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창창한데 삶의 마지막 결정했다고?"…벌써 2만명 사인했다는데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아직 창창한데 삶의 마지막 결정했다고?"…벌써 2만명 사인했다는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2회 작성일 24-04-13 07:28

본문

뉴스 기사
‘연명치료 거부’ 사전의향서
20·30대 작성자 2만명 달해

‘웰다잉’에 대한 관심 늘고
부양 고통 줄이려는 의지 커


quot;아직 창창한데 삶의 마지막 결정했다고?quot;…벌써 2만명 사인했다는데

30대 여성 A씨는 노후에 연명치료를 받지 않겠다고 결심하고 2021년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했다. 그는 “영화와 드라마를 시청하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 대해 생각하게 됐고 연명의료결정제도를 알게 됐다”며 “마지막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다는 취지가 좋아 가족에게 말하고 작성했다”고 말했다.


삶의 마지막 순간을 미리 설계하려는 20대와 30대 젊은이들이 빠르게 늘고 있다.

연명 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통상 고령층의 일이라고 여겨진다. 실상은 다르다. 12일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 등에 따르면 사전에 연명치료 여부를 결정하는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20·30대는 2020년 2317명이었지만 2022년 5017명으로 2년 새 117%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60~80대의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작성자 증가율121%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한 20·30대는 올해 3월 말 기준 1만9431명으로 2만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이하 의향서는 임종과정을 맞이했을 때 연명의료를 받을지 여부를 문서로 남겨두는 것이다. 연명의료결정법이 2018년 2월 시행되며 의향서 작성이 가능해졌다. 이후 누적 작성자는 총 214만명을 넘어섰다.

news-g.v1.20240412.37328c3c02144cc783ff39a9987ad0f2_P2.jpg

의향서를 작성한다고 해서 생존에 필요한 모든 치료를 거부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다만 호전 가능성이 없을 경우 심폐소생술을 비롯해 혈액투석, 항암제 투여, 인공호흡기 착용, 수혈, 혈압 상승제 투여 등의 연명치료를 중단하겠다는 것이다.

최근 20·30대는 블로그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의향서 작성 방법과 소감 등을 공유하며 작성을 독려하기도 한다. SNS에는 의향서를 작성했을 때 받은 등록증을 인증하는 게시물을 찾는 것이 어렵지 않다.

국립연명의료관리기관의 2021년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20·30대가 의향서를 작성한 가장 큰 이유로 ‘죽음을 미리 준비하고 삶을 마무리하는 기회를 갖고 싶기 때문’이라고 꼽았다. ‘가족의 부양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마지막에 예상되는 고통을 줄이기 위해서’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30대 남성 B씨는 “언제 갑자기 사고가 날지 모르는데, 치료 불가능한 상태로 목숨만 이어가기는 싫어 의향서를 작성했다”며 “지금까지 쭉 제 삶을 결정해왔고 마지막 순간도 결정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의향서를 작성할 수 있는 기관인 서대문구 보건소의 한 관계자는 “주변 가족이 고통스럽게 임종을 맞는 모습을 보며 미리 의향서를 작성하겠다고 온 20대들도 있었다”며 “신분증을 지참하면 별다른 예약 없이 바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마음이 변할 경우 추후 언제든지 의사를 변경하거나 철회할 수도 있다.

전문가들은 젊은층 사이에서 ‘웰다잉’이 화두로 떠오른 것이 의향서가 늘어나는데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정부가 최근 말기암 환자 등이 이용할 수 있었던 호스피스와 연명의료중단 제도의 적용 대상을 확대한다고 밝히면서 죽음의 자기결정권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다만 의료진들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더라도 가족이 반대할 경우 이를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은 과제로 꼽힌다. 이봉주 서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젊은 층 사이에서 웰다잉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고, 연명치료가 본인뿐 아니라 주변인들에게 경제적·심리적 부담이 되는 사례를 많이 보면서 미리 죽음을 생각해보는 청년이 늘게 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무슨 옷 입고 어떻게 췄길래…문란하다며 왕관 빼앗긴 미인대회 우승자

앞구르기 무한반복한 푸바오…‘할부지 사육사’가 내린 진단은

“가슴 엉덩이 다 보이잖아”…‘파격 노출 패션’ 女배우, 10분만에 후회한 이유

금 다음으로 돈 많이 몰린 ‘이 상품’…떨어질때 더 사고 있다는데

“비행 4시간 동안 저러고 있어”…기내 서 뒤엉켜 ‘꼼지락’ 민폐 커플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633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7,08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