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부정선거 일장기 투표지 진실…20세 알바의 적색 스탬프였...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
부정선거 팩트체크
부정선거 의혹이 대한민국을 뒤흔들고 있다. 2020년 총선 직후 일부 낙선자가 부정선거로 인해 선거 결과가 뒤집혔다는 의혹을 제기했을 당시엔 이를 믿는 사람이 드물었으나, 최근의 각종 여론조사에서는 30%를 웃돌기에 이르렀다. 윤석열 대통령은 12·3 비상계엄 발령의 명분 중 하나로 부정선거 의혹을 들고, 거리로 뛰쳐나온 열성 지지자들은 “Stop the Steal표 도둑질을 멈춰라”을 외친다. 부정선거 논란이 국론 분열의 진원지가 됐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독] 부정선거 일장기 투표지 진실…20세 알바의 적색 스탬프였다](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5/02/24/3702ea65-bf39-499d-8c91-c3f1ef172f25.jpg)
당시 6투표소의 투표관리관은 공무원 H씨 였다. 그는 2022년 5월 23일 법정에 증인으로 출석해 “인영印影이 뭉개진 투표지를 본 기억은 없다”고 증언했다. 민 전 의원에 힘을 보태는 증언이다. 취재팀은 H씨를 찾아가 당시 상황을 확인하려 했으나 “드릴 말씀이 없다”며 한사코 취재를 피했다.
하지만 그가 또 다른 중요한 증언을 한 사실이 재판기록에 남아 있다. H씨가 직접 투표관리관 관인官印을 찍지 않고 “사무원에게 찍도록 했다”는 것이다. 당시 투표소엔 2명의 사무원이 있었다. 당시 재판기록을 꼼꼼히 검토한 결과 투표사무원 중 1명인 20세 대학생 A씨가 2022년 4월 29일 재판정에 나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시 아르바이트로 투표사무원을 했던 A씨는 지금 미국에서 유학 중이다. 취재팀은 A씨를 인터뷰하기 위해 노력했으나, A씨의 부모는 “취재를 도와줄 수 없어 미안하다”는 말만 반복했다. 나머지 1명의 신원은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확인할 수 없었다.
━
선관위 20세 알바 “만년도장 흐려지면, 스탬프 찍으라 했다”
![스탬프를 묻힌 뒤 만년도장을 찍어본 결과 인영이 번진 ‘일장기’ 모양의 날인이 나왔다. 아래 사진은 21대 총선 인천 연수을 송도2동 6투표소 투표사무원 A씨가 자필로 작성한 자필 답변서. [사진 법무법인 시완 최길림 대표변호사]](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5/02/24/6081c35c-a157-4ec7-b7cc-52dce65de327.jpg)
스탬프를 묻힌 뒤 만년도장을 찍어본 결과 인영이 번진 ‘일장기’ 모양의 날인이 나왔다. 아래 사진은 21대 총선 인천 연수을 송도2동 6투표소 투표사무원 A씨가 자필로 작성한 자필 답변서. [사진 법무법인 시완 최길림 대표변호사]
결과물이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았다면 A씨는 이를 투표관리관에게 보고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했어야 하는데, 그는 그렇게 하지 않았다. 그는 질의응답서에서 ‘인영이 번진 투표관리관 날인 모양을 본 적 있나’는 질문에 “아니오”라고 답했다. 그 이유는 A씨가 취재에 응하지 않아 정확히 알 수 없었다. 확실한 것은 투표관리관에게 문제 제기나 보고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A씨의 질의응답서에도, H 관리관의 법정 진술에도 공통적으로 “아무런 보고가 없었다”고 적혀 있다. 결과적으로 도장이 뭉개진 투표지를 제대로 확인해 보지 않아 정상적인 투표지로 분류돼 유권자들에게 배포됐고, 개표에서는 유효표로 분류됐다가 재검표 과정에서 발견돼 무효처리됐다고 유추해 볼 수 있다. A씨는 왜 스탬프를 묻히며 날인했을까. 그는 “만년도장이 흐리게 나온다면 책상에 있는 적색 스탬프를 사용하라는 안내를 받았다”고 적었다. 투표소 현장책임자가 투표사무원에게 잘못된 교육을 한 셈이다.
![일장기 모양 날인 주위로 동그란 ‘링’이 이중으로 찍혀 있다. 도장업체 측은 “스탬프를 사용한 흔적”이라고 했다. [『STOP THE STEAL』 캡처]](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jo/2025/02/24/cbbb3335-05b1-4e9c-8435-8dbbfb9e32a4.jpg)
일장기 모양 날인 주위로 동그란 ‘링’이 이중으로 찍혀 있다. 도장업체 측은 “스탬프를 사용한 흔적”이라고 했다. [『STOP THE STEAL』 캡처]
‘일장기 투표지’의 진실을 밝히는 데 결정적 단서가 될 수 있는 A씨의 진술은 왜 지금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걸까. 2022년 4월 29일 천대엽 대법관은 ‘직접 행위자’인 A씨야말로 ‘핵심적인 관련자’라며 직권으로 증인 채택하려는 의사를 밝혔다. 하지만 A씨는 결국 법정에서 진술하지 못했다. 민 전 의원 측의 반대 때문이었다. 원고민 전 의원 측 권오용 변호사는 “피고 측선관위에서 날인 과정에 대해 해명도 한마디 안 하다가 지금 와서 사무원이 날인했노라 하고 정보도 없이 증인신문하는 것은 상당히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반대 의견을 냈다. 대신 H투표관리관에 대한 증인심문이 진행됐다. 인영이 번진 투표지를 “본 기억이 없다”는 그의 법정 발언은 지금까지 부정선거론자의 핵심 근거로 인용되고 있다. A씨가 스탬프에 찍어 날인했다는 사실이 재판정에서 공개됐다면 ‘일장기 투표지’ 논란은 다른 국면으로 흘렀을 가능성이 높다.
결국 재판부는 “스탬프의 잉크를 묻혀 날인하는 경우 송도2동 제6투표소에서 발견된 투표지와 유사한 형태의 인영이 현출되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투표지가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 다량의 투표지가 위조됐다고 추단하기 어렵다”며 민 전 의원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실제로 무효처리된 294장의 ‘일장기 투표지’도 민 전 의원 137표, 정일영 당선인 111표 등으로 나눠져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도 기각의 이유로 작용했다. 하지만 A씨의 법정 진술이 이뤄지지 않음으로써 훗날 의혹이 증폭되는 빌미가 되고 말았다.
취재 결과에 대해 민 전 의원의 입장을 물어보았다. 민 전 의원은 “얼굴을 드러내지 않는 투표사무원의 진술로 우리의 주장을 탄핵할 수 없다”며 “재판 과정에서 투표사무원을 증인으로 세우려 했지만 매수 가능성이 있는 ‘오염’된 사람으로 판단해 ‘일장기 투표지를 본 적 없다’는 투표관리관을 증인으로 세운 것”이라고 반박했다.
◆특별취재팀=박성훈·김민욱·정세희 기자 park.seonghun@joongang.co.kr
이 시각 많이 본 뉴스
▶ 12살 소녀가 기생 됐다…전설의 미녀 정체
▶ 중학생과 성관계 한 군인…모텔서 잡힌 충격 이유
▶ 유부녀 사촌과 사랑의 도피…가족에 닥친 비극
▶ "母 난도질"…식당 살해용의 50대女, 그 뒤엔 치정?
▶ 20년전 김해 발칵…공포의 성폭행 목사 충격 근황
▶ "아내 잃은 슬픔에 고통 극심"…구준엽 깜짝 근황
▶ 前내연녀 불질러 죽이고 "안 미안해"…그놈 최후
▶ 내 똥은 내가 가져온다…설악산서 퍼지는 캠페인
▶ 무려 한달…집 쳐들어온 학폭 가해자들 끔찍한 짓
▶ 금이 트럼프 진짜 대장주? 돌반지 팔까, 더 쟁일까
▶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박성훈.김민욱.정세희 park.seonghun@joongang.co.kr
관련링크
- 이전글심폐소생술로 70대 시민 생명 구한 서대문구 공무원 25.02.24
- 다음글라면 1개 외상 달라던 슈퍼 단골 청년…취업 후 편지와 20만원 25.02.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