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한 휴진 첫날…서울의대 교수들 "의료붕괴 이미 시작"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무기한 휴진 첫날…서울의대 교수들 "의료붕괴 이미 시작"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7회 작성일 24-06-17 14:26

본문

뉴스 기사
서울대병원 교수진들이 무기한 휴진에 돌입한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강희경 서울대병원 비대위원장이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휴진 관련 집회’에 참석해 눈물을 흘리고 있다. 윤웅 기자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서울대학교병원 교수들이 “이미 의료 붕괴가 시작됐는데 정부가 귀를 막고 들어주지 않는다”며 “마지막 카드는 전면 휴진밖에 없다”고 밝혔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는 정부의 의대 증원 등 의료 개혁 방침에 반발해 무기한 전면 휴진을 선언한 첫날인 17일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집회를 열고 이같이 휴진 이유를 설명했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교수들이 전공의와 의대생만을 위하는 게 아니다”라며 “이들이 복귀하지 않으면 한국 의료는 붕괴된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기 때문에 3개월간 정부와 국민에 수없이 말씀드렸지만, 정부가 국민의 귀를 닫게 만들고 의견을 묵살했다”고 말했다.


이어 “의료 붕괴는 이미 시작됐다. 우리는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볼 것”이라며 “정부가 끝까지 안 들어주면 휴진을 철회하고 항복을 선언해야겠지만, 이후 의료 붕괴의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덧붙였다.

방 투쟁위원장은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완전 취소 ▲현장 의견 반영이 가능한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2025년도 의대 정원 재조정 등을 휴진 철회의 조건으로 내세웠다. 그러면서 “정부가 이를 위한 가시적 조치를 취한다면 휴진을 철회하고 대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비대위에 따르면 지난 일주일 동안 400명 이상의 이 병원 교수들이 입원, 외래, 수술 일정을 조정했다. 이에 따라 수술 건수는 절반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전공의들이 있을 때 수술 건수수술장 기준를 100%라고 봤을 때 이전까지의 수술 건수는 60% 정도였다”며 “이번 주는 30%로 조절됐다”고 말했다.

비대위 조사 결과 휴진에 직접적으로 참여한다고 답한 교수는 529명이었다. 이는 진료에 참여하는 전체 교수967명의 54.7%에 해당한다.

다만 강 위원장은 “이번 주 동안의 외래와 수술 일정이 조정되긴 했지만, 서울대병원은 열려 있고 교수들은 근무 중”이라며 “응급환자는 병원에 오시면 진료를 받으실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는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와 김민호 서울의대 학생회장 등 다수의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참석했다. 박 대표는 “젊은 의사로서 우리가 원하는 것은 돈을 더 많이 벌고 이익을 취할 수 있는 미래가 아니다”라며 “서울대병원 전공의 상당수는 대학병원에 남아 교수가 되어 의료를 이끌어 나가는 것을 원했다”고 강조했다.

또 “우리가 원하는 것은 왜곡되지 않은, 기울어지지 않은 의료 현장에서 일하며 국민에게 더 나은 의료 혜택을 드리는 것”이라며 “그런데 열악한 환경을 버티지 못하고 떠난 의사들의 행동이 개인적 일탈로만 취급받고 있다”고 호소했다.

그러면서 정부를 향해 “상황과 문제에 대한 인식, 장기적인 해결 계획과 면밀한 수준의 논의, 그에 대한 설명과 투명한 공개”를 요구했다.

김민호 서울의대 학생회장은 “의대 교육 선진화는 의대생 복귀를 위한 해결책이 아니다”라며 “정원이 확대되면 교육의 질은 저하된다. 1년 동안 교육하기 벅찬 양을 단숨에 밀어 넣는 것이 정부가 생각하는 의학 교육의 선진화인가”라고 비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28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06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