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 자란다" 탈모인 환호할 소식…모낭 재가동 엔진 찾았다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머리카락 자란다" 탈모인 환호할 소식…모낭 재가동 엔진 찾았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0회 작성일 24-01-17 13:34

본문

뉴스 기사
서울대병원,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 활성 시점 규명
활성 후 에너지 생산, 산화스트레스 완화→모발 성장기 진입

본문이미지
ALDH2를 활성화하면 산화스트레스를 줄이고 베타카테닌을 증가시켜 모낭을 성장기로 이끌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그림=서울대병원

머리카락을 만들어내는 공장 격인 모낭은 성장기와 퇴행기를 거쳐 일을 멈추는 시기휴지기를 갖는다. 휴지기 이후 성장기가 새롭게 찾아와야 머리카락이 다시 자라지만, 이 과정이 진행되지 않으면 탈모 상태가 된다. 그런데 휴지기 모낭을 성장기로 바꿀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국내 연구팀이 찾았다. 탈모 치료법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될지 주목된다.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 이승희 박사는 미토콘드리아세포 호흡을 담당하는 세포 소기관 속에 있는 알데하이드 탈수소효소ALDH2; Aldehyde Dehydrogenase2를 효과적으로 활성화해 세포 속 에너지 대사와 ATPAdenosine Triphosphate 생산을 촉진하면서 모발의 성장주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17일 밝혔다. ATP는 생명체를 가동하는 화학 에너지를 가리킨다.

안드로겐성 탈모는 세계적으로 흔한 탈모 유형의 하나로, 호르몬·유전·환경 요인으로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모발의 성장주기성장기→퇴행기→휴지기→성장기가 방해받아 발생하는 질환이다. ALDH2는 아세트-알데하이드를 해독해 산화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소다.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으로 인한 산화스트레스는 탈모와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ALDH2의 모발 성장과 산화스트레스 감소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ALDH2 활성화제Alda-1를 활용한 실험을 실시했다.

본문이미지
휴지기 모낭과 성장기 모낭에서 ALDH2 발현 비교. 면역염색 분석 결과, 주로 모낭의 가장 바깥쪽 층모낭상피세포층에서 성장기에 ALDH2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자료=서울대병원
실험 결과, 모낭의 ALDH2 활성도는 주로 머리카락을 만들어내는 모낭상피세포층에서 발현했다. 휴지기에는 발현이 약했지만 성장기로 바뀌고 나서 발현도가 크게 증가했다. 모낭의 ALDH2 활성화가 모발 성장기 유도에 중요한 재가동 엔진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다.

특히 ALDH2 활성화는 모낭에서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통해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전환할 때 필요한 에너지 대사에 기여하는 ATP 생산을 증가시켰고, 과도한 활성산소를 줄이며, 독성 산화 알데하이드4-HNE, MDA를 없애 산화스트레스를 완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본문이미지
인간 모낭 기관배양 모델에서 ALDH2 활성화제Alda-1 처리 후 성장한 머리카락의 길이 비교. /자료=서울대병원

본문이미지
동물실험에서 ALDH2 활성화제Alda-1를 처리한 후 머리카락의 성장기 진입을 유도했다. /자료=서울대병원

인간 모낭 기관배양 실험, 쥐 실험 결과에서도 ALDH2 활성화가 머리카락의 길이 성장을 의미 있게 촉진하고, 성장기로의 진입을 가속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런 효과는 기존의 탈모약인 미녹시딜 도포제양성대조군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또 ALDH2 활성화가 모낭 형성·유지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인 베타카테닌β-Catenin의 증가를 유도해 안드로겐성 탈모뿐만 아니라 노화성 탈모 등 다양한 탈모증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는 혁신적인 전환점을 제시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러한 발견은 탈모 치료 분야에서의 기존 패러다임을 바꿀 만한 중요한 진전으로 평가된다.

본문이미지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피부과 권오상 교수, 이승희 박사.
권오상 교수는 "이번 연구는 ALDH2 활성화가 모낭에 미치는 다양한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해, 모발 성장 주기 가운데 휴지기에서 성장기 단계로 이끌기 위한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탈모 치료 분야에서의 혁신적인 접근법을 모색할 기반을 마련해 더 나은 탈모 치료법을 개발하고 탈모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피부기반사업단 혁신성장 피부건강 기반기술 개발사업과 서울대병원 집중육성연구지원으로 수행됐다. 세계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인 저널 오브 어드벤스드 리서치Journal of Advanced Research 최근호에 온라인으로도 출간됐다.

[관련기사]
난감한 경찰, 이선균 사건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아빠 친구야"…아들에 상간녀 소개, 데이트까지 같이 한 남편
김준호 "♥김지민과 결혼? 올해 비밀리에 할 것…집·아기 고민"
고현정, 조인성과 열애설…"걔도 눈이 있다" 화끈한 해명
여섯째 원하는 ♥박여원에…최경환 "제발 생각 좀 해" 폭발
"故이선균·지드래곤 타깃될 줄이야"…최초 제보자 심경 고백
中 잭팟 수상하더라니…안방서 기술 줄줄, 등잔 밑 놓친 K배터리
카트에 갇혀 고개 푹…180cm 여장남자, 화장실 불법촬영하다 덜미
전용59㎡가 16.7억인데…"당첨되면 8억 로또" 강남에 큰 장 선다
"머리카락 자란다" 탈모인 환호할 소식…모낭 재가동 엔진 찾았다
황의조 "성관계 촬영 명확한 거부 없어, 불법 아냐"…혐의 부인
연초 이어진 제약·바이오 빅딜…주가 승자의 저주 빠지나
"올해 증시 왜 이래" 개미 방어에도 주르륵…이유는
반도체주는 올해도 상승?…애널리스트들이 꼽은 유망주
혼밥 거절한 동대문 식당, 2인분 주문받고 합석까지

정심교 기자 simkyo@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81
어제
1,673
최대
2,563
전체
440,29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