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휴진 첫날 환자들 분통 "몸 더 나빠질까 걱정"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서울대병원 휴진 첫날 환자들 분통 "몸 더 나빠질까 걱정"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1회 작성일 24-06-17 20:38

본문

뉴스 기사
아산병원도 7월4일부터 1주 휴진

텅 빈 병원 대기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교수 일부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등 의료 정책 강행에 반발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외래진료 대기실이 한산하다. 조태형 기자 phototom@kyunghyang.com

텅 빈 병원 대기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 교수 일부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 등 의료 정책 강행에 반발해 ‘무기한 전면 휴진’에 들어간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외래진료 대기실이 한산하다. 조태형 기자 phototom@kyunghyang.com



17일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만난 송희곤씨62는 한숨을 크게 쉬었다. 협심증을 앓고 있는 송씨는 얼마 전 병원 측으로부터 문자메시지를 통해 예약 일정과 담당 교수 변경을 통보받았다. 다행히 이날은 진료를 받을 수 있었지만, 예측 불가능한 앞으로가 걱정이다. 송씨는 “개인병원이나 다른 병원에 갈 수도 없다”며 “다음에도 예약이 연기될 수 있고, 몸 상태가 더 나빠질 수도 있어서 걱정”이라고 말했다.


서울대병원 일부 교수들이 이날부터 서울대병원·분당서울대병원·서울시보라매병원·강남센터 등 4개 병원에서 집단휴진에 들어갔다. 병원 전체가 멈춰설 정도의 큰 혼란은 없었지만 일부 병동은환자 없이 텅 비었고 어렵게 진료를 받은 환자들은 사태 장기화로 의료공백이 길어질까 불안해했다.

혈액암 치료차 매주 서울대병원에 오고 있는 김정희씨79는 “나이가 있어서 치료를 받아도 시원찮은데, 걱정된다”면서 “병원 진료가 차질 없이 진행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여러 병원을 옮겨다닌 끝에 서울대병원에 오게 됐다는 김씨는 “다른 데로 갈 수가 없다”며 “손 놓고 기다릴 수도 없어 답답하다”고 했다.

당뇨병으로 2007년부터 서울대병원에 다니고 있다는 이모씨69는 “오늘도 진료가 안 된다고 할까봐 엄청 걱정했다”면서 “병원이 환자는 생각하지 않고 마음대로 행동하는 것 같다”고 했다.

이날 병원에서는 예약된 환자들이 진료를 받긴 했지만 평소보다 환자 수가 현저히 적었다. 이씨는 “원래 이 시간이면 병원이 환자들로 꽉 차는데 오늘은 한가한 편”이라며 “신규 환자는 안 보는 것 같다. 평소 환자 수가 지금의 2배는 됐다”고 말했다.

이날 오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비상대책위원회 교수들은 병원 내 양윤선홀에서 집회를 열고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 추진을 규탄했다. 교수들은 이 자리에서 급한 환자들은 계속해서 볼 것이라며 “서울대병원은 열려 있다”고 했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교수들은 계속 근무하고 있다. 병원에 오시면 진료받으실 수 있다”면서 “걱정하지 말고 환자분들이 오셨으면 좋겠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이날 “이미 의료 붕괴가 시작됐는데 정부가 귀를 막고 도대체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 마지막 카드는 전면 휴진밖에 없다”고 휴진에 나선 이유를 설명했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정부를 향해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취소, 현장 의견 반영이 가능한 상설 의·정 협의체 구성, 의대 정원 재조정 등을 요구했다. 그러면서 “모든 의료 붕괴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말했다.

전공의와 의대생들도 이날 현장에 참석해 팻말 시위와 자유 발언에 동참했다. 박재일 서울대병원 전공의 대표는 “의사 입맛에 맞는 정책을 발표해달라고 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국민들을 위한 정책이 나와야 하고, 국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의료정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김민호 서울의대 학생회장은 “정부는 무조건 안 된다고 할 게 아니라 왜 학생들이 목소리 내는지 들여다봐야 한다”면서 “근거 없는 의료정책 때문에 미래 의료가 무너질까봐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고 했다.

서울대병원에 이어 서울아산병원도 집단휴진에 돌입한다. 서울아산병원 교수들은 의협이 주도하는 18일 집단휴진에 동참하는 것은 물론 오는 7월4일부터 일주일간 휴진하기로 이날 결정했다.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최서은 기자 cielo@kyunghyang.com

경향신문 주요뉴스

· 민주 “김건희 여사 성형 보도한 카자흐 언론…대통령 부부 무시”
· 시추 승인 요청 없는데 승인한 대통령, 대통령 승인 했는데 검토 중인 산업부 [기자메모]
· [단독]이승기 장인 주가조작 ‘유죄’···판결문 뜯어보니 견미리도 ‘연루’
· 고속도로 내달리다 에어컨 끈 채 구청까지 간 까닭…급속충전기 보급은 언제 늘까요
· 김정숙 여사, ‘인도 외유성 출장’ 주장 배현진 고소···“허위사실로 명예 훼손”
· 197년 만에 반환된 ‘신윤복 그림’ 감쪽같이 사라졌다
· 부산 아파트서 50대 추락, 길 가던 80대 주민 덮쳐…모두 사망
· 요즘 당신의 야식이 늦는 이유···배달 생태계가 파괴되고 있었다
· 부산 사직 뒤흔든 카리나 시구에 담긴 ‘프로야구와 연예인’의 상관관계
· ‘김 여사 명품백’ 폭로한 기자 “명품백 돌려달라”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26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06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