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등록금 700만원이래"···등골 빠지면서 겨우 대학 보낸 부모...
페이지 정보

본문
|
[서울경제]
전국 대학교 4분의 1 이상이 올해 학부 등록금을 올린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 25곳은 등록금 평균 인상률이 5%대에 달했고, 일부 대학은 교육부가 정한 상한까지 등록금을 올리기로 했다.
2일 각 대학과 대학알리미에 따르면 최근 등록금심의위원회를 열고 2025학년도 학부 등록금 인상을 의결한 대학은 총 56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대학알리미 기준 분류상 4년제 대학교 189곳과 교육대학 10곳 등 총 199곳의 28.1%에 해당하는 수치다.
가톨릭대4.65%, 경기대5.2%, 경희대5.1%, 고려대5.0%, 단국대4.95%, 덕성여대4.85%, 동국대4.98%, 동덕여대4.2%, 상명대4.95%, 서강대4.85%, 성균관대4.9%, 성신여대5.3%, 숙명여대4.85%, 아주대5.2%, 연세대4.98%, 원광대4.85%, 이화여대3.1%, 인하대5.2%, 중앙대4.95%, 한국외대5.0%, 한양대4.9% 등이 인상을 확정했다.
이 중 5%대 인상률을 의결한 대학은 총 25곳이었다. 서울시립대, 부산교대, 한국교원대 등 10곳은 교육부가 정한 상한선인 5.49%나 혹은 그에 거의 근접하게5.4% 이상 인상할 예정이다.
작년 26개교가 등록금을 올린 것을 고려하면 이미 두배가 넘는 대학이 인상을 결정한 것이다.
아직 올해 등록금을 결정하지 못한 대학 중에도 상당수가 인상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어 인상 대열에 합류하는 대학 수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등록금 인상을 결정한 대학에는 서울 주요 사립대와 지방 소규모 대학들이 주로 포함됐다.
서울대와 국가거점국립대 9곳을 비롯해 국립대는 대부분 동결을 결정했으나 교대는 국립대라도 인상으로 기운 쪽이 많았다.
2024학년도 기준 대학 평균 등록금은 연 682만원이다. 2020년 672만원 대비 불과 10만원1.5% 오르는 데 그쳤다. 소비자물가지수는 2020년 100에서 지난해 말 114.91로 14.9% 상승했다.
이처럼 대학 등록금이 제자리걸음을 한 이유는 2009년 이후 정부가 학생과 학부모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자 동결 기조를 이어왔기 때문이다. 특히 등록금을 올릴 경우 국가장학금 Ⅱ유형 국고 지원을 제한하면서 사실상 등록금 인상을 억제했다.
그러나 오랜 시간 등록금을 올리지 못하면서 대학의 재정난이 커졌고 대학가에서는 ‘영어유치원영유아 영어학원보다 싼 대학’이라는 자조 섞인 목소리까지 나왔다.
교육부는 올해도 대학에 등록금 동결을 강하게 요청했다. 대학의 어려움에 공감하지만 민생 경제의 어려움과 엄중한 시국 상황을 고려해달라는 취지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달 22일 열린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정기총회에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하다”면서도 “학생과 학부모 입장에선 경제도 어렵고 민생도 어려운 상황이라 대학이 조금 더 참아달라는 요구가 있다”며 협조를 구했다.
남윤정 기자 yjnam@sedaily.com[서울경제 관련뉴스]
김성철·멜로망스 김민석 사과, 배우 김민석은 불똥···걸그룹 성희롱 게시글 파문
"민망했는데 편해서 계속 입는다"···불황에도 불티나는 운동복 같은 일상복 뭐길래?
故 오요안나 괴롭힘 의혹 김가영, 골때녀 하차 여부는?
구준엽 아내 서희원, 日여행 중 폐렴으로 별세···향년 48세
"병장도 200만원씩 받는 판국에···다른 일 해야 하나"···軍 중간 간부 이탈 증가
관련링크
- 이전글인천 구월동 로데오거리 상가서 불 25.02.03
- 다음글"제주 조랑말이 포대자루 토막사체로.".…경찰 수사 착수 25.02.0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