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연금개정안 연령별 추계 입수…얼마 내고 얼마 받나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lt;앵커gt;
정부가 어제1일 공포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놓고, 청년 세대 부담이 크다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세대별로 얼마를 내고, 또 얼마를 받게 되는지 저희가 복지부의 추계 결과를 입수했습니다.
권지윤 기자가 단독 보도입니다.
lt;기자gt;
내년부터 내는 돈, 즉 보험료율은 8년에 걸쳐 13%로 높아지고, 소득대체율은 43%로 올라갑니다.
세대별로 내는 돈과 받는 돈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국회로부터 입수한 보건복지부 연령별 추계 자료입니다.
월 309만 원 소득자로, 40년간 보험료를 내고, 25년 동안 연금을 받는 상황을 설정했습니다.
내년에 50세가 되는 76년생의 총 보험료는 1억 4천90만 원, 총 연금 급여액은 3억 6천679만 원입니다.
생애 평균 보험료율은 9.5%, 생애 평균 소득대체율은 50.1%가 됩니다.
반면 40세는 총 보험료 1억 5천700여만 원, 총 급여액 3억 3천여만 원으로, 보험료율은 50세 대비 높지만, 소득대체율은 45.1%로 낮아집니다.
40세보다는 30세, 30세보다는 20세가 더 많이 내고 더 적게 받습니다.
06년생인 20세는 2억 300여만 원을 내고, 3억 1천여만 원을 받는데, 평균 보험료율은 13.7%로 가장 높고, 평균 소득대체율은 가장 낮습니다.
50세와 비교하면 6천200만 원 더 내고, 5천100만 원 더 적게 받는 겁니다.
고령층일수록 개편 전의 더 낮은 보험료율과 과거의 높은 소득대체율을 적용받은 기간이 길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번 개혁안이 미래 세대 부담을 가중시킨 게 아니라고 설명합니다.
이번에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지 않았다면, 2056년 기금이 소진되고, 20대 젊은 층은 30%대의 보험료를 내야 할 걸로 예측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 개혁으로도 고갈 시점은 8년 연장됐고, 기금 투자 수익률을 1%포인트 높이더라도, 15년 더 늦춰질 뿐입니다.
지급 보장을 명문화했다지만, 청년층이 불안을 느끼는 이유입니다.
자동조정장치 도입 등 구조 개혁이 보완책 중 하나로 거론됩니다.
[이정환/한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 :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되면 보험료 상황에 따라서 현행 받으시는 분들의 어떠한 혜택 역시 줄어들 수가 있어서 부담에 균등한, 부담의 합리적인 배분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명 중 4명꼴인 높은 노인 빈곤율, 누구나 청년을 거쳐 노인이 되는 점을 감안해, 연금 구조 개혁 과정에서는 세대 간 공감대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편집 : 황지영, 디자인 : 강경림, VJ : 신소영
권지윤 기자 legend8169@sbs.co.kr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정부가 어제1일 공포한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놓고, 청년 세대 부담이 크다는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세대별로 얼마를 내고, 또 얼마를 받게 되는지 저희가 복지부의 추계 결과를 입수했습니다.
권지윤 기자가 단독 보도입니다.
lt;기자gt;
내년부터 내는 돈, 즉 보험료율은 8년에 걸쳐 13%로 높아지고, 소득대체율은 43%로 올라갑니다.
세대별로 내는 돈과 받는 돈에는 차이가 있습니다.
국회로부터 입수한 보건복지부 연령별 추계 자료입니다.
월 309만 원 소득자로, 40년간 보험료를 내고, 25년 동안 연금을 받는 상황을 설정했습니다.
내년에 50세가 되는 76년생의 총 보험료는 1억 4천90만 원, 총 연금 급여액은 3억 6천679만 원입니다.
생애 평균 보험료율은 9.5%, 생애 평균 소득대체율은 50.1%가 됩니다.
반면 40세는 총 보험료 1억 5천700여만 원, 총 급여액 3억 3천여만 원으로, 보험료율은 50세 대비 높지만, 소득대체율은 45.1%로 낮아집니다.
40세보다는 30세, 30세보다는 20세가 더 많이 내고 더 적게 받습니다.
06년생인 20세는 2억 300여만 원을 내고, 3억 1천여만 원을 받는데, 평균 보험료율은 13.7%로 가장 높고, 평균 소득대체율은 가장 낮습니다.
50세와 비교하면 6천200만 원 더 내고, 5천100만 원 더 적게 받는 겁니다.
고령층일수록 개편 전의 더 낮은 보험료율과 과거의 높은 소득대체율을 적용받은 기간이 길기 때문입니다.
정부는 이번 개혁안이 미래 세대 부담을 가중시킨 게 아니라고 설명합니다.
이번에 기금 고갈 시점을 늦추지 않았다면, 2056년 기금이 소진되고, 20대 젊은 층은 30%대의 보험료를 내야 할 걸로 예측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번 개혁으로도 고갈 시점은 8년 연장됐고, 기금 투자 수익률을 1%포인트 높이더라도, 15년 더 늦춰질 뿐입니다.
지급 보장을 명문화했다지만, 청년층이 불안을 느끼는 이유입니다.
자동조정장치 도입 등 구조 개혁이 보완책 중 하나로 거론됩니다.
[이정환/한양대 경제금융학과 교수 : 자동조정장치가 도입되면 보험료 상황에 따라서 현행 받으시는 분들의 어떠한 혜택 역시 줄어들 수가 있어서 부담에 균등한, 부담의 합리적인 배분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10명 중 4명꼴인 높은 노인 빈곤율, 누구나 청년을 거쳐 노인이 되는 점을 감안해, 연금 구조 개혁 과정에서는 세대 간 공감대도 함께 만들어가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영상편집 : 황지영, 디자인 : 강경림, VJ : 신소영
권지윤 기자 legend8169@sbs.co.kr
인/기/기/사
◆ "분양 당첨되면 로또 됐다고 막 울었는데" 급반전 맞았다
◆ 본인 자금 4억으로 15억 아파트 샀다…어떻게 됐나 보니
◆ 주차장에 진입한 차량 갑자기 활활…불 계속 확산하더니
◆ 중환자실 입원 신생아를…간호사가 끌어 안더니 벌인 일
◆ [단독] "한국 남으려면 200만 원"…삼단봉까지 꺼내 협박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이기준 양산시의원 당선인 "현안 과제 착실히 이행하겠다" 25.04.02
- 다음글"건들면 가만 안 둬"…개 배설물·음쓰 복도에 쌓아두는 이웃 25.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