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경제 위기에 자살 사망 1만 4439명, 2011년 이후 최고 수준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단독]경제 위기에 자살 사망 1만 4439명, 2011년 이후 최고 수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0회 작성일 25-02-26 19:17

본문

기사 이미지
[서울신문]지난해 자살 사망자 수가 2011년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보건복지부 산하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26일 공개한 2024년 자살사망자 통계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1만 4439명으로 전년1만 3978명보다 3.3% 증가했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2008년로 인한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자살 사망자가 쏟아졌던 2011년1만 5906명 이후 가장 많고, 1983년 관련 통계작성 이후 역대 네 번째 규모다. 특히 남성 사망자1만 341명가 여성4098명의 2.5배나 됐다.

지난해 자살사망자는 1월부터 치솟기 시작했다. 1월 잠정 집계된 자살 사망자는 1338명으로, 전년도 같은 달1007명보다 32.9% 급증했다. 2월에는 1203명, 3월 1318명, 4월 1314명, 5월 1263명, 6월 1213명으로 반년간 1200~1300명대 자살 사망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했으며, 이후 12월까지 1100명대 사망자가 꾸준히 나왔다.

코로나19 이후 최근까지 자살 사망자는 2020년 1만 3195명, 2021년 1만 3352명, 2022년 1만 2906명, 2023년 1만 3978명 수준이었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가 집중된 것은 갈수록 악화하는 경제 위기, 코로나19 팬데믹대유행과 같은 재난 이후 회복기에 들어설 때 되레 자살률이 급증하는 현상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코로나19에서 벗어났는데도 경기는 바닥을 치고 남들은 잘 사는데 나만 힘들다는 상대적 박탈감이 클 때 자살 위험이 커질 수 있다.

특히 상반기 자살 사망자 집중 현상에는 2023년 12월 배우 이선균씨 죽음에 따른 ‘베르테르 효과’가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된다. 베르테르 효과는 유명인 자살 이후 모방 자살이 잇따르는 사회현상을 말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경제적 여파도 있었고, 지난해 초 자살 사망자가 몰린 것은 이선균씨 사망 사건이 가장 크지 않았나 싶다”면서 “정부 역시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이달 초 17개 시도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방안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제이미맘’ 이수지, 이번엔 460만원짜리 ‘이 가방’ 들었다
☞ 도박 끊고 농부 된 걸그룹 멤버…“하우스 1500평”
☞ “보육원서 입양한 아들, 남편이 ‘가볍게 만난 여자’의 친자”
☞ “제이미맘, 디올 신는 건 아니지?”…김지혜가 올린 ‘찻샷’
☞ “초등생 살해 교사, 연금 月 100만원 따박따박” 충격
☞ 결혼식 올리고 12일 만에 ‘파경’… 단아했던 여배우 근황
☞ 박정수, 정경호父와 ‘17년 열애’…“대들었더니 좋다고”
☞ “왕소비, 전처 故서희원에 100억 빚져…구준엽이 받아야”
☞ “78세 트럼프, 괜찮나” 멍든 손포착…‘이 행동’ 때문?
☞ ‘이 동물’ 먹은 뒤 코피…치명률 12% 괴질 급속 확산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197
어제
2,108
최대
3,806
전체
948,60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