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해외취업 됐다고 좋아했는데…한국이 천국 대반전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단독] 해외취업 됐다고 좋아했는데…한국이 천국 대반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37회 작성일 25-03-04 17:21

본문

해외취업 3년 만에 감소…"기대했던 것과 달라" 불만족

해외일자리 공급·수요 모두 감소
美·중동, 불경기로 외국인 채용↓
韓 임금 올라 해외취업 인기 시들
고연봉 줘도 현지물가 감당 어려워

복귀 청년들의 경험 활용해야
中, 유턴인력 채용…첨단기술 개발
인력공단 "경력 헛되지 않게 지원"
[단독] 해외취업 됐다고 좋아했는데…한국이 천국 대반전

게티이미지뱅크

지난해 해외에 취업한 한국 청년이 2021년 이후 3년 만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등 주요 국가의 경기 침체 등으로 일자리가 줄어 해외 인력 수요가 감소한 게 주요 원인으로 파악된다. 또 한국의 임금 수준이 올라가고 플랫폼 일자리 등이 크게 늘면서 한국 청년들의 해외취업 의지가 낮아진 것도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4일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해외취업 근로자연수 취업 기준는 2023년 1707명에서 2024년 1605명으로 줄어 코로나19가 한창이던 2021년 이후 3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다. 주요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2023년 774명에서 지난해 573명으로 201명26.0% 급감했다. 의료 분야를 중심으로 꾸준히 수요가 있던 중동 지역 취업은 같은 기간 49명에서 2명으로 사실상 문이 닫혔다. 반면 일본은 취업자 수가 2023년 499명에서 지난해 549명으로 50명10.0% 늘었고, 같은 기간 호주는 76명에서 140명으로, 베트남은 61명에서 112명으로 두 배 가까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야별로 보면 의료가 2023년 90명에서 지난해 20명으로, 사무 분야는 620명에서 519명으로 대폭 줄었다.

일러스트=추덕영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조조정 ‘직격탄’
해외취업이 줄어든 이유는 국가별, 산업별로 다양하다. 미국은 지난해 빅테크 등을 중심으로 대규모 구조조정이 이어져 외국인 일자리가 줄고 선호도도 많이 낮아졌다. 미국 정보기술IT 전문매체 테크크런치에 따르면 지난해 IT 분야에서만 15만2000명이 일자리를 잃었다. 해외취업 알선업체 관계자는 “최근 메타에서 3600여 명을 해고하는 등 빅테크 출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시장에 대거 쏟아져나왔다”며 “이들이 고스란히 미국 내 구직 시장에 뛰어들면서 당분간 북미 IT 분야 취업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으로의 취업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들어서면서 문턱이 더 높아질 전망이다. 지난달 25일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최소 90만달러약 13억원를 투자하면 영주권을 주는 기존 투자이민EB-5 제도를 없애고 500만달러약 71억원에 영주권을 주는 ‘골드카드Gold Card’ 정책을 다음달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중동에선 아랍에미리트UAE 등을 중심으로 의료 분야에서 한국 인력 선호도가 높았지만 코로나19로 국내 의료인력 부족이 심각해지면서 해외취업자가 급감했다.

반면 일본은 2023년부터 ‘특별고도인재’ 제도를 통해 학력·경력 등 심사를 거쳐 전문직은 1년 체류만으로도 영주권 신청을 허용하는 등 비자 문턱을 낮추고 외국인을 적극 유치하고 있다. 김소현 퍼솔켈리코리아 전무는 “장기간 고령화, 인력난에 시달린 일본은 일본어능력시험 요건 등 자국 취업에 필요한 기준을 대폭 낮췄다”며 “지방자치단체들도 사활을 걸고 외국인 유치를 위한 위탁 사업을 벌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이 더 좋아”…해외 진출 수요도 줄어
해외취업 감소세는 국내 임금과 복지 수준이 높아져 해외 진출의 매력이 줄어든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 인력공단의 ‘해외취업자 사후관리 설문조사 최종보고서’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정부 지원을 받은 해외취업자 6715명 중 46.6%인 3129명이 국내 복귀를 선택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국내 복귀자들은 돌아온 사유로 한국 대비 낮은 임금13.0%, 한국 대비 낮은 고용안정성13.9%, 낮은 경력 개발 가능성12.0%을 꼽았다. 여전히 해외에 체류하고 있는 3586명 중 577명16.1%은 불만족 사유로 ‘한국 대비 낮은 임금’을 꼽았다.

한국 최저임금 시급은 올해 1만원을 돌파했다. 주휴수당 등을 포함하면 세계적으로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보다 임금이 높은 선진국들은 물가도 그만큼 높기 때문에 국내 생활 환경이 주요 선진국보다 떨어진다고 보기도 어렵다.

인력공단 관계자는 “해외 취업 근로자 평균 임금 수준은 2023년 3955만원에서 4190만원으로 오르고 있긴 하다”며 “연수 지원 예산이 감소하면서 연수 취업 인원은 줄었지만 올해는 지원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위상 의원은 “국내 노동, 생활 환경이 선진국 수준으로 올라 나타난 현상”이라며 “해외 취업 유턴 청년의 경험을 적재적소에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연계 프로그램을 구축해둘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84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6,08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