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2주간 총파업 돌입…택배·의료대란, 교통혼잡 우려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민주노총 2주간 총파업 돌입…택배·의료대란, 교통혼잡 우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8회 작성일 23-07-03 10:13

본문

뉴스 기사
민주노총 2주간 총파업 돌입


민주노총 2주간 총파업 돌입…택배·의료대란, 교통혼잡 우려
지난달 21일 오후 민주노총 조합원들이 서울 세종대로에서 열린 민주노총 건설노조 간부 고故 양회동 씨 영결식을 진행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박혜원 기자] 3일 민주노총이 2주간의 총파업 일정에 돌입했다. 산별노조들도 번갈아 파업에 참여하면서 특히 택배 및 의료 대란 등으로 시민 불편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평일 대부분과 주말에도 대규모 집회가 예정돼 교통 혼잡과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이날 민주노총은 서울 용산구 외 전국 15개 지역에서 지역별 총파업 선전 기자회견을 시작으로, 오후 2시에는 서울 동화면세점 앞에서 전국서비스산업노동조합연맹원서비스연맹 특수고용노동자 파업대회를 3000여명 규모로 진행한다. 오후 3시부터는 종각부터 을지로 3가역을 거쳐 서울고용노동청까지 민주노총파업대행진이 3000~4000명 규모로 이어진다.

민주노총 일정에 따르면 평일인 5일·12일·13일 오후에는 전국 지역별 결의대회와 행진을, 6일·13일 오후에는 서울 도심 파업대회와 대행진이 예정돼 있다. 주요 산별노조들 역시 결의대회에 돌입한다. 민주노총 산하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은 5일 지역별 결의대회를 시작으로 12일에는 금속노조 자체적으로 지역별 총파업대회를 연다. 특히 금속노조 파업대회에는 현대차지부도 2018년 이후 5년 만에 4시간 부분파업으로 동참할 예정이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는 13일과 14일 각각 파업대회를 시작으로 무기한 총파업을 예고했다. 이밖에 13일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조화섬식품노조, 전국사무금융서비스노동조합사무금융노조,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도 각각 파업대회와 결의대회에 참여한다.

20230703000206_0.jpg
지난달 24일 서울 혜화역 인근에서 열린 ‘윤석열 정권 퇴진 전국노동자대회’에서 민주노총 회원들이 최저임금 인상 등을 촉구하는 손 피켓을 들어 보이고 있다. [연합]

대규모 주말 집회 역시 예정돼 있다. 오는 8일 오후 2시에는 민주노총 공무원노동조합공무원노조와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공노총이 서울 여의대로에서 총 2만여 명 규모로 집회를 연다. 오후 7시부터는 일본 방사성 오염수 해양투기를 반대하는 한일 노동자대회를 진행한다. 15일 토요일에도 오후 2시부터 공공운수노조와 서비스연맹 등이 집회를 연다.

시민들 사이에선 총파업 기간 택배대란이나 의료대란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특히 택배기사 등이 참여하는 서비스연맹이나 보건의료노조 등 파업이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날부터 3일간 진행되는 서비스연맹 파업과 관련, 서비스연맹 관계자는 “노조 소속 택배기사 1500여명이 파업에 참여할 예정”이라고 했다. 택배업계 관계자는 “대체 차량과 인력으로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의료노조 파업에 따른 불편도 예상된다. 앞서 지난 4월 보건의료노조가 간호법 제정에 반대하며 진행한 연가투쟁 당시에는 노조 추산 4만여 명이 참여하면서, 전국 병·의원과 치과 휴업으로 시민들이 불편을 겪은 바 있다.

20230703000207_0.jpg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난달 28일 오전 서울 중구 민주노총에서 총파업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연합]

다만 민주노총은 이번 총파업으로 인한 일반 국민의 불편은 크지 않을 것이란 입장이다.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지난달 28일 사전 기자간담회에서 “대부분 산별노조가 하루 또는 이틀 파업을 할 것”이라며 “제조업 공장이 길지 않은 시간 파업한다고 시민들이 큰 불편을 느끼진 않는다”고 말했다. 민주노총이 추산한 총파업 참여 조합원은 약 40만~50만 명이다.

도심에서 진행하는 집회·행진으로 인한 교통불편이나 소음 등도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둘러싼 노조와 경찰 간 갈등도 커지고 있다. 경찰은 앞서 민주노총이 신청한 30여 건의 집회 중 출퇴근 시간이 포함된 27건에 대해 제한 및 부분사용 금지를 통보했다. 이에 대해 민주노총은 가처분 신청 등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경찰은 신고 시각을 넘는 집회 등 불법행위에 대해선 강경 대응 방침을 유지하고 있다. 윤희근 경찰청장은 지난달 30일 상황점검회의에서 “폭력행위·도로점거·악의적 소음 등 시민 기본권을 침해하는 불법행위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격하게 대처하라”고 말했다. 경찰청은 민주노총 총파업 기간 일일 최대 155개 경찰부대를 동원해 대응한다.



klee@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결국 유재석까지 내세웠다” 충격의 적자 사태…급해진 카카오엔터
▶ 160만 구독 곽튜브 "외교부서 오라고 한다? 대답은"...前 재외공관 막내 친정 간 사연
▶ 등산객 온몸에 덕지덕지…북한산까지 점령한 러브버그
▶ 사생활 논란 도연스님, ‘자숙 선언’ 3주 만에 유료 강좌 모집
▶ "아내랑 헤어질까 무서워서"…거제 영아 살애 친부의 변명
▶ “엄마 암투병 중이라 못가요”…군입대 9년간 미룬 아들 결국
▶ ‘퀴어축제’ 찾은 홍석천 “구시대적 공포, 끝난 줄 알았는데...아직”
▶ "이날 위해 다이어트"…류호정, 배꼽티·미니스커트 입고 퀴어축제 참여
▶ 야망의 25시·제1공화국…원로 배우 박규채 별세
▶ “톰형, 당장 영화 예매해야지!”…톰 크루즈, 이번엔 ‘경희선 숲길’서 포착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99
어제
726
최대
2,563
전체
408,07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