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억 벌 줄 알고 직장도 관뒀는데"…유튜버 얼마 버나 봤더니
페이지 정보

본문
유튜브 하면 수억 버는 줄 알았는데
현실은 연평균 1346만원
유튜버 등 크리에이터 연평균 1346만원 벌어
수익원 비중 플랫폼 광고 44%로 가장 많아
구독자 수 1만명 미만, 절반 넘어
현실은 연평균 1346만원
유튜버 등 크리에이터 연평균 1346만원 벌어
수익원 비중 플랫폼 광고 44%로 가장 많아
구독자 수 1만명 미만, 절반 넘어

사진=한국경제DB
초등학생들의 최고 인기 직업 중 하나로 꼽히는 유튜버 등 디지털 크리에이터의 연평균 수익이 약 1346만원으로 조사됐다.5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가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디지털 크리에이터 중 일정 규모 이상의 수익을 올린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평균 수익이 1346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수익이 발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이므로 전체 크리에이터의 평균 수익은 이보다 낮을 것으로 보인다.
수익원별 비중을 살펴보면 플랫폼 광고가 44%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으며, 개별 광고 및 홍보34.7%, 후원금5.3%, 제휴 판매 수수료2.9%, 기타13.1% 순이었다.

사진=연합뉴스
디지털 크리에이터의 성별 비율은 남성이 여성보다 15.4%포인트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30대가 49%로 가장 많았다. 거주 지역은 서울36.8%과 경기·인천31.3% 등 수도권에 집중됐다.전업 크리에이터의 비중은 32.6%였으며, 멀티채널네트워크MCN와 계약을 맺고 활동하는 경우는 6.6%에 불과했다.
가장 많이 활용되는 플랫폼은 유튜브72.8%였으며, 이어 인스타그램17.4%, 틱톡3.2%, 숲SOOP2.8%, 치지직1.2%, 네이버 클립1.1%, 네이버TV0.6% 순이었다.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는 남성이 80.1%, 여성은 62.9%로 조사됐지만, 인스타그램을 주로 이용하는 비율은 여성25.5%이 남성11.4%보다 높았다.
구독자 수를 기준으로 보면 1만명 미만이 50.6%로 가장 많았고, 1만~10만 명 미만이 32.4%, 10만 명 이상이 17%였다.
크리에이터들은 한 달 평균 12.3개의 일반 영상과 9개의 숏폼 영상을 업로드했으며, 기획부터 제작, 편집, 자막 삽입 등 콘텐츠 제작의 전 과정을 직접 담당하는 비율이 85.4%에 달했다.
콘텐츠 1건당 평균 제작 시간은 20시간으로, 이 중 제작이 10.6시간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했고, 기획3.9시간, 계정관리1.7시간, 라이브 방송 및 진행1.5시간 순이었다.
크리에이터들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은 것은 수익 발생까지 걸리는 긴 시간44.8%이었다. 이어 콘텐츠 기획의 어려움10.5%, 기술 부족10.3%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필요한 지원 정책으로는 제작비 지원42.5%이 가장 높았으며, 장비 지원15.3%, 제작 공간 지원12.9%, 사무 공간 제공11.6%, 교육 지원9.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유지희 한경닷컴 기자 keephee@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단독] 방첩사 대령, 계엄 직후 검찰·국정원 간부와 수차례 통화 25.03.06
- 다음글주휴수당 뭐길래 쪼개기 알바 역대 최대…"인건비 감당 못 해" 25.03.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