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난 줄" 문자에 화들짝…실제와 44배 차이, 왜?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들으신 것처럼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처음에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실제 지진 규모는 사람들 밤 잠을 설치게 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낼 수준이 아니었고 위력으로 따지면 실제와 44배나 차이 나게 발표를 한 건데, 왜 이렇게 오차가 컸던 건지 서동균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오늘7일 새벽 2시 35분쯤, 충주 지진 발생 7초 뒤, 긴급 재난문자가 울렸습니다.
[박성우/서울 양천구 : 알람 소리 때문에 갑자기 확 깨 가지고, 뭐지 하고, 진짜 뭐 전쟁 났나, 그런 줄 알았거든요. 근데 보니까 지진 났다고….]
긴급 재난 문자는 지진 규모가 3.5 이상 5 미만일 경우 예상 진도가 2 이상인 곳에 발송됩니다.
작년 10월, 불필요한 지역에서는 경보음이 울리지 않도록 기준이 마련됐습니다.
기상청이 분석한 첫 지진 규모는 4.2, 이 기준에 따라, 충북·강원·서울 등 12개 광역시도에 긴급 재난 문자가 발송됐습니다.
그러나 문자 발송 뒤,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3.1로 내렸습니다.
[이종윤/충북 충주시 : 최초 알람 숫자로는 좀 놀랐는데 제가 느낌은 이 숫자보다는 좀 약하지 않나 이런 생각을 했거든요.]
줄어든 규모 1.1을 에너지로 환산하면 무려 44배나 차이 납니다.
분석 치의 오차, 왜 이렇게 컸을까요.
지진파는 크게 P파와 S파 두 개로 나뉩니다.
기상청은 먼저 도달하는 P파를 분석해 속보를 냅니다.
이후 S파가 도달하면, 두 가지를 종합해 분석하는데 이 때문에 속보와 정밀 분석의 오차는 항상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번처럼 오차가 1.0 이상 큰 경우는 매우 이례적입니다.
기상청은 진앙과 관측소가 너무 가까워서 과대 측정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전국의 지진 관측소는 모두 477개.
지진이 나면, 이 중 진앙과 가장 가까운 네 곳의 측정치로 평균을 냅니다.
이번 지진을 한 번 살펴보면 충주 진앙지와 가장 가까운 앙성 관측소는 직선거리로 7km 정도입니다.
두 번째로 가까운 부론 관측소도 10km 정도였습니다.
그동안 관측소와 진앙 사이는 15km 정도였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가까운 거죠.
이렇게 가까우면 P파와 S파가 거의 동시에 도달하기 때문에 P파를 정확히 가려내기가 어렵습니다.
[김명수/기상청 지진분석관 : 진앙과 가까울 때 P파하고 S파 어떻게 하면 잘 구분할 수 있는지 좀 연구를 진행해서요. 그 부분에 대해서 알고리즘을 적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기상청은 더 빠른 지진 관측을 위해 관측소를 늘릴 계획입니다.
하지만 속도와 정확성,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면 진앙과의 거리에 따라 과대 분석되지 않도록 보완이 필요합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 장예은·전유근·홍지월, VJ : 오세관
서동균 기자 windy@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들으신 것처럼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처음에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실제 지진 규모는 사람들 밤 잠을 설치게 한 긴급 재난 문자를 보낼 수준이 아니었고 위력으로 따지면 실제와 44배나 차이 나게 발표를 한 건데, 왜 이렇게 오차가 컸던 건지 서동균 기자가 분석해 봤습니다.
<기자>
오늘7일 새벽 2시 35분쯤, 충주 지진 발생 7초 뒤, 긴급 재난문자가 울렸습니다.
[박성우/서울 양천구 : 알람 소리 때문에 갑자기 확 깨 가지고, 뭐지 하고, 진짜 뭐 전쟁 났나, 그런 줄 알았거든요. 근데 보니까 지진 났다고….]
긴급 재난 문자는 지진 규모가 3.5 이상 5 미만일 경우 예상 진도가 2 이상인 곳에 발송됩니다.
작년 10월, 불필요한 지역에서는 경보음이 울리지 않도록 기준이 마련됐습니다.
기상청이 분석한 첫 지진 규모는 4.2, 이 기준에 따라, 충북·강원·서울 등 12개 광역시도에 긴급 재난 문자가 발송됐습니다.
그러나 문자 발송 뒤,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3.1로 내렸습니다.
[이종윤/충북 충주시 : 최초 알람 숫자로는 좀 놀랐는데 제가 느낌은 이 숫자보다는 좀 약하지 않나 이런 생각을 했거든요.]
줄어든 규모 1.1을 에너지로 환산하면 무려 44배나 차이 납니다.
분석 치의 오차, 왜 이렇게 컸을까요.
지진파는 크게 P파와 S파 두 개로 나뉩니다.
기상청은 먼저 도달하는 P파를 분석해 속보를 냅니다.
이후 S파가 도달하면, 두 가지를 종합해 분석하는데 이 때문에 속보와 정밀 분석의 오차는 항상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번처럼 오차가 1.0 이상 큰 경우는 매우 이례적입니다.
기상청은 진앙과 관측소가 너무 가까워서 과대 측정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전국의 지진 관측소는 모두 477개.
지진이 나면, 이 중 진앙과 가장 가까운 네 곳의 측정치로 평균을 냅니다.
이번 지진을 한 번 살펴보면 충주 진앙지와 가장 가까운 앙성 관측소는 직선거리로 7km 정도입니다.
두 번째로 가까운 부론 관측소도 10km 정도였습니다.
그동안 관측소와 진앙 사이는 15km 정도였다는 걸 감안하면 매우 가까운 거죠.
이렇게 가까우면 P파와 S파가 거의 동시에 도달하기 때문에 P파를 정확히 가려내기가 어렵습니다.
[김명수/기상청 지진분석관 : 진앙과 가까울 때 P파하고 S파 어떻게 하면 잘 구분할 수 있는지 좀 연구를 진행해서요. 그 부분에 대해서 알고리즘을 적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기상청은 더 빠른 지진 관측을 위해 관측소를 늘릴 계획입니다.
하지만 속도와 정확성, 두 마리 토끼를 다 잡으려면 진앙과의 거리에 따라 과대 분석되지 않도록 보완이 필요합니다.
영상편집 : 윤태호, 디자인 : 장예은·전유근·홍지월, VJ : 오세관
서동균 기자 windy@sbs.co.kr
인/기/기/사
◆ 눈폭탄 쏟아져 14cm 쌓여…쾅쾅 30여 대 연쇄 추돌
◆ 활주로 다가오던 여객기 휘청…초속 30m 강풍에 착륙 포기
◆ 사고 버스 견인하다 미끌…뒤에 있던 70대 그대로 덮쳤다
◆ "중국 스파이가 날 미행" 무참히 살해…재판 결과에 분통
◆ [단독] "헌재 부숴라" 김용원 논란…규정 위반 검토 착수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관련링크
- 이전글"16억 갑자기 생겼다"…연봉 50% 성과급에 로또 당첨된 사연 25.02.07
- 다음글대뜸 "날 포대 담아 北 보내려"…음모론만 남은 전광훈 회견 [현장에서] 25.02.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