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봄학교 2주…"기존 돌봄과 차이 못느껴"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늘봄학교 2주…"기존 돌봄과 차이 못느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5회 작성일 24-03-17 17:48

본문

뉴스 기사
늘봄학교 2주…quot;기존 돌봄과 차이 못느껴quot;


지난 15일 오후 서울 마포구의 한 초등학교 교문 앞, 이마에 흐르는 땀을 닦던 아이가 마중 나온 엄마의 손을 잡았다. 아이를 데리러 온 학부모 A씨는 "아이가 늘봄학교 프로그램 중 축구가 좋다고 해서 시켰다"며 "아껴둔 육아휴직을 쓰는 지금은 짧게 늘봄학교를 활용하고 있지만 나중에는 늘봄학교를 더 오래 할지, 학원을 다니게 할지 결정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맞벌이 부부를 위한 늘봄학교가 시작된 지 어느덧 2주가 지났다. 1학기에는 전국 2741개 초등학교에서 우선 시행하고, 2학기부터는 모든 초등학교에 도입될 예정이다. 앞으로 학교에서 오후 8시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배우며 머무를 수 있게 한다는 계획이다. 현장에서는 각 학교나 지역 여건에 따라 여러 반응이 나오고 있다.

서울은 시작 당시 전체 초등학교 609개 중 38개만 참여해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참여율약 6.3%이 가장 낮았다. 이미 학교별로 돌봄이 최장 오후 8시까지 이뤄지고 있고, 신청하려 해도 유휴 교실을 찾기 어려운 학교가 많다는 점 등이 이유로 꼽힌다. 늘봄학교를 신청한 초등학교가 한 곳도 없는 중랑구의 한 인터넷 맘카페에는 기존 돌봄과 큰 차이가 없는 것 같다 2학기에 프로그램이 마련되면 생각해보겠다는 학부모 의견들이 올라와 있다.

저조한 참여율을 두고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신청 학교를 이달 중 150개까지 적극적으로 늘려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서울시교육청 관계자는 17일 "현재까지 신청은 순조롭게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을 벗어나면 강사를 구하는 일부터 쉽지 않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경기도의 경우 참여율이 73.3%에 달한다. 교육부는 늘봄학교 강사 시급을 4만원으로 책정했는데, 방과후 강사나 학원에서 일하는 것보다 낮은 수준이다. 교구·교재비도 22명 1개 반 기준으로 1년에 100만원 수준이라 학생 1명당 한 달에 5000원도 쓰기 어렵다.

경기도교육청 관계자는 "현재는 적응 기간3월 3주으로 1개 반당 40만원, 적응 기간 이후부터는 매월 1개 반당 30만원을 지원하며 추가 지원이 필요한 경우 학교의 신청을 받아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1학년에 5개 반이 있는 경기 수원시 오현초등학교는 지난 4일 입학식을 하고 5일부터 2개 반 규모로 늘봄학교를 시작했다. 오현초에 근무하고 있는 박혜연 교사는 "강사를 제때 구하지 못해 결국 1학년 담임 교사, 체육 교사들이 나서게 됐다"고 말했다. 앞서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자체 조사 결과 늘봄 강사 인력 중 교사가 53.7%에 달한다고 밝혔고, 교육부는 기간제 교원을 빼면 해당 비율이 약 16.8%라고 반박하기도 했다.

늘봄학교에 직접 참여하지 않아도 업무 부담이 늘었다고 교사들은 주장한다. 박 교사는 "1학년 담임 선생은 아직 학교에 익숙하지 않은 아이들을 가르치느라 신경을 많이 쓰는 편"이라며 "집에 가는 학생, 기존 돌봄교실에 가는 학생, 방과후 학교에 가는 학생, 늘봄학교에 가는 학생까지 네 부류로 나뉘는데 일일이 챙겨야 하는 부담이 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늘봄학교 참여를 늘리기 위해 콘텐츠 내실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정재훈 서울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지역·학교별 편차를 줄이기 위해 한국과학창의재단 중심으로 늘봄학교 프로그램 강화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이용익 기자]

할아버지 약 섞였다더니…러시아 발리예바가 2년간 먹은 약물 ‘경악’

족집게들? ‘수동’에서 10명 나왔다…17.1억 로또 1등 당첨자들 보니

“의사 관두고 용접이나” 발언에…용접협회장 “용접이 우습나”

“심수봉 핏줄은 못 속이네”···새빨간 정장입고 누비던 ‘이 트롯맨’ 역시 남달라

“나도 테무깡 당했어”···‘8000원 미끼’로 세계 유통 초토화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51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7,00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