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없는 1년…빅4 간신히 적자 탈출, 지방은 적자 몸살
페이지 정보

본문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구조조정 지원금에 힘입어 대형병원들이 속속 흑자로 전환하고 있다. 사진은 서울의 한 병원의 모습. 뉴스1
소위 빅5로 불리는 대형병원 중 서울대를 제외한 빅4가 수지 균형 또는 흑자로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난해 12월부터 극히 미미한 액수1억원가량이지만 흑자로 돌아섰다. 이 병원은 지난해 초 전공의 이탈 직후 월 500억원 넘게 적자를 냈었다. 삼성서울병원도 적자에서 벗어났다. 연세대 의대 신촌·강남세브란스병원도 마찬가지다. 신촌세브란스는 지난해 11월부터 월 80억원 정도의 흑자가 발생하고 있다. 강남세브란스는 1월 수지 균형 상태가 됐고, 이달에는 흑자가 날 것으로 예상한다. 서울성모병원은 지난해 말에 수지 균형을 달성했다.
고려대 안암·구로병원은 지난해 7월 흑자로 전환했고 11월 흑자가 커졌다. 지난해 한 해 흑자도 조심스레 기대하고 있다. 서울 동작구 중앙대병원은 지난해 3월~올 2월 수지 균형을 기록할 전망이다.
흑자 전환의 일등공신은 정부의 구조조정 지원금이다. 지난해 11월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희귀병 진료 중심으로 전환하고 권역 내 2차병원과 진료 협력체계를 구축하도록 유도했다. 또 병상 3800여개병원별 5~15%를 줄였다. 대신 중환자실·입원료·중증수술 등의 수가 인상과 평가 보상에 연간 3조3000억원을 지원한다.
한 빅5 병원 관계자는 "처음에는 전공의 없는 게 불편했으나 이제는 의사·간호사가 적응해 간다. 밤샘 당직 서고 다음 날 외래진료를 하다 보니 힘들었지만, 지금은 당직 날짜를 조정해서 대응한다"고 말했다. 역설적으로 전공의가 나가면서 인건비가 줄었고, 무급 휴직 장려 등으로 비용을 줄인 게 효과를 봤다. 한 병원장은 "정부의 지원금이 지속할지 확실하지 않아서 얇은 흑자가 불안하다"고 말했다.
그러나 본지가 확인한 대구·강원·경남·대전 등지의 상급종합병원과 수도권의 일부 상종병원은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대구의 한 병원장은 "정부의 상종병원 구조조정 사업 덕에 많이 회복했지만, 아직 월 10억원의 적자가 난다. 병상을 30% 줄여서 대응하지만 역부족"이라고 말했다. 또 지난해 서울대병원이 1106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10개 국립대학병원이 적자를 기록했다. 다만 분당서울대병원은 17억원비의료 부문 포함의 흑자를 냈다. 전남대병원 관계자는 "빅5 병원은 전임의펠로가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회복했지만 우리는 입원·수술 회복이 더디다. 전문의들이 지역으로 내려오지 않는다"고 말했다.
신성식?이에스더?남수현 기자 ssshin@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애 180㎝ 키운다? 그 집착에 韓서 폭주한 병
▶ 만삭 김민희 콕 찍어 말했다…홍상수 깜짝 발언
▶ 유부녀 사촌과 사랑의 도피…가족에 닥친 비극
▶ 여성 10명 성폭행…김해 뒤집은 공포의 목사 결국
▶ 배우가 된 리사 뜨자…예약률 500% 대박난 이곳
▶ 사전투표지 외부서 위조? "잉크·재질 보니…"
▶ 비행기 코 깨질 정도로 쾅…조류 공포 덮친 나라
▶ "월 50만원"…대학생들, 원룸 빼고 달려가는 곳
▶ 日 8개사 뭉쳐 "반도체 부활"…정부는 전폭 지원법
▶ 도로 달리다 10m 붕 떴다…세계 최초 하늘 나는 차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성식 ssshin@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중국인 99명 오키나와 압송설…"완전 소설 같은 이야기" [팩트체크] 25.02.25
- 다음글초등 신입생 0명→폐교→상권 붕괴→동네 소멸 도미노 비상 25.02.2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