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값 안내려요?" 미미한 가격인하 효과에 손님 눈치만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라면값 안내려요?" 미미한 가격인하 효과에 손님 눈치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7회 작성일 23-07-03 06:12

본문

뉴스 기사
분식집 메뉴판 그대로…"봉지라면 50원 내린들 체감 안돼"
전문가 "식자재 유통 개선하고 인건비 부담 줄여줘야"

quot;라면값 안내려요?quot; 미미한 가격인하 효과에 손님 눈치만라면 물가 1년만에 13%↑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5월 라면 소비자물가지수가 지난해 대비 13.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라면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24.04로 지난해 동월보다 13.1% 오르며 금융위기였던 2009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사진은 6일 서울 중구 명동거리에 설치된 분식메뉴 배너. 2023.6.6 dwise@yna.co.kr

서울=연합뉴스 안정훈 기자 = "라면 출고가를 내렸다고 하지만 우리는 가격을 내릴 수가 없어요. 다른 재룟값은 안 올랐나요?"

서울 마포구에서 분식집을 운영하는 서모66씨는 라면값을 내릴 계획이 있는지 묻자 고개를 내저으며 말했다. 그는 "우리는 인건비가 없어서 버틸 만하지만 다른 가게들은 다시 음식값을 낮추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가격 인하 계획이 발표된 뒤에도 마포역 인근 분식집의 기본 라면 가격은 대부분 4천원 안팎으로 변화가 없었다. 치즈나 만두·참치를 추가할 때마다 500원씩 더 받았다.

식품업체 대표 브랜드 라면들이 정부 권고에 따라 지난 1일부터 가격을 내리기 시작했지만 실제 분식집 라면값은 변화가 없을 전망이다.

난방비와 인건비 등 라면을 끓여 파는 데 다른 비용이 여전히 많이 들기 때문이다. 여기에 비하면 라면 가격 인하 폭이 50원으로 미미한 데다 분식집에 봉지라면을 공급하는 중간 유통업체들이 출고가를 아직 조정하지 않은 탓도 있다.


PYH2023070205160001300_P2.jpg신라면 950원·새우깡 1천400원으로 인하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농심이 지난 1일부터 신라면과 새우깡 가격을 내렸고, 삼양식품도 삼양라면과 짜짜로니 등 12개 제품의 가격을 순차적으로 인하한다. 사진은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 라면 판매대 모습. 2023.7.2 ryousanta@yna.co.kr

실제로 분식집 생산비용 증감을 가늠할 수 있는 분식 및 기타 간이음식점 생산자물가지수는 지난 5월 155.462015=100으로 전월 대비 0.7%,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하면 9.7% 상승했다.

분식집들은 대부분 일반 소비자와 다른 경로로 봉지라면을 공급받아 가격 인하를 체감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포역 인근의 한 분식집 주인은 "아직 유통업체에서 가격을 낮춘다는 이야기를 못 들었다. 출고가를 내린다고 해도 저희 입장에서는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홍보본부장은 3일 "자영업자가 제조사에서 제품을 받아보기까지 도매상과 식자재업체 등 여러 단계를 거치기 때문에 인하된 가격을 소비자가 체감하기에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전했다.

PYH2023040512140001300_P2.jpg짜장면, 5년새 가격 상승폭 26.9%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짜장면의 올해 평균 가격이 50여년 만에 60배 넘게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문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에 따르면 1970년 100원이었던 짜장면 가격은 올해 6천361원을 기록해 50여년 만에 60배 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5년새 가격 상승폭이 26.9%에 달하는데 이는 주재료인 밀가루와 식용유의 가격이 큰 폭...

정부 압박에 라면과 밀가루 가격이 인하된다는 소식이 연일 보도되면서 식당을 운영하는 자영업자들은 속앓이만 하고 있다. 생산비용은 거의 변함없는 상황에서 메뉴판 가격을 내리길 바라는 손님들 눈치도 봐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집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자영업자 커뮤니티 아프니까 사장이다에는 지난달 28일 밀가루 가격 인하로 짜장면과 칼국수 등 가격 인하가 불가피하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다.

그러자 정작 식자재를 공급하는 유통업자들이 가격을 인하하지 않고 있다는 반박 댓글이 달렸다. 한 회원은 "중간상인들이 가격이 올랐을 때 사둔 재고를 소진하지 못했다며 언제 내릴지 모른다고 한다"고 썼다.

외식 물가를 안정시키려면 근본적으로 식자재 유통과정을 손보고 인건비 부담을 정부가 덜어줘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차 본부장은 "궁극적으로 중간 유통과정을 줄이고 직거래가 활성화된 유통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영세한 자영업자들이 인건비를 줄일 수 있도록 정부가 키오스크나 서빙 로봇 도입을 지원해주는 정책도 외식 물가를 낮출 수 있는 한 방안"이라고 짚었다.

hug@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뉴질랜드 의사, 목에 뼈 걸린 환자에게 콜라 처방…효과는?
2호선 열차문에 6번 발넣고 운전실까지 침입한 취객
우비입어도 온몸 흠뻑…장마철 교통경찰관의 하루
"경례 안해?" 미군기지서 병사 뺨때린 대령 결국 처벌될 듯
영아 살해 전국에서 발생했나…수원 이어 거제서도 드러나
[OK!제보] 유명 추로스 속 파란 이물질 정체에 깜놀
최경환, 이준석 등 與청년정치인들과 만찬…"보수 연합군 필요"
자숙한다던 도연, 승려 신분 미정리 상태로 유료강좌 준비
야망의 25시·제1 공화국 원로 탤런트 박규채 별세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50
어제
913
최대
2,563
전체
421,40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