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의대 교수 "일진에 맞고 온 아들, 애비애미 나설때"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서울대 의대 교수 "일진에 맞고 온 아들, 애비애미 나설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3회 작성일 24-04-07 10:51

본문

뉴스 기사
지난 2월 20일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열린 대한전공의협의회 긴급 임시대의원총회에 참석한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 회장왼쪽.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박단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장의 회동이 입장차만 확인하고 끝난 가운데 ‘선배 의사’인 의사단체와 의대교수들이 더욱 결속력을 다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속속 나오고 있다.

정진행 서울대 의대 비대위 자문위원은 6일 페이스북에 “교수들이 단합해서 우리 학생과 전공의를 지켜내자”며 “전의교협이나 비대위 형식에 얽매이지 말고 교수들 조직만이라도 단일대오로 뭉쳐야 한다”고 적었다.

현재 둘로 나뉜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와 ‘전국 의대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국 의대교수 비대위’의 소통 창구를 단일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최근 윤 대통령과 박 비대위원장의 면담과 관련해서는 “우리집 아들이 일진에게 엄청 맞고 왔는데 피투성이 만신창이 아들만 협상장에 내보낼 순 없다”면서 “애미애비가 나서서 일진 부모를 만나 담판 지어야 한다”고 했다. 의대교수들이 정부와 만나 전공의들의 7대 요구 사항을 단일하게 전달해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앞서 박 비대위원장은 윤 대통령과 면담 직후인 지난 4일 페이스북에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는 없다”는 글을 올렸다. 이에 의대증원 사태 이후 윤 대통령이 처음으로 전공의 측과 직접 만났지만 의대증원 규모 등 핵심 쟁점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왔다.

허대석 서울대 의대 혈액종양내과 명예교수도 페이스북 글을 통해 ‘선배’들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반 사회에서 20대 아들이 교통사고로 크게 다치거나 조폭에게 심하게 얻어맞고 귀가했는데, 사건의 뒷 마무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누가 나가서 일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할까?”라며 “대부분은 부모처럼 책임 있는 보호자가 나서서 상대를 만나고 일을 마무리하는 절차를 밟는 것이 상식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래의 의료 제도 변화로 큰 영향을 받을 의대생이나 전공의들은 교육이 아직 필요한 피교육자들”이라며 “피해 당사자인 전공의나 학생 대표에게 정부 대표와 만나서 협상으로 출구 전략을 마련해 오라고 하면서, 선배 의사들은 바라보고만 있을 일은 아니라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번 의료사태는 전공의나 의대생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의료의 미래를 위해서도 잘 마무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사단체·교수단체들이 한 목소리로 전공의나 의대생들의 입장을 대변해주고, 필요 시 절충안도 마련해주는 중재자의 역할까지 하는 것을 기대해 본다”고 말했다.

박은주 기자 wn1247@kmib.co.kr

[국민일보 관련뉴스]


▶ 네이버에서 국민일보를 구독하세요클릭

▶ ‘치우침 없는 뉴스’ 국민일보 신문 구독하기클릭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482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5,46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