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정도면 나만 빼고 다 억대 연봉자?"…중소기업 종사자는 눈물
페이지 정보

본문

지난해 매출 100대 기업에서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는 기업 수가 절반을 넘은 것으로 집계되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31일 연합뉴스가 연결기준 매출 100대 비금융 상장사의 사업보고서를 전수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은 기업은 총 55개사다. 국내 대기업 절반 이상은 직원들이 평균 1억원이 넘는 보수를 받는다는 의미다.
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이 넘는 ‘1억원 클럽’에 가입한 매출 100대 기업은 ▲2019년 9개사 ▲2020년 12개사 ▲2021년 23개사 ▲2022년 35개사 ▲2023년 48개사 ▲지난해 55개사로 매년 늘고 있다.
지난해에는 ▲현대글로비스1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억1800만원 ▲삼성전기1억300만원 ▲KTamp;G1억700만원 등 7개사가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5년 전인 2019년과 비교해 그 수가 6.1배 늘었다.
특히 매출 ‘톱10’ 기업은 모두 1억원 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가 1억3000만원의 직원 평균 연봉을 기록했고 ▲현대차 1억2400만원 ▲㈜SK 1억1600만원 ▲기아 1억3600만원 ▲LG전자 1억1700만원이었다.
또 ▲SK이노베이션1억5800만원 ▲포스코홀딩스1억4800만원 ▲HD현대1억5900만원 ▲SK하이닉스1억1700만원 ▲현대모비스1억3500만원도 직원 연간 보수가 1억원을 웃돌았다.
이상호 한국경제인협회 경제산업본부장은 “지난해까지 지속된 고물가로 대기업 임금이 계속해서 상향됐지만 중소기업 임금 상승폭은 크지 않아 임금 격차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며 “임금 상승에 더해 생산성 제고에 보다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벚꽃 활쫙 핀 봄이 참으로 밉구만…우리 속은 까맣게 타고 있는데" 25.03.31
- 다음글길어지는 헌재의 시간…절차적 정당성 등 재판관 이견 추측도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