 분류돼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이런 사실은 정작 지원기관에는 공유되지 않았습니다.
[자립지원전담기관 관계자 : A 씨에게 이런 과거력이 있다를 살펴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 보니까, 이 친구를 보호했던 시설도 아니고 성인이 돼서 만났기 때문에, 법적 아무런 권한이 없잖아요.]
A 씨 처지를 미리 알았다면, 수시 연락과 자택 방문, 그리고 치료 유도 등으로 안타까운 죽음을 막을 수도 있었을 것이라는 지적입니다.
복지시설을 나온 뒤 3년 만에 세상을 등진 B씨도 제때 지원받지 못했습니다.
지자체가 지원기관에 전달한 연락처가 잘못돼 상담 자체가 1년이나 늦게 이뤄진 것입니다.
A 씨나 B 씨처럼 자립 후 5년 안에 스스로 생을 마감한 청년은 최근 5년 사이 22명이나 됩니다.
그중 10명만 위기 신호가 포착됐는데, 기초생활보장 대상에서 탈락하거나, 주거나 고용에 위기를 겪는 것 같은 경제난이 대표적 위기 신호였습니다.
[강선우 의원/국회 보건복지위 : 정보를 공유를 하는 그런 시스템을 구축을 하는 게 중요할 거라고 생각을 하고요. 위기 징후들을 다각화해서 시스템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들의 위기 신호 파악을 고도화하고, 무엇보다 정부와 지원기관이 제때 공유해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공진구·박현철, 영상편집 : 이상민, 디자인 : 이준호
이현정 기자 aa@sbs.co.kr
인/기/기/사
◆ "상상도 못할 공적대화…체리 따봉‘ 연속" 명태균 또 주장
◆ "난간 통째로 떨어졌다"…30년 넘은 아파트 8층서 추락사
◆ 작정하고 돌진하더니 활활…500m 떨어진 건물서 무슨일
◆ 묵히냐 굴리냐, 그것이 문제…최후의 보루 직장인 딜레마
◆ 러 보급품 받으며 "나오라 야"…북 파병에 살상무기 꺼냈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관련링크
- 이전글방송중 여성출연자 머리채 잡은 BJ 커플…술먹방 그날 무슨 일이 24.10.19
- 다음글"회사에 전화해야…" 스크린도어에 끼여 숨진 직장인의 마지막 말[그해 오... 24.10.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