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 200억인데…세종교통공사,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 논란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부채 200억인데…세종교통공사,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 논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0회 작성일 23-09-10 10:01

본문

뉴스 기사


전국 상당수 자치단체가 세수 감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시내버스 무료 탑승 제도를 잇따라 도입하고 있어 논란이다.
70세 이상 시민들의 버스비 무료화를 위해 무임교통카드 신청이 시작된 지난달 16일 오전 대전 동구청에서 무임교통카드를 신청하기 위해 청사를 방문한 어르신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1

70세 이상 시민들의 버스비 무료화를 위해 무임교통카드 신청이 시작된 지난달 16일 오전 대전 동구청에서 무임교통카드를 신청하기 위해 청사를 방문한 어르신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1

세종시는 2025년 1월부터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를 하기로 했다. 여기에 필요한 예산은 연간 180억원이다. 시내버스 요금 전면 무료화는 전국 광역·기초자치단체 가운데 세종시가 처음이다.

세종시, 2025년 1월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
하지만 세종지역 시내버스 노선 58개 중 46개를 운영하는 세종교통공사는 매년 부채와 적자가 누적되고 있다. 최근 세종시감사위원회 종합감사 결과 2021년 기준 세종교통공사 부채는 2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17년 공사 출범 당시 13억6000만원보다 16배 늘었다. 매년 적자도 증가해 2020년 16억2700만원이던 게 2021년에는 21억5200만원에 달했다.

세종시는 2025년 1월부터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를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세종시는 2025년 1월부터 전국 자치단체 가운데 처음으로 시내버스 전면 무료화를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더구나 세종시는 지방세 수입마저 줄었다. 지난 7월까지 세종시는 지방세 4324억원을 거둬들였다. 지난해 같은 기간 5132억원보다 808억원15.7% 감소했다. 올해 전체 세입도 당초 예산액 8720억원보다 726억~936억원 감소한 7784억~7994억원 수준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와 함께 대전시는 오는 15일부터 만 70세 이상 시민에게 버스요금을 받지 않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어르신 무임교통카드를 발급하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여기에는 연간 130억원이 투입된다.


대전 70세 이상 15만2000여명 혜택
지난 4일 기준 대전지역 만 70세 이상 시민 15만2034명 가운데 55.5%8만4451명가 교통카드를 신청했다. 기존 도시철도 교통복지카드 발급률도입 초기 18%, 누적 46%과 비교하면 3배 이상 높다.

70세 이상 시민들의 버스비 무료화를 위해 무임교통카드 신청이 시작된 지난달 16일 오전 대전 동구청에서 무임교통카드를 신청하기 위해 청사를 방문한 어르신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1

70세 이상 시민들의 버스비 무료화를 위해 무임교통카드 신청이 시작된 지난달 16일 오전 대전 동구청에서 무임교통카드를 신청하기 위해 청사를 방문한 어르신들이 차례를 기다리고 있다. 뉴스1

무임교통카드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간선급행버스B1를 횟수에 제한 없이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버스를 타고 내릴 때는 반드시 태크를 해야 한다. 무임교통카드는 대전에서만 사용할 수 있고, 인근 세종과 계룡·옥천640번 버스지역 버스를 타면 혜택을 받지 못한다. 대전시 관계자는 "교통카드는 하나은행을 통해 계속 신청할 수 있다"고 했다.

대전시도 지방세가 잘 걷히지 않아 형편이 넉넉하지 않다고 한다.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실에 따르면 올해 6월까지 대전시 지방세 징수액은 1조104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69억원이 적다. 17개 광역시·도가 올해 상반기 거둔 지방세 수입은 52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8조1000억원보다 9.9%5조8000억원 감소했다.
충남 시내버스. 중앙포토

충남 시내버스. 중앙포토


충남 2019년부터 75세 이상 시내버스 무료

충남에서는 지난해 4월부터 만 18세 이하 어린이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시내버스 요금을 받지 않고 있다. ‘충남형 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해 먼저 버스비를 지불한 뒤 하루 3회 이용분에 한해 환급받는 방식이다. 충남도는 청소년 1명이 연간 36만원 정도 혜택을 본다고 한다. 충남도는 2019년 7월부터 75세 이상 어르신에게 시내버스와 농어촌버스 요금을 받지 않고 있다. 관련 예산은 연간 96억원으로 충남도와 15개 시·군이 절반씩 분담한다.

이에 대해 충남대 육동일자치행정학과 명예교수는 "교통 복지 차원에서 시내버스 무료화도 필요하지만 재정 상황을 봐가며 시기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hin.jinho@joongang.co.kr

[J-Hot]

"평생 날 못 잊게 하겠다" 전 남친의 충격적인 유서

생선도 날랐다…조폭 에이스 마흔에 닥친 일

"독감 걸리면 이 병 가능성 100배" 접종 해야할 이유

한성주, 12년 만에 나타났다…숏커트에 치어리더복

"변태적" 퍼포먼스 논란…화사, 경찰 조사 받았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진호 shin.jinho@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49
어제
1,610
최대
2,563
전체
426,83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