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집 탔어도 산은 지켜야" 연기 뚫고 랜턴 의지해 1km 호스 끌어
페이지 정보

본문
산불 최전선 민간인 진화대 동행 취재
농약 분무기에 물채워 불과 사투
낙석 맞고 잔가지에 눈 찔리기 일쑤… “이들 없었다면 피해 훨씬 컸을것”

21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역대 최악의 산불이 발화 8일째 만에 주불 진화에 성공했다. 시간당 8.2km라는 역대 가장 빠른 속도로 경북 지역 곳곳으로 번진 산불을 막을 수 있었던 데는 목숨을 걸고 사투를 벌인 산불전문예방진화대원들의 헌신이 있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마을 주민 등으로 구성된 진화대원들이 잔불 정리용 갈퀴와 등짐펌프를 메고 산불 현장 최전선에서 매일 10시간 넘게 화마火魔와 싸우지 않았다면 산불이 더 확산됐을 거란 분석이 나온다.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마을순찰대와 소방관, 공무원들도 진화 작업에 큰 힘을 보탰다.
● 드디어 꺼진 산불… 매일 사투 벌인 진화대원들
“이 지옥 같은 산불이 끝났다니, 꿈만 같네요.” 28일 주불이 진화됐다는 소식을 들은 경북 영덕군 소속 진화대원 한태영 씨55가 환하게 웃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산불이 영덕으로 처음 넘어온 날25일 불덩이가 날아다니는 상황에서 진화에 투입됐다. 한 씨는 “열악한 환경에서 고생한 우리 동료들 덕분에 무사히 끝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진화대원은 “산불로 집을 잃은 동료들이 대부분”이라며 “우리 고향의 나무 한 그루라도 더 지키자는 생각으로 현장에 달려갔다”고 했다.
산불 대응 인력은 산림청 소속인 산불재난특수진화대와 공중진화대, 그리고 산림청과 지방자치단체가 함께 관할하는 산불전문예방진화대가 있다. 해당 지역 민간인들로 구성되는 예방진화대원들은 산불 대응 인력 중 규모가 가장 크다. 산불을 가장 먼저 접하고 가장 먼저 초기 대응에 나선다. 이들은 이번 산불에서 등짐펌프, 방화용 장갑, 안전모 및 안전화, 방역마스크 등 열악한 장비에만 의지한 채 매일 투입됐다.
27일 오후 6시 반경 동아일보 기자는 진화대원들과 함께 경북 영덕군 삿갓봉 산불 진화 현장으로 이동했다. 산 꼭대기에서 산불 진화 작업을 마친 후 소방호스를 산 아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다. 현장은 차가 진입할 수 없어 1.5km 걸어가야 다다를 수 있다. 현장은 다섯 걸음 앞도 채 보이지 않을 정도로 어두운 상태였지만, 진화대원들은 랜턴 빛에 의지해 1km에 달하는 호스를 산 중턱까지 내렸다. 경사진 비탈길을 내려가다 일부 진화대원들은 잠시 멈춰 거친 숨을 내쉬기도 했다.
휴대전화 신호도 잡히지 않는 산꼭대기 곳곳은 잔불이 붙어 타고 있는 나무가 보이고 회색빛 연기가 자욱했다. 마스크를 잠시만 내려도 매캐한 냄새가 코를 찔러 기침이 나왔다. 대원 최기동 씨62는 “잠시 한눈팔면 낙석을 맞거나 잔가지에 눈을 찔려 얼굴을 다칠 수도 있다”고 조언하기도 했다.
진화대원들은 22일 산불 발생 직후 매일 14시간씩 산불 진화 현장에 투입됐다고 한다. 이들 중 상당수는 이번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이기도 했다. 한 진화대원은 “다 타버린 집에서 신발 두 켤레만 겨우 챙겨 나왔다”면서도 “대기실에서 지내며 진화 작업에 매진 중이다”라고 말했다. 다른 대원들도 “우리도 아무리 오래 이 일을 했어도 불이 무섭다”며 “산은 지켜야 하지 않겠느냐”고 입을 모았다.
● “우리 마을은 순찰대가 지킨다”
마을순찰대도 산불 진화 작업에 큰 보탬이 됐다. 마을순찰대는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마을 순찰 단체다. 경북 지역엔 의용소방대, 자율방재단, 마을이장 등으로 구성된 마을순찰대원이 2만4920명에 이른다. 22일 경북 의성에서 난 불이 다른 시군으로 번져 나가자 마을순찰대도 화재 현장으로 나서 진화 작업에 힘을 보탰다.
경북 영양군 석보면 마을순찰대 소속 이모 씨56는 마을로 불이 번지기 시작한 25일부터 28일 새벽까지 나흘 밤을 지새우며 진화 작업에 나섰다. 석보면 마을 주민 대부분은 산불의 여파로 인해 다른 지역 마을 회관으로 대피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이 씨를 비롯한 마을순찰대원들은 마을에 남아 새벽 잔불 작업을 진행했다. 이 씨는 “보호장비도 없었지만, ‘내 마을 내가 지킨다’는 마음으로 농약 분무기에 물을 채워 나섰다”고 말했다. 이어 “마을 주민 대부분이 70, 80대인데, 나 정도면 젊은 편에 속한다”며 “내 마을을 위해 당연히 해야 할 일이고 내세울 일도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경북 의성군 비안면 이장협의회장 박재완 씨59도 산불이 덮치자 안내 방송을 하며 마을 주민들을 대피시켰다. 주민들이 대피한 이후에는 뜬눈으로 밤을 지새우며 민가에 불이 붙지 않도록 분무기를 활용해 물을 뿌렸다. 박 씨는 “오전 5시부터 자정까지 마을을 순찰하고, 담당 공무원들과 산으로 올라가서 헬기로 진압이 안 되는 잔불을 끄는 작업도 했다”고 말했다.
마을순찰대는 ‘죽어도 집에서 죽겠다’며 대피를 거부하는 어르신들을 설득해 대피시켰고, 매일 늦은 밤까지 잔불을 확인했다. 한 의성군 주민은 “마을순찰대원들의 노고는 평소에 잘 드러나지 않지만, 이번에 그들의 역할은 매우 컸다”고 말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마을순찰대가 활동하지 않았다면, 산불로 인한 피해가 지금보다 10배 이상은 더 컸을 것”이라며 “밤낮없이 진화 작업을 도운 각 지방자치단체 소방대원들과 일반 공무원들의 역할도 컸다”고 말했다.
영덕=천종현 기자 punch@donga.com
의성=전남혁 기자 forward@donga.com
관련링크
- 이전글[속보] 의성 신평 등 일부 지역도 부분 재발화…헬기 6대 투입 25.03.29
- 다음글"시원한 거 어디 있어"…빌라 돌며 경보기 뜯은 20대 [사건의재구성] 25.03.2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