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리 아닌 집게에 독침 달렸다…바닷가·산속서 가짜 전갈 발견
페이지 정보

본문
겉모습은 전갈과 비슷하지만, 독침이 꼬리가 아닌 집게에 있는 ‘전갈붙이’ 신종 3종種이 충남 해안가와 강원·충북 지역 산속에서 발견됐다.
![2022년 7월 충남 서산시 간월도 바닷가에서 발견된 해안광택전갈붙이. [사진 국립생물자원관]](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4/09/21/0d84d1cf-5390-422e-bc71-d6694fbd5435.jpg)
2022년 7월 충남 서산시 간월도 바닷가에서 발견된 해안광택전갈붙이.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
서산 간월도·소백산·방태산에서 서식
전갈붙이는 다리 4쌍을 가진 절지동물로 거미강 앉은뱅이목 무척추동물이다. 전체 형태는 전갈과 비슷하지만, 독침이 달린 꼬리가 없어 ‘가짜 전갈’로 불린다. 전갈과 달리 꼬리가 아닌 집게에 독침을 지닌 게 특징이다.
이 독침에서 독을 뿜는다. 주로 해충을 잡아먹어 이로운 동물로 알려져있다.
세계적으로 4000종 이상의 전갈붙이가 존재하지만 대부분 몸 크기가 5㎜ 이하로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전갈붙이는 보통 사막과 같이 건조한 지역에 서식하지만 이번에 국내 바닷가와 산속에서 새로운 종이 이 발견되면서 습한 곳에서도 서식하는 게 확인됐다.
![2022년 10월 태백산맥 방태산 낙엽더미에서 발견된 태백긴팔전갈붙이. [사진 국립생물자원관]](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4/09/21/a7cddc42-6899-4581-a73c-12908ab8246f.jpg)
2022년 10월 태백산맥 방태산 낙엽더미에서 발견된 태백긴팔전갈붙이. [사진 국립생물자원관]
━
소백긴팔전갈붙이, 몸 크기 4㎜ 내외
소백긴팔전갈붙이와 태백긴팔전갈붙이는 소백산과 방태산 낙엽 더미에서 2002년 4월과 10월 처음 발견됐다. 파라로노쿠스속Genus Pararoncus에 포함된 이들 종은 같은 속 종보다 긴 집게다리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동굴에 서식하는 긴팔어리전갈과Family Syarinidae에 속한다. 소백긴팔전갈붙이는 몸 크기 4㎜ 내외로 네 개의 눈을 갖고 있으며 대백긴팔전갈붙이보다 큰 키와 긴 다리를 갖고 있다. 태백긴갈전갈붙이는 몸 크기가 3㎜ 정도다.

전갈붙이 신종 발견.
━
국가생물종목록 등록…국내 서식 전갈붙이류 26종
국립생물자원관 관계자는 “국내외 연구진의 공동 연구를 통해 생물 다양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소형 무척추동물을 전략적으로 탐색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엄마 변호사 쓰지마"…1등 로펌이 버린 자소서
▶ 손주 초교 입학하자…강남 할머니가 집 나간 이유
▶ 결혼반지 뺐다…황재균과 이혼설 지연, 유튜브 복귀
▶ 10년간 딸 성폭행 아빠, 재판서 "근친상간 허용해야"
▶ 트럭 2대 삼켰다… 200㎜ 폭우 부산에 10m 싱크홀
▶ 빗으로 두피 톡톡…탈모 방지 효과? 빗 마사지 배신
▶ "곽튜브 절도 의혹 다 거짓, 죄송" 폭로자 정체 충격
▶ "몸 안좋다"던 女승무원, 승객 앞에서 사망…무슨 일
▶ 아내 때리고 성매매 1000회 시켰다…악마 남편 충격
▶ "4500만원 줄테니 나가"…이민자 천국 나라, 무슨일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진호 shin.jinho@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당신 아내와 4년간 불륜관계였어요"···이별 통보 받은 상간남 황당 복... 24.09.21
- 다음글사육사 깔아뭉개고 공격한 판다, 관람객들 비명…중국서 무슨 일[영상] 24.09.2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