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결제 안 받습니다"…진짜 가상화폐로 전락한 비트코인 > 사회기사 | society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사회기사 | society

"이제 결제 안 받습니다"…진짜 가상화폐로 전락한 비트코인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6회 작성일 24-03-22 04:31

본문

뉴스 기사
비트코인 결제 매장 속속 등장했지만
큰 변동성, 불편함, 수요 저조로 외면
화폐 대체는커녕 투기자산 전락 우려

"에이, 요즘 그거 하는 사람이 어디 있어요."

21일 오후 서울지하철 3호선 고속버스터미널역 지하상가에서 만난 60대 상인 강모씨는 비트코인 결제를 하느냐는 물음에 황당하다는 표정으로 답했다. 600여 개 매장이 밀집한 이곳은 2017년부터 150곳을 시작으로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선제적으로 도입했다. 그러나 7년이 지난 현재, 어떤 매장도 비트코인을 지불 수단으로 활용하지 않는다. 상인들은 2019년까지만 해도 간혹 한두 명 정도는 가상화폐로 물건 값을 내다가 지금은 싹 사라졌다고 한다. 강씨는 "애플리케이션앱으로 QR코드를 찍는 방식인데, 비트코인 결제를 원하는 손님이 없어 앱도 삭제했다"고 말했다.

최근 개당 시세가 1억 원을 넘는 등 비트코인의 부활 조짐이 완연하다. 덩달아 투자금도 몰리고 있으나, "화폐를 대체하겠다"는 목적에 맞게 성장하는지는 의문이다. 상점들도 효용성이 사실상 사라졌다고 보고 있다. 결제 수요가 없는 게 가장 크지만, 불편하고 등락폭이 큰 비트코인의 속성도 한몫했다. 화폐로서 힘을 발휘하지 못하면 비트코인은 투기 자산으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가격은 고공행진, 현장에선 무용지물

3a88ea6d-4405-4fdb-bf0b-25b8ba5d5e6e.jpg

비트코인의 인기는 여전하다. 13일 역대 최고가7만3,800달러에 비해 가격이 다소 떨어졌다고 하나 이날도 6만7,811달러를 찍었다. 세계 은시장 가치를 이미 추월했을 정도다. 최근 성장세를 보면 "비트코인이 화폐를 대체할 것"이라는 창시자 사토시 나카토모의 자신감이 괜한 허언은 아닌 것처럼 보인다.

실물경제 속으로 들어가면 얘기가 다르다. 2010년대 후반 국내에도 비트코인 거래 가능 매장이 우후죽순 생겼다. 횟집, 옷가게, 한의원, 피부과 등 업종도 다양했다. 실제 비트코인 결제 가능 업체를 안내하는 코인맵을 보면, 서울 80여 곳에서 결제할 수 있다고 나온다. 하지만 기자가 이 중 13곳에 문의하니 비트코인을 안 받거나 사용조차 해본 적이 없다고 답한 매장이 11개나 됐다. 나머지 두 곳도 "비트코인 손님은 거의 없다"고 답변했다.

1451147c-5b31-4ba0-ad0f-6bb97cb02bf1.jpg

최대 약점은 변동성이다. 화폐는 기본적으로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를 그대로 반영해야 한다. 화폐 가치가 수시로 변하고 등락도 심한 비트코인이 외면받을 수밖에 없는 까닭이다. 비트코인 결제 시스템을 철회한 50대 사장 A씨는 "결제를 하고 나중에 확인해보니 비트코인 가치가 떨어져 음식 값보다 1만 원 덜 받은 적이 있다"고 말했다. 서울 마포구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이모47씨도 "오르락내리락하는 비트코인을 굳이 결제 수단으로 쓰고 싶진 않다"고 했다.

불편한 결제 시스템도 가상화폐를 꺼리는 이유다. 7년 전 이 시스템을 도입한 옷가게 사장 황애연68씨는 "2018년 2만 원짜리 티셔츠를 사러 온 손님이 비트코인으로 결제했는데 돈이 이틀 뒤에 들어왔다"면서 "입금 여부를 계속 확인해야 하는 등 번거롭기만 하다"고 불평했다.

비트코인 보유자도 "굳이 결제까지는..."

19fd69db-4433-4f53-9112-9270ec8491b7.png

사실 이용자도 없다. 비트코인 보유는 두 그룹으로 나뉜다. 장기적인 가치저장 수단으로 삼는 투자자와 단기 재테크용이다. 보유 목적은 다르지만 두 집단 모두 가상화폐로 물건을 사는 데는 거의 관심이 없다. 6년차 비트코인 투자자 김모27씨는 "변동 가치를 활용해 소소하게 수익을 올릴 뿐, 비트코인으로 상품을 구매할 유인이 없다"면서 "가격이 오를 땐 더더욱 그럴 필요성을 못 느낀다"고 말했다.

적지 않은 전문가들이 비트코인의 미래를 투기 수단으로 보는 것도 이 때문이다. 채희율 경기대 경제학부 교수는 "비트코인은 화폐로서 의미를 잃은 지 오래"라며 "자산으로서 힘을 갖기 위해서도 최소한의 내재 가치는 있어야 하는데, 그 기준이 너무 주관적"이라고 우려했다.

이서현 기자 here@hankookilbo.com



관련기사
- 유시민, 尹 향해 미친 X 한동훈에게는 안 맞아서
- 조수진 리스크 일파만파 민주당 아동 성폭행범 엄호에 2차 가해까지
- 태국전 경기는 안 풀렸지만 태극형제 앙금은 풀었다
- 야구 추억 선물한 MLB 스타들... 불방망이로 뜨거운 안녕
- 정은채, 나혼산 김충재와 열애 중 알아가는 단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25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73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